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하스스톤 카드일람 | ||||||
정규전 카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중립 카드 | |||||
| 특징 | 일반 등급 | 희귀 등급 | 특급 등급 | 전설 등급 | |
| ||||||
특징 | 카드 일람 | |||||
특징 | 일반 등급 | 희귀 등급 | 특급 등급 | 전설 등급 | ||
| 특징 | 일반 등급 | 희귀 등급 | 특급 등급 | 전설 등급 | |
| 특징 | 일반 등급 | 희귀 등급 | 특급 등급 | 전설 등급 | |
| ||||||
| 특징 | 일반 등급 | 희귀 등급 | 특급 등급 | 전설 등급 | |
직업 카드 | ||||||
전사 | 주술사 | 도적 | ||||
| | | | | | |
성기사 | 사냥꾼 | 드루이드 | ||||
| | | | | | |
흑마법사 | 마법사 | 사제 | ||||
| | | | | | |
악마사냥꾼 | 죽음의 기사 | |||||
| | | |
1. 개요
| |||||||||
낙스라마스의 저주 카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중립 카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간식용 좀비| 간식용 좀비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장의사| 장의사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네룹아르 그물군주| 네룹아르 그물군주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미치광이 과학자| 미치광이 과학자 ]]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불안정한 구울| 불안정한 구울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유령 들린 거미| 유령 들린 거미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돌가죽 가고일| 돌가죽 가고일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춤추는 검| 춤추는 검 ]]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유령 기사| 유령 기사 ]] | [[네루비안 알| 네루비안 알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죽음의 군주| 죽음의 군주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울부짖는 영혼| 울부짖는 영혼 ]]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썩은위액 누더기골렘| 썩은위액 누더기골렘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고동치는 수액괴물| 고동치는 수액괴물 ]]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낙스라마스의 저주#낙스라마스의 망령| 낙스라마스의 망령 ]] | [[남작 리븐데어(하스스톤)| 남작 리븐데어 ]] | ||||||
[[로데브(하스스톤)| 로데브 ]] | [[스탈라그 & 퓨진| 스탈라그 ]] | [[스탈라그 & 퓨진| 퓨진 ]] | [[맥스나(하스스톤)| 맥스나 ]] | ||||||
[[켈투자드(하스스톤)| 켈투자드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직업 카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그물거미| 그물거미 ]] | [[성기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4년#앙갚음| 앙갚음 ]] | [[주술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4년#윤회| 윤회 ]] | [[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4년#복제| 복제 ]] |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2014년#어둠의 이교도| 어둠의 이교도 ]] | [[흑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4년#공허소환사| 공허소환사 ]] | [[나무정령(하스스톤)#독성 씨앗| 독성 씨앗 ]] | [[도적(하스스톤)/카드일람/2014년#아눕아르 복병| 아눕아르 복병 ]] | |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4년#죽음의 이빨| 죽음의 이빨 ]] |
}}}
}}} ||
2. 일반 등급
2.1. 1 마나
2.1.1. 간식용 좀비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일반=, 하수인=,한글명=간식용 좀비, 일러명=간식용 좀비, 영문명=Zombie Chow,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1, 공격력=2, 생명력=3,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적 영웅의 생명력을 5 회복시킵니다.,
플레이버한=오늘은 내가 좀비 요리사!,
플레이버영=Zombie. It's what's for dinner.,
황금링크=
글루스의 보상 카드.
오버스탯을 가지고 있지만 페널티를 가진 하수인. 페널티의 효과는 화염 임프와 반대로 상대의 영웅을 치유해준다. 위니 덱을 카운터치는 저 마나 카드로, 상대 체력이 중요하지 않은 컨트롤 덱이 초반 주도권을 잡는 용도로 이용된다. 후반엔 킬각만 한 턴 늦추는 효과가 생기니 후반에는 손에 들고 있는 게 낫다.
템포가 느려서 초반을 버텨야 하는 방밀전사나 램프 드루이드, 컨트롤 사제 또는 필드를 절실하게 잡아야 하는 주술사, 성기사 등이 종종 기용한다. 사제의 경우 1턴에 나오면 필드 유지에 도움이 되고, 후반에 아키나이와 연계하면 1코짜리 정신 분열로도 쓸 수 있어 2장 꽉꽉 채워서 사용한다.[1] 아키나이 영혼사제와 리븐데어와 간식용 좀비의 하드캐리
낙스라마스에 바로 밑에 있는 장의사와 연계해서 후공 1턴 장의사-동전-간좀, 일명 장동간 콤보로 1턴에 2/3 두 마리를 까는 엄청난 템포의 콤보가 유명했다.
2.1.2. 장의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일반=, 하수인=,한글명=장의사, 일러명=장의사, 영문명=Undertaker,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1, 공격력=1, 생명력=2, 언데드=,
효과=내가 <b>죽음의 메아리</b> 하수인을 소환할 때마다 +1/+1을 얻습니다.,
플레이버한=영혼의 치유사에게 뛰어가서 바로 부활할 수 있는 아제로스에서 장의사들은 별로 할 일이 없답니다. ,
플레이버영=In a world where you can run to a spirit healer and resurrect yourself\, Undertakers do pretty light business.,
황금링크=
소환: 네 안의 망자를 끌어내라...(Bring out your dead.)
공격: 오, 좋아...(Oh, goody!)
공격: 오, 좋아...(Oh, goody!)
패치워크의 보상 카드. 성우는 서원석. 버프명은 '어둠의 부름'.
