설립 D+2000일 되기까지: D[dday(2026-06-30)]
한결독서토론논술 (hangyeol) | ||
<bgcolor=#fff> | ||
<colbgcolor=#E5C59F,#E5C59F> 기업명 | 한결독서토론논술 | |
설립 | 2021년 1월 7일[1][2] |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 |
업종 | 교육, 논술, 역사(한국사, 세계사), 국어 | |
기업 분류 | 중소기업, 개인사업 | |
링크 | ||
상징색 | 한결상징색 #1 (#262523) 한결상징색 #2 (#E5C59F) | |
설립된지 D[dday(2021-01-07)] |
1. 개요
아이의 생각이 존중받는 한결독서토론논술
초등학생을 위한 전문 공부방
학년별 반편성, 선세한 커리큘럼
독서토론논술, 한국사, 재미있는 신문수업 N I E *교원자격증 소지
*방과후 독서논술 지도사 *독서하브루타 1급 경기도용인교육지원청 신고 제6531호 [3]
* 용인시의 논술학원이다. 주요 활동으로는 월간지[4]을 읽은 뒤 주제에 관한 글쓰기를 한다.초등학생을 위한 전문 공부방
학년별 반편성, 선세한 커리큘럼
독서토론논술, 한국사, 재미있는 신문수업 N I E *교원자격증 소지
*방과후 독서논술 지도사 *독서하브루타 1급 경기도용인교육지원청 신고 제6531호 [3]
2. 시간표
- 반 종류로 독서포트폴리오반[5], 한국사·세계사반, 신문수업·NIE반, 중등국어반이 있다.
- 5주차가 있는 경우 그달 5주차는 수업이 없으며, 한 달에 3주차만 있는 경우 추가 수업을 하지는 않는다. 교습비용은 회차 수에 따라 조정된다.
- 거의 모든 수업은 80분으로 진행된다.[예외]
- 대기라고 써 있는 곳은 현재 그 반의 정원[정원]이 꽉 찼다는 뜻이다. 대기가 있는 반에 들어가려면 웨이팅을 해야 한다.
- 학년별로 반이 구분되어 있다.
- 위 표의 시간표 및 대기 현황은 2025년 3월 기준이다.
3. 준비물
3.1. 독서포트폴리오반
3.2. 신문기자/NIE반[방학]
- 신문은 본 학원에서 배부하므로, 스케치북만 가져오면 된다. 다만 풀, 가위와 채색도구[15]도 챙겨야 한다.
3.3. 한국사/세계사반[방학]
- 쓰는 활동은 없기에 글노트는 필요가 없다.
- 고학년을 위한 스토리 한국사(A/B) 책을 들고 와야 한다.
4. 수업 진행
- ※주의: 모든 기준은 독서포트폴리오 반 기준이다.
4.1. 수업 전
- 본 학원이 위치한 건물에 들어가 교실 앞에서 대기한다.
- 수업 시작 5분 전에 교실로 들어갈 수 있다.
- 교실에 들어가 독서평설, 글쓰기 노트, 필기도구, 형광펜 등기본 준비물을 꺼내놓는다.
- 노래나 영상이 틀어져 있는 것을 감상하며 수업 준비를 한다.
4.2. 수업 중
- 보통 처음 40분 간 주제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발표하고 토의한 뒤, 지문을 읽고 뒤에 딸려 있는 평가책을 푼다.
- 평가책 문제들을 해결하면 검사를 받은 후 글노트에 선생님께서 컴퓨터에 작성해 주시는 배움 주제, 목표를 따라 쓴다.
- 마지막 30분 간 글을 작성한다.
4.3. 수업 후
- 교실에서 나가 집으로 간다.
5. 활동
- 초등 독서평설이라는 월간지로 주어진 주제에 대해 심층 해석하고 줄노트로 주제의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정리하면서 어휘력·문해력·문장력·창의력을 기르는 활동을 한다. 반마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맞춤 주제로 수업을 한다. 물론 공통 주제들도 있다.[17]
- 2~3주에 한번씩 교사가 첨삭을 해주고 피드백도 하며, 1달마다 안내표가 나간다. [18]
- 방학에는 신문을 읽고 스케치북에 자신이 말하고 싶은 주제나 정해진 주제로 신문을 오려 붙이고 주제의 관한 내용을 색깔펜으로 쓰는 특강이 있다. (신문기자/NIE)
- 수업 시간은 80분이며, 그 중 50분은 주제에 대해 토의하고, 마지막 30분 동안은 글을 쓴다. 영상이 없으면 50분 동안 글을 쓰는 경우도 있다. (독서포트폴리오반)
- 중학생 때는 문학 작품도 읽는다.
5.1. 글쓰기[19]
- [ 글쓰기노트 예시 ]
5.2. 숙제
5.2.1. 독서포트폴리오반
- 자신의 미완성된 글을 완성해오면 된다. 만약 수업 시간에 다 끝냈다면 숙제는 없다.[24]
5.2.2. 신문기자/NIE반
- 수업시간에 신문/NIE 활동을 다 끝내지 못했다면 다음 시간까지 집에서 하고 와야 한다.
