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가구·공예 분야 자격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가구제작기능사 | → | 가구제작산업기사 | → | - |
귀금속가공기능사 | 귀금속가공산업기사 | 귀금속가공기능장 | |||
도자공예기능사 | - | - | |||
목공예기능사 | - | - | |||
보석가공기능사 | - | - | |||
보석감정사 | 보석감정산업기사 | - | |||
- | 보석디자인산업기사 | - | |||
석공예기능사 | - | - | |||
피아노조율기능사 | 피아노조율산업기사 | - | }}}}}}}}} |
피아노조율기능사 피아노調律産業技士 Industrial Engineer Piano Tuner | |
중분류 | 232. 목재·가구·공예 |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1. 개요
피아노조율산업기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 목재·가구·공예 분야의 산업기사 등급에 해당하는 자격증이다. 피아노는 악기지만 철제 프레임과 목재 음향판으로 이루어진 공예품이라 분야가 저렇게 지정되었다. 피아노 조율사가 주로 하는 튜닝 작업에 해당하는 자격증이다.응시자가 극히 적은 관계로 2025년 기준 3회차 시험만 시행된다. 필기 격년제 과목으로 2026년 필기시험은 없다. 그도 그럴것이 층간소음 소음공해 문제로 인하여 어쿠스틱 피아노를 구비하는 가정집이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대부분 디지털 피아노나 스테이지 피아노를 구비한다.
자격 특성상 절대음감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많거나 피아노를 연주할 줄 아는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유일하게 음악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이기 때문이다.
2. 필기
- 피아노구조 및 조율법
- 음향학 및 정음
- 피아노조정 및 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