뛰어난 잠재력을 가진 1코 하수인이면서도 영웅 능력으로 바로 처리할 수 없어서 리스크가 낮고, 엄청난 스노볼링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오리지널의 오염된 노움, 낙스라마스의 간식용 좀비, 유령들린 거미, 네루비안 알, 미치광이 과학자 등 고효율 죽메 하수인들이 다수 추가되면서 엄청난 시너지를 받아 널리 기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죽음의 메아리 카드가 많고 어그로성이 짙은 사냥꾼, 위니 흑마법사가 주로 썼다. 이들 뿐 아니라 필드 싸움에 힘을 싣기 위해 사제, 주술사도 기용했다. 국민 콤보라고 불렸던 후공 1턴 장의사-동전-간식용 좀비, 혹은 장의사-동전-오염된 노움 콤보는 상대하는 플레이어의 의욕을 크게 꺾어버렸다. 이 때문에 메타를 장의사 판으로 만들었다며 비판의 목소리가 컸고, 장의세스 메이커라고 불릴 정도로 많이 굴렀다.
2015년 1월 30일 패치로 하향, +1/+1 얻던 것이 공격력만 +1 얻게 바뀌었다. 생존력이 확 줄어버려서 죽메 냥꾼과 위니흑마에겐 치명타가 되었는데, 이 둘은 장의사 없이도 중상위권에 머물렀지만 정작 죽메 사제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사제가 치명타를 입었다. 이후로는 정말 찾아보기 힘든 카드가 되었다.
암흑의 광기, 비밀결사단 어둠사제, 정신지배 등으로 상대 하수인을 내 필드에 가져오는 건 소환이 아니라서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 거울상, 얼굴 없는 배후자 등에는 발동.
야생 카드 롤백이 이루어진 20.0 패치에서 +1/+1로 다시 돌아왔다.
2.2. 2 마나
2.2.1. 네룹아르 그물군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일반=, 하수인=,한글명=네룹아르 그물군주, 일러명=네룹아르 그물군주, 영문명=Nerub'ar Weblord,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2, 공격력=1, 생명력=4, 언데드=,
효과=<b>전투의 함성</b> 하수인의 비용이 (2) 증가합니다.,
플레이버한=그물군주들은 하루 종일 거대한 트램펄린을 만들며 시간을 보낸답니다.,
플레이버영=Weblords spend all day making giant trampoline parks.,
황금링크=
소환: 네룹을... 위하여...(For Nerub...)
공격: 배고프다...(I hunger...)
공격: 배고프다...(I hunger...)
귀부인 팰리나의 보상 카드. 성우는 서원석.
마나 망령과 비슷하게 마나 증가 디버프가 양쪽 모두에게 걸린다. 성능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범용성이 좋지 않다. 벌목기에서 나오는 것을 보는 게 더 쉬울 정도. 전투의 함성이 아닌 선택, 연계 효과를 갖고 있는 드루이드나 도적과 상성이 좋다. 반대로 전투의 함성 비중이 높은 위니 흑마(화염 임프, 가혹한 하사관, 파멸수호병 등), 비밀 성기사(로데브, 수수께끼의 도전자, 박사 붐) 등의 덱과는 최악의 상성을 자랑한다. 멀록 흑마를 망쳐버린 예.긴급 소집 추가 이후 이 카드를 소집해 리노 잭슨의 발동을 막는 비트 성기사들이 간간히 보였으나 속박된 라자 하향 후엔 옛말이 되었다. 그러다 황폐한 아웃랜드 확장팩 이후로 뜬금없이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확장팩부터 다시 상향되어 야생 1티어로 군림하는 하이랜더 사제의 템포를 늦추기 위해 위니 드루이드가 취향에 따라 넣고 사용하게 된 것. 야생 위니 드루이드는 전함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다른 덱을 상대로 내도 손해볼 게 없고, 1/4 스탯에 드루이드 특유의 필드 버프로 잘 죽지 않으며, 필드 정리용 하수인 중 상당수는 전투의 함성[2]이기 때문에 채용할 수 있는 카드. 이 외에도 천정내열 사제나 비트 기사도 현재 1티어 덱인 해적 전사와 두억시니 빙결 주술사가 쓰는 하수인이 거의 90% 이상이 전투의 함성 하수인이기 때문에 이 덱을 카운터치고자 넣기도 한다. 덕분에 야생에서 현재 로데브와 함께 유이하게 제대로 쓰이는 낙스라마스 카드가 되었다.
2023년 1월 기준으로 야생에서 이 카드를 쓰는 덱은 긴급 소집을 쓰는 비트기사나 어그로 드루이드가 끝이며, 두 덱이 그렇게 좋은 덱은 아니라 메타에서 잘 보이는 카드는 아니다. 2024년 첫 확장팩 위즈뱅의 장난감 공방의 첫 패치 이후 짝수 성기사의 숨통이 트여 다시 긴급 소집으로 이 하수인이 나오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게 되었다.
비용이 9~10인 하수인은 필드에 이게 뜨면 소환할 수가 없다. 그래서 데스윙, 고대 신들을 쥐고 있어도 벌목기에서 뜬금없이 이게 떨어진다거나 해서 필드에 뜨면 데스윙은 손에서 놀아야 한다.
하스스톤 게임 디자이너인 Gallon에 의하면 카드 설명이 일부러 비일관적으로 된 카드라고 한다. 영문 카드 설명은 "Minions with Battlecry cost (2) more.(전투의 함성이 있는 하수인의 비용이 (2) 증가합니다.)"라고 적혀있는데, 다른 카드처럼 "Battlecry minions cost (2) more.(전투의 함성 하수인의 비용이 (2) 증가합니다.)"라고 적지 않은 이유는 후자처럼 적으면 "Battlecry: Minions cost (2) more.(전투의 함성: 하수인의 비용이 (2) 증가합니다.)"로, 즉 전투의 함성으로 하수인의 비용을 2 증가시키는 카드처럼 잘못 읽힐 수도 있기 때문. 그래서 일부러 통일성을 포기하고 전자처럼 적은 것이라고 한다. # 한국어 번역은 그것을 고려하지 않아서 영문판이 피하려고 했던 것과 똑같이 오독될 수 있다.