6. 교습비용
수업비용 Tuition Fee | |
142,000원 (35,500원/수업) | 독서토론논술(초등) |
154,000원 (38,500원/수업) | 한결한국사 · 한결세계사 · 한결중등논술 · 재미있는 신문수업NIE |
* 1달에 142,000~154,000원 정도다.
* 교습비 납부는 매달 25일이다. 만약 납부를 까먹었다면 다음 달 첫째 주까지만 납부하면 된다.
* 가끔씩 한 달에 3번 수업하는 경우[25]가 있는데, 그러면 1달 교습비용의 ¾만 납부하면 된다.
* 25/2/25일부터 교습비용이 인상되었다.
* 독서토론: 130,000 -> 142,000 (9.2%)
* 나머지: 154,000 -> 156,000 (1.3%)
* 나머지: 154,000 -> 156,000 (1.3%)
7. 여담
- 독서평설을 모두 읽고 평가책을 다 풀면 스티커 판(30개 짜리)에 스티커를 5개씩을 붙여주는데, 다 모으면 문화상품권 5,000원을 준다. 총 6달이 걸린다.
- 해당 학원에서는 학생이 요청하면 물 대신 보리차가 나온다.[26][물맛이]
- 보통은 한결독서토론논술이라는 명칭이 너무 길어 한결이라고 보통 통용된다.
- 수강료는 1주 1회[28] 기준, 월 14만 2000원 또는 15만 6000원이다.
- 한결에 친구를 추천한 뒤 그 학생이 등록을 하면 문화상품권 3만원을 준다. [29]
- 토론은 매월 1~2째주에 한다.
- 교실에 들어오면 바로 앞에 손세정제가 배치되어 있어[30], 무조건 손세정제를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마스크 착용, 부모님은 1층까지 같은 문구들이 곳곳에 쓰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중학교 2학년이 되면 졸업한다. 중등국어는 예외다. [31]
- 수업 준비시간에는 모니터에 노래가 틀어져 있다. [32]
[1]
[2] 놀랍게도 이날은 코스피 3000을 돌파한 최초 날짜다.[3] 공식 소개글[4] 초등 독서평설[5] 독서토론논술반으로, 한결독서토론논술의 주력인 반[예외] 70분: 월요일 2교시, 90분: 1학년을 제외한 중등국어[정원] 6명[8] 샤프도 상관 없다.[9] 되도록이면 다양한 색상을 가져오자. 그래야 토론 글을 읽을 때 색깔 구별을 할 수 있다. 신문기자/NIE 반이여도 중요 내용을 표시할 때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10] 선택사항이나, 있으면 좋다.[11] 6월 첫째 주여도 수업 일수로는 5월 4주차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수업 주차를 잘 확인하고 알맞은 독서평설을 가져와야 한다.[12] Campus Note(7mm Ruled) - 저학년용 노트는 더 간격이 크다, 색상: 빨간색, 파란색, 검은색[13] 신입생이라면 안 가져와도 된다. 본 학원에서 배부하기 때문이다. 또한, 글노트를 다 써도 본 학원에서 글노트를 새로 배부하기 때문에 굳이 살 필요가 없다.[방학] 방학 한정[15] 색연필, 사인펜, 네임펜(유성) 등은 본 학원에서 배부하지만, 자신이 작품을 꾸미는 데 다른 채색도구가 필요하다면 챙겨가야 한다.[방학] 방학 한정[17] 가장 인기 있는 주제는 사사건건 토론회, 외계인의 지구인류 따라잡기 등이 있다.[18] 안내표는 1달 중에서 가장 잘 쓴 글 1편, 학부모에게 개인 안내, 주별 주제에 대한 설명 등이 적혀 있다.[19] 독서포트폴리오반 한정이다.[20] 주제의 분위기 등에 따라 글씨체, 글자 크기 및 색상이 바뀔 수 있다.[21] 보통은 배움 주제+배움 목표는 3줄 안팎이지만, 몇 달에 한 번씩 표가 등장하기도 한다.[22] 그러나 적정 가이드라인이 존재하긴 하는데, 저학년: 10(15)~40줄, 고학년: 20(25)~60줄(초과하는 건 상관 없다.)이다.[23] 저학년으로 갈 수록 더욱 그렇다.[24] 자신이 독서평설의 평가책을 스스로 푸는 것도 숙제지만, 꼭 하지 않아도 된다. 하면 하단에 서술한 바와 같이 스티커 5개를 얻을 수 있다.[25] 명절이 있는 경우[26] 보리차를 마신 컵은 나갈 때 싱크대에 넣어두어야 한다. 가끔씩 주스나 탄산음료가 나오기도 한다.[물맛이] 좋다는 학생들의 평이 자자하다.[28] 한 달에 4번[29] 참고로 독서평설을 3년 읽어야 30,000원이다.[30] 애초에 설립일이 코로나가 유행하던 시절이었다.[31] 중등국어는 중3까지 수강[32] 각종 ASMR, 디즈니 OST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