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6:51:22

하트 눈

하트눈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리듬 게임 Dynamix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Heart Eyes]]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Heart Eyes#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Heart Eyes#|]]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리듬 게임 Dynamix 수록곡: }}}[[Heart Eyes]]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Heart Eyes#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Heart Eyes#|]]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특성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

目がハート. 만화나 이모티콘 등에서 쓰이는 눈동자 묘사의 일종. 사랑을 표출하기 좋은 표현 중 하나이다.

2. 특성

파일:external/www.neoanime.co.kr/7cf1033008712b323efa58bd11236bac.gif
야한 이야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지루한 세계안나 니시키노미야.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의 하트 눈은 캐릭터가 아주 좋아하는 것을 발견했다거나, 매력적인 이성을 보고 한 눈에 반했을 때 등 매력을 느끼는 무언가를 발견해서 흥분했을 때 주로 나타나는 만화적 연출이다. 관용어로는 "눈에 콩깍지가 씌었다"라고 표현. 헤롱헤롱에 걸린 피카츄, 미남을 발견한 세일러문, 고기를 발견한 루피, 미녀를 발견한 상디 등이 작중에서 이 하트눈으로 바뀌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소년 소녀 연애물에선 주변 사람들의 인기와 관심을 한몸에 받는 미남미녀가 한명 정도 꼭 등장하므로 그 인자주 볼 수 있다.
파일:1025805.png
원피스야마카지[1]
옛날 만화에는 위 이미지처럼 눈 전체가 하트가 되는 표현을 썼었지만, 시대가 지나면서 저 연출이 너무 촌스럽다는 의견이 많아지면서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이후부터는 홍채가 하트로 변하는 표현이 더 많다.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는 하트 눈과 하트 동공을 별개의 것으로 치부하기도 한다.

하트 동공(눈)은 개그적인 표현보다 관능적인 매력이 강해, 19금 성인물에서는 성적 페티시즘의 속성으로 자주 애용된다. 여러 얀데레, 메가데레 캐릭터도 하트 눈을 띄우기도 한다.

3. 기타

  • 날아라 호빵맨메론빵소녀의 메로메로 펀치를 맞은 상대가 하트눈이 나오게 된다. 메로메로가 메론빵에서 따온 작명이기도 하지만 일본어로 사랑에 빠져서 '헤롱헤롱'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의성어로도 사용된다는 점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 벅스닌 마스터에서는 6화에서 나비닌이 풍뎅이닌의 풍뎅이 메카가 로봇이 될때 멋지다며 눈이 하트눈이 되었다!
  • 서큐버스 눈은 하트 상태라는 설정도 많이 붙는다.
  • 아사나기는 마지막에 정신붕괴할 때 하트 눈을 그린다. 본인 왈 눈에 하트만 그리면 어떤 상황에서도 여자가 행복해보인단다.(...)
    "여자아이는 모두 행복했으면 좋겠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생각했을 때 눈에 하트 마크를 그리면 그것만으로 토하고 있어도, 목매달고 있어도 행복해 보이는 그림이 되네요. 이건 마치 마법 같네요. 여러분도 꼭 해보도록 합시다."



    아사나기
  • 좀비고등학교 게임에 등장하는 NPC인 마녀 발렌타인의 리뉴얼 스킨이 이걸로 지적을 받았다. 그 이유는 상술한 뿅가죽네의 영향인지 에로만화 등을 연상시키는 성 상품화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애초에 발렌타인이라는 캐릭터 자체가 사랑의 마녀라는 컨셉에 맞춘 거라, 웬만한 사람들은 모두 이 주장에 반발하는 중이다.
파일:다윗의눈뽕.png
*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은 햇빛을 받을 때 눈이 이글거리는 듯한 광학적 효과를 주기 위해 동공을 하트 모양으로 팠다.

4. 관련 문서


[1] 보아 행콕슬레이브 애로우를 맞고 하트 눈을 띄운 채로 석화된 모습이다. 장면 자체는 2022년에 나왔으나, 해당 만화는 1997년부터 연재되기 시작했으며 고전적인 소년만화 클리셰가 최후반부까지 자주 사용되는 작품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