2.2.2. 미치광이 과학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일반=, 하수인=,한글명=미치광이 과학자, 일러명=미치광이 과학자, 영문명=Mad Scientist,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2, 공격력=2, 생명력=2,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덱에 있는 <b>비밀</b>을 시전합니다.,
플레이버한=어머니는 마법사나 흑마법사가 되길 바랐지만\, 그는 결국 아버지의 뒤를 이어 과학자가 되었답니다.,
플레이버영=His mother wanted him to be a mage or a warlock\, but noooooooo\, he had to go and be a scientist like his father.,
황금링크=
소환: 내가 보여주겠다, 모두에게 증명하겠다!(I'll show them! I'll show them all!)
공격: 저능아들!(Fools!)
사망: 과학을 위하여!(For science!)
공격: 저능아들!(Fools!)
사망: 과학을 위하여!(For science!)
그라불루스의 보상 카드. 일러스트 원본은 교수 퓨트리사이드다. 성우는 장호비.
덱에 있는 비밀을 시전해버리는 엄청난 효율의 카드. 2/2 하수인은 1 마나 정도이고 죽메가 2마나 마법사주문 고대의 비밀과 거의 비슷하다. 단순계산하기 어려운 요소를 모두 배제해도 3마나 이상의 가치가 있는 미치광이 카드다.
비밀을 쓰는 사냥꾼, 마법사 덱에선 개사기 카드로 맹활약했다. 이 카드와 장의사가 죽메 냥꾼 OP화의 가장 큰 축을 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얼방 법사 역시 이 카드로 얼방을 빠르게 걸고 다녔다.[3] 2마나라 침묵을 빼도 그리 손해가 아니고, 케잔으로 비밀을 뺏지 않는 한 카운터를 치기도 까다롭다. 무작위라는 것이 사소한 단점인데, 그나마도 덱에 넣는 비밀의 종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컨트롤이 가능하다.
덱에 있는 비밀을 이미 걸고 있다면 효과가 발동되지 않고, 이 효과로 걸린 비밀은 비밀지기의 스탯을 상승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성기사는 과학자를 잘 쓰지 않는다. 성기사의 비밀은 1마나로 저렴하고, 종류도 많아서 큰 이득을 보기가 힘들며, 비밀지기를 키울 수도 없기 때문. 성기사는 후에 수수께끼의 도전자를 이용한 비밀 덱으로 악명을 떨쳤다.
상대 하수인의 전투의 함성으로 과학자가 처치되면서 거울상을 건 경우, 거울상이 즉시 발동되어 상대 하수인이 복사된다. 예를 들어, 상대가 데스윙을 내서 과학자가 거울상을 불러오면, 바로 데스윙이 복사된다.
이후 정규전의 도입으로 이 카드도 야생으로 떠났다. 이후 운고로를 향한 여정에서 법사에게 비전학자[4]가 나왔는데 이걸 본 유저들은 일제히 과학자가 얼마나 사기였는지를 다시 체감했다.
한국어판의 대사가 너무 찰지고, 워낙 볼 일도 많아서 유저들에겐 인기가 많다.
그리고 2017년, 이 카드의 원본인 교수 퓨트리사이드가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확장팩에서 사냥꾼 전설로 나왔다. 효과 역시 비밀 지원. 문서 참고.
야생에서는 거의 마법사 직업카드 취급을 받는다. 이 카드 때문에 야생 마법사가 마나를 정직하게 지불하고 비밀을 시전하는 꼴을 볼 수가 없다.
2.2.3. 불안정한 구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일반=, 하수인=,한글명=불안정한 구울, 일러명=불안정한 구울, 영문명=Unstable Ghoul,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2, 공격력=1, 생명력=3, 언데드=,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b>모든</b> 하수인에게 피해를 1 줍니다.,
플레이버한=요즘 강령술사 학교에서 잘 나가는 애들은 자신의 구울을 로켓 연료로 채우곤 한답니다.,
플레이버영=Filling your Ghouls with Rocket Fuel is all the rage at Necromancer school.,
황금링크=
부정의 헤이건의 보상 카드.
누더기골렘의 염가버전이지만, 누더기골렘과 달리 영웅에게는 피해를 주지 않는다. 공격력은 1이지만 죽음의 메아리 효과로 3/2 하수인과도 1:1 교환이 가능하다. 초반 위니덱의 기세를 적은 비용으로 막아내면서 중후반전을 노리길 원한다면 유용한 카드. 하수인이 피해를 입는 상황과 연계할 방법이 풍부한 전사가 특히 애용할만하다. 하지만 죽음의 메아리라서 효과 발동이 수동적이고, 죽음의 이빨이 훨씬 좋아서 좀 미묘한 위치에 있다.
검은 바위 산 이후에는 전쟁노래 사령관으로 돌진을 부여해서 들이박는 용도로 손놈 전사가 기용하기도 했고, 사령관 너프 이후론 로데브만큼은 아니지만 손놈을 보호할 때 쓰면 꽤 쏠쏠하다.
먼동먼 하드카운터.
2.2.4. 유령 들린 거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일반=, 하수인=,한글명=유령 들린 거미, 일러명=external/media-hearth.cursecdn.com/635415458041758417, 영문명=Haunted Creeper,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2, 공격력=1, 생명력=2, 야수=,
효과=<b>죽음의 메아리:</b> 1/1 유령 거미를 2마리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여기에 쓸 거미에 대한 내용을 찾다보니 거미 공포증에 걸린 것 같습니다...,
플레이버영=Arachnofauxbia: Fear of fake spiders.,
황금링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기본=, 하수인=,
한글명=유령 거미, 일러명=유령 거미, 영문명=Spectral Spider,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1, 공격력=1, 생명력=1, 언데드=, 야수=,
효과=-,
황금링크=
수집불가= )]
아눕레칸의 보상 카드.
허수아비 골렘과 비슷한 사망시 토큰을 남기는 하수인. 나온 직후의 전투 능력은 그리 좋지 않지만, 죽어서 1/1 토큰을 둘이나 남기니 깔끔하게 처리하기 상당히 까다롭다. 드루이드나 주술사처럼 필드에 하수인을 되도록 남겨야 하는 직업에게 특히 효율이 좋으며, 위니덱의 키카드인 단검 곡예사와도 시너지가 좋다. 야수 카드인 만큼 야수에 특화된 사냥꾼도 쓰기 좋은 카드.
지금와서 의미는 없지만 리치 왕의 진군에서 이중 종족이 도입되면서 토큰도 야수가 맞게 되긴 했다.
2.3. 3 마나
2.3.1. 돌가죽 가고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일반=, 하수인=,한글명=돌가죽 가고일, 일러명=돌가죽 가고일, 영문명=Stoneskin Gargoyle,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3, 공격력=1, 생명력=4, 언데드=,
효과=내 턴이 시작될 때\, 이 하수인은 생명력을 모두 회복합니다.,
플레이버한=특기: 얼음땡,
플레이버영=Stoneskin Gargoyles love freeze tag.,
황금링크=
역병술사 노스의 보상 카드.
턴만 넘기면 체력이 다시 최대치로 돌아오는 효과를 지닌 하수인. 능력 자체는 괜찮지만 3마나 1/4의 스탯이 너무 안 좋아서, 버프를 걸어서 쓰는 게 강요되는 카드이다. 일반적으로 하스스톤에서는 자신의 턴에 상대 하수인을 한번에 죽일 수 없다면 아예 공격하질 않아서 효과를 제대로 누리는 경우도 거의 없다. 당연하지만, 아키나이 영혼사제와 필드에 같이 있을 때는 회복이 피해로 전환되므로 사용에 유의할 것.
사제나 성기사처럼 좋은 버프 마법이 있는 직업의 경우, 가고일을 내놓고 버프를 한두개 걸어준다면 상대에게 골칫거리가 되기는 한다. 무조건 최대 체력으로 회복되니 죽지만 않는다면 필드를 지속적으로 장악할 수 있다.
모험 모드를 천정내열로 깰 때 고려해볼만하다. 무작위 제압기가 아닌 이상 인공지능이 공격력이 낮은 가고일을 잘 건드리지 않으므로, 벨렌을 발라주고 지속적으로 하수인과 교환하면 혼자서 몇마리씩 잡아먹고 캐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우두머리들을 상대로 버프 없이 바로 낸다면 높은 확률로 영혼의 불꽃을 맞는다.
여담이지만, 같은 텍스트를 쓰는 다른 카드들과는 달리 "생명력을 전부 회복"하는 효과가 자신의 최대 체력만큼 힐을 하는 메커니즘이 아니라 자신이 입은 피해만큼 힐을 하는 메커니즘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 카드의 유일한 활용처가 있다면 부정의 헤이건 영웅모드 클리어정도가 끝이다.
2.3.2. 춤추는 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일반=, 하수인=,한글명=춤추는 검, 일러명=external/img3.wikia.nocookie.net/250px-DancingSwords, 영문명=Dancing Swords,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3, 공격력=4, 생명력=4,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상대편이 카드를 뽑습니다.,
플레이버한=본래 이름은 "(레게 음악에 맞춰) 춤추는 검"입니다.,
플레이버영=They like to dance to reggae.,
황금링크=
훈련교관 라주비어스의 보상 카드.
마나 대비 공체합이 높은 대신 핸디캡이 붙은 하수인. 3마나 4/4의 능력치 자체는 몹시 효율이 좋지만 죽음의 메아리가 뼈아프고, 선공으로 내건 후공으로 내건 다음 턴에 상대는 벌목기 같은 고효율 중립 하수인으로 이 카드에 우위를 점할 수 있다. 같은 3마나인 부상당한 검귀가 4/3인데, 이 카드는 체력 1을 더 얻는 대신 죽음의 메아리로 카드 드로우를 주는 페널티가 있는 셈이니 썩 효율이 좋다고 보기 힘들다. 다만 상대에게 드로우를 주는 효과가 절실하게 필요한 핸파덱에서는 굉장히 훌륭한 초반 전투용 하수인.
2.4. 5 마나
2.4.1. 유령 기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일반=, 하수인=,한글명=유령 기사, 일러명=유령 기사, 영문명=Spectral Knight,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5, 공격력=4, 생명력=6, 언데드=,
효과=<b>모면</b>,
플레이버한=요정용과 유령 기사의 공통점이 뭐냐고요? 음... 둘 다 파스타를 좋아한다는 거?,
플레이버영=What do Faerie Dragons and Spectral Knights have in common? They both love pasta!,
황금링크=
영혼착취자 고딕의 보상 카드. 성우는 최낙윤.
요정용의 강화버전. 체력이 2로 낮은 요정용은 튼튼한 하수인과 광역기가 갖춰지는 중반부터는 활약하기 힘든 단점이 있지만, 유령 기사는 중반 하수인과 광역기에 대항할 수 있다. 하수인으로 침묵을 걸거나 하지 않는 이상 주문이나 영능을 활용해서 잡기가 굉장히 힘들고[5] 스탯도 4/6으로 잘 분배되어 있다.
출시 전에는 로데브와 함께 5코 라인의 신성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다. 카드 자체의 성능도 좋은 편인데다 출시 시점에 강세를 보이던 미라클 도적이 정리하기 힘들게 만들기 위해 미드 드루이드가 주로 사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함께 추가된 로데브와 썩은위액 누더기골렘이 워낙 좋은 데다가 하필 둘 다 체력이 5라 미드레인지 환경에서 5공 카드가 대세가 되면서 경쟁에서 밀려났다. 무난하게 좋은 능력과 스탯으로 투기장에서는 좋은 카드로 평가받았다.
이와 관련된 별명 중 '판도 기사'가 있는데 레니아워가 낙스라마스 출시 당시 '이 카드는 판도를 바꿀만한 카드다.'라고 평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때문레 레니아워 본인도 다른 주문 면역 카드가 나올 때마다 판도 드립을 치기도 한다. 후에 추가된 대마법 보호막을 대규모 판도화라고 부른다거나 하는 식. 다만 이 카드가 나쁜 게 아니라 다른 카드가 워낙 사기라서 평가가 바뀐 것이며, 실제로 레니아워가 이걸 사용한 덱으로 블리즈컨을 갔고 Firebat의 월챔 우승덱에도 들어가기도 했으니 아주 틀린 평가는 아니다.
3. 희귀 등급
3.1. 2 마나
3.1.1. 네루비안 알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희귀=, 하수인=,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한글명=네루비안 알, 일러명=네루비안 알, 영문명=Nerubian Egg,
비용=2, 공격력=0, 생명력=2,
효과=<b>죽음의 메아리</b>: 4/4 네루비안을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네루비안 알은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죠.,
플레이버영=Eggs are a good source of protein and Nerubians.,
황금획득=제작,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FP1_007.webm?219197)]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네루비안 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네루비안 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3 마나
3.2.1. 죽음의 군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희귀=, 하수인=,한글명=죽음의 군주, 일러명=죽음의 군주, 영문명=Deathlord,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3, 공격력=2, 생명력=8, 언데드=,
효과=<b>도발</b>. <b> 죽음의 메아리:</b> 상대편이 덱에서 하수인을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무덤에서 일어나라! - 켈투자드 ,
플레이버영="Rise from your grave!" - Kel'Thuzad,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FP1_009.webm?219197, 황금획득=제작,
간판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sig_webms/FP1_009.webm?219197, 간판획득=이벤트)]
소환: 죽음 따위 두렵지 않다!(Death does not scare me!) 죽음은 안 두려운데 고통은 두렵다.
공격: 죽음!(Death!)
사망: 안돼, 안돼!!(No, noo!)
4인 기사단의 보상 카드. 착용하고 있는 장비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투기장 9시즌 '흉포한 검투사의 죽음판금 셋트'이다.공격: 죽음!(Death!)
사망: 안돼, 안돼!!(No, noo!)
죽군 역캐리1. 죽군 역캐리2.
3 마나 2/8 도발이라는 사기 스탯을 갖고 있지만, 일단 죽었다 하면 상대방 덱에 있는 하수인 중 하나를 무작위로 소환시키기 때문에 제대로 역 캐리를 불러 올 수 있다. "죽음 따위는 두렵지 않다!"며 호기롭게 나오지만 정작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이 녀석이 죽을 때 나는 대사만큼이나 절망을 안겨 줄 수 있다.
상대가 고 마나 전설을 채용하는 덱인 것 같다 싶으면 웬만해선 안 내는 것이 이득이다. 당장 3 마나에 이 카드를 냈는데 바로 제압당하고 라그나로스, 이세라, 타우릿산이 튀어나온다고 생각하면 최악. 페널티가 있는데 성능 좋은 파멸수호병, 부상당한 검귀, 얼굴 없는 화염투사도 노 페널티로 툭 내보낼 수 있다. 안 그래도 전설 많이 쓰는 전사는 마무리 일격, 방패 밀쳐내기 등 저렴한 저격기가 풍부하고, 사제나 성기사 역시 이거 하나 정도는 제압할 수 있다. 사제야 위협적인 고 마나 하수인이 별로 없다고 쳐도, 성기사를 상대로 초반에 티리온이 뜬다고 생각하면 끔찍하기 짝이 없다. 그나마 드루이드의 경우엔 제압기도 변변치 않기 때문에 사정이 좀 낫다.
반대로 명치를 털어가는 위니 덱을 상대로는 그야말로 통곡의 벽이 된다. 무작위 적 하수인을 하나 뽑아도 위니일 확률이 높아 크게 위협적이지 않고, 상대가 하수인만으로 이걸 교환해준다면 상당한 교환비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돌냥이나 위니흑마는 필드 딜을 이 카드 하나에만 집중시켜야 했기 때문에 손해가 심했다. 다만 파멸수호병이나 사바나 사자가 튀어나오면 그대로 게임이 터지기 때문에 위험 요소는 여전히 안고 있었다. 심지어는 위니 덱이 자기 하수인을 보호하려고 이 카드를 넣기도 했다.
또한 죽음의 군주로 튀어나온 하수인은 전투의 함성이 발동되지 않기 때문에, 전투의 함성 비중이 높은 덱은 잡기도 애매한 상황이 벌어진다. 올빼미, 배후자, 나이사, 다르나서스 지원자, 로데브, 얼방의 알렉스트라자, 방밀의 심판관 트루하트와 엘리스 스타시커, 파마의 수수께끼의 도전자, 희망의 끝 요그사론[6], 각종 하이랜더 덱의 카자쿠스와 리노 잭슨
가장 잘 사용하는 직업은 사제. 필드전이 약해 초반 위니덱에 속수무책으로 두들겨맞기 일쑤였는데 사제는 영능으로 회복을 시켜가면서 지속적인 방벽을 유지할 수도 있고, 보기 드문 고체력 하수인이므로 벨렌의 선택, 천정내열 등 체력 관련 버프로 순식간에 부담스러운 하수인으로 성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벨렌의 선택으로 강화된 죽음의 군주는 4/12의 스탯을 지녀 죽세라란 별명이 붙는데, 사제의 저격기에도 노려지지 않으면서 수많은 공격을 버텨낼 수 있어 절대적인 위엄을 자랑한다. 벨렌 안 붙이고 '뚫을만한' 벽인 상태로 상대에게 손해를 감수하며 제압기를 유도해도 좋고, 사제의 경우는 박사 붐이나 데스윙 같은 걸 죽음의 군주로 억지로 꺼내준 뒤에도 패 한 장으로 제압할 수단이 꽤 많이 있으니, 핸드에 들어와도 제압기 다 빠질 때까지 안 낼 셈으로 벼르고 있던 고 마나 하수인을 손쉽게 처치해버릴 수도 있다. 버프 카드를 많이 채용하는 사제일 경우 상대의 침묵, 제압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는데 죽음의 군주는 제압당하기 전에 빠르게 이득을 볼 수 있어 좋다.
공개 당시부터 평이 오락가락했고, 출시 후 위니 메타가 도래하자 카운터 용도로 주로 채용되었다. 그러나 점차 위니덱만 만난다는 보장이 없어서 평가가 낮아졌다가, 복제와 메디브의 메아리를 총동원하면서 버티다가 상대 덱을 털어서 끝내는 탈진 법사에게 채용되었다. 사제나 핸파도적 외에는 잘 채용되지 않다가 정규전 도입으로 야생으로 떠났는데, 비열한 거리의 가젯잔에서 등장한 해적 전사가 야생에서도 날뛰자 리노 덱에 초반 도발벽 용도로 채용되었다. 버텨내기만 하면 후에 느조스로 살릴 수도 있고, 이거라도 있어야 해적의 초반 공세를 버틸 수 있다.
죽음의 군주가 생매장이라도 당하면 3 마나 페널티 하수인을 넘겨주는 셈이고 침묵을 맞아도 위험천만한 페널티가 사라졌으니 그리 손해는 아니다. 죽음의 군주를 넣은 천정내열덱은 그라불루스처럼 난이도가 어려운 모험 모드 영웅 난이도를 클리어하는 데도 일조했다. 이 카드로 인해 실바 등 죽메 하수인이 나오면 죽메 선후 관계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출시 이후 하수인이 소환되면 하수인 고유의 대사가 나오는 것으로 패치되었다.
코볼트와 지하 미궁이 출시된 이후 '소집'이란 키워드가 나왔음에도 설명이 '상대편에게 하수인을 하나 소집해줍니다'같은 식으로 변경되진 않았다.
덱에 하수인이 없는 주문 사냥꾼이 힘을 얻었던 시기에는 야생한정이지만 노페널티 고스펙 도발 하수인으로 활약할 수 있었다. 천정내열 사제 외의 덱에서도 심심찮게 볼 수 있는 수준. 비겁한 밀고자도 비슷한 혜택을 받았으나 그 쪽은 오히려 전함으로 상대 하수인을 끄집어내는 것이 본래 용도에 가까워서 죽음의 군주처럼 애용되지는 못했다.
2023년 간판 카드로 일러스트가 갱신되었다. 기존의 좀 허접스러워보였던 이미지랑 다르게 멋져진 모습이 보인다.
3.3. 4 마나
3.3.1. 울부짖는 영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희귀=, 하수인=,한글명=울부짖는 영혼, 일러명=울부짖는 영혼, 영문명=Wailing Soul,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4, 공격력=3, 생명력=5, 언데드=,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다른 하수인들을 <b>침묵</b>시킵니다.,
플레이버한=정말 쉬지도 않고 계속 울부짖네요. 영혼아. 밥은 먹고 다니니?,
플레이버영=This soul just wails on you. Dang\, soul\, let up already.,
황금링크=
타디우스의 보상 카드.
자기 하수인을 전부 침묵시키는 특이한 효과의 하수인. 자체 페널티가 있는 고대의 감시자, 괴수, 지옥절단기 등과 활용하면 페널티를 없애고 유리한 스탯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울부짖는 영혼 자체는 그냥 나오면 도발 빠진 센진이나 다름없기에 패가 꼬여서 페널티 있는 하수인 없이 단독으로 내야 할 상황에서는 크게 손해라는 것이 문제. 그나마 냉법 상대로는 괜찮은 효율을 보인다.
이후 탐험가 연맹에서 새롭게 추가된 으스스한 석상과의 연계를 노린 울영 드루이드 덱이 잠시 반짝하기도 했으나 손패가 너무 잘 말리고 어그로 덱을 상대로는 영 재미보기가 힘든 덱이라 주류 덱으로는 자리잡지 못했다. 운고로에서 침묵 사제가 정립되었으나 이미 이 카드는 야생으로 떠난 뒤였다. 다만 침묵사제가 침묵을 거는 카드는 정화, 침묵의 주문 카드들이고 암흑의 환영이라는 걸출한 서치 카드로 패말림을 최소화할 수 있었지만, 하수인인 이 카드가 정규전에 남아있었어도 활용되었을지는 미지수.
야생에서도 상대의 광역 빙결의 카운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야생에서는 광역 빙결이 법사말고는 사실상 없어서 채용은 예능 수준이었는데 알터랙 계곡에서 나온 두억시니 주술사의 필수 카드인 눈사태 수호자에 대응하기 위한 짝수 흑마가 무조건 2장씩 꽉꽉 채워넣는 필수 카드로 부상했다.
3.4. 5 마나
3.4.1. 썩은위액 누더기골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희귀=, 하수인=,한글명=썩은위액 누더기골렘, 일러명=Sludge Belcher-cn, 영문명=Sludge Belcher,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5, 공격력=3, 생명력=6, 언데드=,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b>도발</b> 능력이 있는 1/2 수액괴물을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주의: 맥주를 주지 마시오.,
플레이버영=DO NOT GIVE HIM A ROOT BEER.,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FP1_012.webm?183876, 황금획득=제작)]
소환: 뱃속이...이상해...!(Sludge feels funny..)
공격: 으, 음. 오우...실례.(*Belch* Excuse me..)
공격: 으, 음. 오우...실례.(*Belch* Excuse me..)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기본=, 하수인=,
한글명=수액괴물, 일러명=external/img2.wikia.nocookie.net/250px-Slime, 영문명=Slime,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1, 공격력=1, 생명력=2,
효과=<b>도발</b>,
황금링크=
수집불가= )]
로데브의 보상 카드.
센진 방패대가 + 황금골 보병. 마나도 마침 4+1=5다.
도발이 붙어 있어 이 카드를 먼저 제거하면 토큰에도 도발이 달려있다. 하수인 하나에 두 장의 능력치가 들어있는 셈. 도발 + 죽음의 메아리의 절묘한 조화로 하스스톤 판을 평정하던 수많은 명치덱들의 킬각을 늦춰서 게임의 전체적인 템포까지 느리게 만들었다. 명치덱의 대장격이던 T6, 즉 무조건 명치만 쳐서 6턴 내에 끝내는 타입의 덱들은 거의 사형선고를 맞고 멸종해버렸다. 더불어 이 카드를 처리하기 위해서 공격력 4 하수인의 기용이 줄고,[7] 대신 공격력 5 하수인들이 많이 기용되었다. 로데브의 경우엔 오히려 명치덱이나 냉법을 제외한 콤보덱이 잘 쓴 반면, 이쪽은 명치 보호에 확실하게 도움을 줬다. 낙스라마스 카드 중 가히 필수 카드의 반열에 올라 대회덱 공용 카드 중 지명률 원탑을 찍으며 낙스라마스 메타의 중심이 되었던 카드.
야생으로 떠난 후에도 야생에선 맹활약하고 있다. 특히 야생에선 최강의 고대신인 느조스의 효과로 한 번 더 살릴 수 있고, 빠른 템포의 해적전사를 상대로도 무기 한 방에 뚫리는 일이 잦긴 하지만 어쨌든 큰 피해는 두 번 막아줄 수 있다. 정규전을 지배하는 해적들 때문에 해적에 시달린 유저들은 한동안 누더기를 그리워했다. 침묵을 맞으면 그대로 바보가 되니 조심하자.
울둠의 구원자에서 카르투트 수호병이 나온 이후에는 야생에서도 채용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인데 1 마나 차이가 나지만 어그로상대로 체력을 +6 시켜주는 효과와 환생시 공격력이 3인 부분이 좀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4. 특급 등급
4.1. 2 마나
4.1.1. 고동치는 수액괴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특급=, 하수인=,한글명=고동치는 수액괴물, 일러명=external/media-hearth.cursecdn.com/7754, 영문명=Echoing Ooze,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2, 공격력=1, 생명력=2,
효과=<b> 전투의 함성:</b> 턴이 끝날 때\, 이 하수인을 복사하여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끈적... 끈적... 끈적... ,
플레이버영=OOZE... Ooze... Ooze... (ooze...),
황금링크=
사피론의 보상 카드.
기본 능력치 자체는 약하지만 마나가 적고 소환한 턴에 버프를 주면 버프받은 그대로 복제되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아무 버프 없이 올려도 2코에 1/2짜리 2마리가 되므로 칼같이 내도 그만이고, 지속적인 버프가 충실한 성기사나 드루이드라면 약간 더 공을 들여서 효율 좋게 필드를 장악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주 쓰이는 카드는 아니고 필드에 하수인을 최대한 전개하는걸 좋아하는 드루이드가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양조사등 하수인을 손으로 되돌려보내는 카드들과 같이 사용하면 여러번 복제할 수 있다.
마녀숲이 출시된 이후, 이 하수인과 톨비르 바위세공사, 황혼의 비룡과 한밤의 비룡 등을 짬뽕한 야생 두억시니 덱에서 극혐필드를 만들어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4.2. 3 마나
4.2.1. 낙스라마스의 망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특급=, 하수인=,한글명=낙스라마스의 망령, 일러명=낙스라마스의 망령, 영문명=Shade of Naxxramas,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
비용=3, 공격력=2, 생명력=2, 언데드=,
효과=<b>은신</b> 내 턴이 시작될 때\, +1/+1을 얻습니다.,
플레이버한=전설도 아니면서 그룰보다 높은 생존력을 자랑합니다.,
플레이버영=The Shades of Naxxramas hate the living. They even have a slur they use to refer them: Livers.,
황금링크=
소환: 낙스라마스는… 우리 것이다…(Naxxramas is ours…)
공격: 침입자다!(Trespasser!)
공격: 침입자다!(Trespasser!)
켈투자드의 보상 카드. 성우는 정성훈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낙스라마스에 있는 셰이드 몹이다.
미니 그룰. 3코라고 하기엔 스펙이 안좋지만 내 턴이 시작될 때마다 '흡수'라는 버프를 받아 +1/+1씩 능력치가 상승하기에 사실상 3/3의 능력치로 시작하는 셈이다. 심지어 은신이다! 3 마나에 3/3 은신 하수인이라고 생각하면 일단 내면 손해는 아닌 셈이며, 적당히 키워서 영웅딜을 넣거나 상대의 고 마나 하수인을 저격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다. 마나 부스팅, 자군야포와의 시너지를 노리는 드루이드에게 주로 채용된다.
시공의 폭풍에 빨려들어간 켈투자드의 20레벨 특성으로 등장한다.
5. 전설 등급
5.1. 4 마나
5.1.1. 남작 리븐데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전설=, 하수인=,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한글명=남작 리븐데어, 일러명=남작 리븐데어, 영문명=Baron Rivendare,
비용=4, 공격력=1, 생명력=7, 언데드=,
효과=내 하수인들의 <b>죽음의 메아리</b> 능력이 2번 발동합니다.,
플레이버한=원래 켈투자드를 지키는 건 5인 기사단이었지만\, 한 명은 밤낮없는 격무에 진절머리를 내며 근무 시간과 복지 혜택이 좋은 죽음의 폐광 경비병으로 이직했습니다.,
플레이버영=There used to be five Horsemen but one of them left because a job opened up in the deadmines and the benefits were better.,
황금획득=제작,
황금링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작 리븐데어(하스스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작 리븐데어(하스스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5 마나
5.2.1. 로데브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전설=, 하수인=,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한글명=로데브, 일러명=로데브, 영문명=Loatheb,
비용=5, 공격력=5, 생명력=5, 언데드=,
효과=<b>전투의 함성</b>: 다음 턴에 상대편이 시전하는 주문의 비용이 (5\) 증가합니다.,
플레이버한=평범한 수렁괴물 로데브\, 몸에서 버섯 재배 수확 '충격',
플레이버영=Loatheb used to be a simple Bog Beast. This is why we need stricter regulations on mining and agriculture.,
간판=,
간판획득=시간의 동굴 카드팩,
간판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sig_webms/FP1_030.webm?219197,
다이아=,
다이아획득=낙스라마스의 저주 카드 모두 획득,
다이아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dia_webms/FP1_030.webm?219197,
황금획득=제작,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FP1_030.webm?219197)]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데브(하스스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데브(하스스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2. 스탈라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전설=, 하수인=,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한글명=스탈라그, 일러명=스탈라그, 영문명=Stalagg,
비용=5, 공격력=7, 생명력=4,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퓨진이 죽은 상태라면\, 타디우스를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스탈라그 잘생겼다!" (스탈라그가 쓴 거 아님),
플레이버영=Stalagg want to write own flavor text. "STALAGG AWESOME!",
황금획득=제작,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FP1_014.webm?219197)]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탈라그 & 퓨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탈라그 & 퓨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3. 퓨진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전설=, 하수인=,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한글명=퓨진, 일러명=퓨진, 영문명=Feugen,
비용=5, 공격력=4, 생명력=7,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스탈라그가 죽은 상태라면\, 타디우스를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퓨진은 슬픕니다. 스탈라그가 잘생겨서요.,
플레이버영=Feugen is sad because everyone likes Stalagg better.,
황금획득=제작,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FP1_015.webm?219197)]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탈라그 & 퓨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탈라그 & 퓨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 6 마나
5.3.1. 맥스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전설=, 하수인=,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한글명=맥스나, 일러명=맥스나, 영문명=Maexxna,
비용=6, 공격력=2, 생명력=8, 야수=,
효과=<b>독성</b>,
플레이버한=맥스나는 사람들이 자신을 "맵시나"라고 부르는 걸 싫어합니다.,
플레이버영=Maexxna gets super mad when people introduce her as "Maxina" or "Maxxy".,
황금획득=제작,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FP1_010.webm?219197)]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맥스나(하스스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맥스나(하스스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4. 8 마나
5.4.1. 켈투자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전설=, 하수인=, 확장팩=낙스라마스의 저주,한글명=켈투자드, 일러명=켈투자드, 영문명=Kel'Thuzad,
비용=8, 공격력=6, 생명력=8, 언데드=,
효과=각 턴이 끝날 때\, 이번 턴에 죽은 모든 아군 하수인을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켈투자드는 리치 왕의 부름에 저항할 수 없었습니다. 녹음된 목소리로 리치 왕의 덕을 찬미하는 전화가 계속해서 걸려왔거든요.,
플레이버영=Kel'Thuzad could not resist the call of the Lich King. Even when it's just a robo-call extolling the Lich King's virtues.,
황금획득=제작,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FP1_013.webm?219197)]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켈투자드(하스스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켈투자드(하스스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다만 스탯이 2/3이라 영능만으로는 자해가 불가능하다.[2] 카자쿠스, 고드프리 경, 제피르스 등[3] 법사의 경우, 단순 계산으로 1마나 급 스탯 + 3마나 비밀을 카드 한 장으로 압축해버린 셈이라 실질적인 기대 마나는 5마나 수준이다.[4] 2마나 2/3, 덱에 있는 비밀을 무작위로 한 장 뽑는 서치 카드[5] 사제, 마법사, 도적 직업이 특히 잡기 어렵다.[6] 실제로 팜블라드는 죽군 때문에 요그사론 덱들이 야생에서 잘 못 날뛴다고 말한 적이 있다.[7] 대표적으로 나름 인기 카드였던 은빛십자군 부대장은 낙스 패치 후 멸종해버렸다. 자군야포는 여전히 쓰였지만, 얘 혼자 자군야포 10딜을 받아줬기 때문에 자군야포가 사라지고 이 카드가 야생을 가기 직전까지 항상 자군야포 덱은 이 카드를 보면서 이를 바득바득 갈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일반 등급,version=63, uuid=cf60fa30-1dc6-4d40-b793-87f7f69c77ad,
title2=하스스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희귀 등급,version2=31, uuid2=4586b177-15d7-4242-8fe6-a3b61af84328,
title3=하스스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특급 등급,version3=51, uuid3=2dd8a62b-e915-4fde-99f4-bef4a6d9a4b8,
title4=하스스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전설 등급,version4=12, uuid4=d56f0ab9-2b31-473a-aed9-879ac9cb631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