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03:17:32

플라비아(스트리노바)


파일:스트리노바_로고_en.png
슈퍼스트링 목록
{{{#!wiki style="margin: 0 -0px -6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진영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191919>
파일:스트리노바_pus.png P.U.S
[[미셸(스트리노바)|
파일:미셸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미셸
]][[노부나가(스트리노바)|
파일:노부나가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노부나가
]][[코코나(스트리노바)|
파일:코코나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지원가.png

코코나
]][[이베트(스트리노바)|
파일:이베트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이베트
]][[플라비아(스트리노바)|
파일:플라비아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플라비아
]][[유기리(스트리노바)|
파일:유기리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유기리
]][[레오나(스트리노바)|
파일:레오나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레오나
]][[치요(스트리노바)|
파일:치요_아이콘2.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치요
]]
파일:스트리노바_시저스.png 시저스
[[밍(스트리노바)|
파일:밍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라비네(스트리노바)|
파일:라비네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척후대.png

라비네
]][[메레디스(스트리노바)|
파일:메러디스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메레디스
]][[카나미(스트리노바)|
파일:카나미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척후대.png

카나미
]][[레이이치(스트리노바)|
파일:레이이치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레이이치
]][[아이카(스트리노바)|
파일:아이카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아이카
]][[프라그란스(스트리노바)|
파일:프레그런스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지원가.png

프라그란스
]][[마라(스트리노바)|
파일:마라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마라
]]
파일:스트리노바_우르비노.png 우르비노
[[미리내(스트리노바)|
파일:셀레스티아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지원가.png

미리내
]][[오드리(스트리노바)|
파일:오드리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오드리
]][[바이모|
파일:바이모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바이모
]][[마들렌(스트리노바)|
파일:마들렌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마들렌
]][[퓨시아(스트리노바)|
파일:퓨시아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퓨시아
]][[갈라테아(스트리노바)|
파일:갈라테아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척후대.png

갈라테아
]]
}}}}}}}}}}}}
[ 역할별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or=#fff><width=640px>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_타격대
||
[[밍(스트리노바)|
파일:밍_아이콘.png

]][[바이모(스트리노바)|
파일:바이모_아이콘.png

바이모
]][[퓨시아(스트리노바)|
파일:퓨시아_아이콘.png

퓨시아
]][[플라비아(스트리노바)|
파일:플라비아_아이콘.png

플라비아
]][[아이카(스트리노바)|
파일:아이카_아이콘.png

아이카
]][[마라(스트리노바)|
파일:마라_아이콘.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마라
]][[치요(스트리노바)|
파일:치요_아이콘2.png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치요
]]
파일:스트리노바_척후대.png _척후대
[[라비네(스트리노바)|
파일:라비네_아이콘.png

라비네
]][[카나미(스트리노바)|
파일:카나미_아이콘.png

카나미
]][[갈라테아(스트리노바)|
파일:갈라테아_아이콘.png

갈라테아
]]
파일:스트리노바_수호자.png _수호자
[[미셸(스트리노바)|
파일:미셸_아이콘.png

미셸
]][[노부나가(스트리노바)|
파일:노부나가_아이콘.png

노부나가
]][[레오나(스트리노바)|
파일:레오나_아이콘.png

레오나
]][[오드리(스트리노바)|
파일:오드리_아이콘.png

오드리
]]
파일:스트리노바_전략가.png _전략가
[[이베트|
파일:이베트_아이콘.png

이베트
]][[메레디스(스트리노바)|
파일:메러디스_아이콘.png

메레디스
]][[레이이치(스트리노바)|
파일:레이이치_아이콘.png

레이이치
]][[마들렌(스트리노바)|
파일:마들렌_아이콘.png

마들렌
]][[유기리(스트리노바)|
파일:유기리_아이콘.png

유기리
]]
파일:스트리노바_지원가.png _지원가
[[코코나(스트리노바)|
파일:코코나_아이콘.png

코코나
]][[미리내(스트리노바)|
파일:셀레스티아_아이콘.png

미리내
]][[프라그란스(스트리노바)|
파일:프레그런스_아이콘.png

프라그란스
]]
}}} ||
파일:플라비아_전신1.png
"목적이 같은지는 관계 없어. 나와 너는 동료니까. 현재로서는."
파일:스트리노바_pus.png
P.U.S
파일:스트리노바_타격대.png
타격대
플라비아
FLAVIA | 芙拉薇亞 | フラヴィア

유령 나비
작전팀의 리더. 적극적이고 계산이 빠릅니다.
<colbgcolor=#4172E0,#000000><colcolor=#ffffff> 성별 여성
174cm
생일 2월 14일
나이 26세
활동 구역 엘몬드 서부 3 구역, 비스마르크 거리, 제3 PUS 섹션, 학자의 길, 202 빌딩
무기 기관단총
성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사토 리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张琦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케일리 밀스

1. 개요2. 소개3. 무기4. 스킬
4.1. 액티브 스킬
4.1.1. Q - 죽음의 환영(Phantom Mirage)
4.2. 패시브 스킬
4.2.1. 재생의 고리(Retribution)
4.3. 전술 스킬
4.3.1. C - 환영 진입(Phantom Mirage)
4.4. 궁극기
4.4.1. X - 호접지몽(Phantom Flutter)
5. 스트링 에너지 네트워크
5.1. 기본 스탯5.2. 강화 옵션5.3. 각성
6. 평가7. 서약
7.1. 단계별 보상7.2. 추천 선물
8. 의상9. 업적10. 작중 행적11. 인간관계12. 대사13. 기타

1. 개요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페인팅 유토피아의 눈, 플라비아. 네가 어떤 존재인지 보여주도록 해."
"Flavia, the eye of P.U.S., at last we meet."

PUS 소속 특수요원. 사람의 심리를 다루는 데 능하여, 인간관계에서 항상 주도적이다. ||

스트리노바》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2. 소개

PUS 특수팀의 대장이지만 개인 신상은 알려진 것이 별로 없습니다.
우아한 나비처럼 적을 현혹해 전황을 유리한 방향으로 바꾸는 전략을 주로 사용하며, 평소에도 타인을 대할 때 자신에게 유리하게 대화를 이끌어 원하는 것을 얻어냅니다.

3. 무기

고독한 춤사위
기관단총
파일:플라비아_무기.webp
경량화 버전의 SMG. 비슷한 유형의 총기 중 찾아보기 어려운 연사 속도와 정확도를 갖췄으며, 1.25배율 스코프가 장착되어 있다.

외형상 가장 가까운 실존 총기는 KRISS Vector.

스트리노바에 존재하는 모든 무기 중에서, 다른 스킬의 보조 없이 순수히 총기만을 놓고 봤을 때 [1] 가장 빠른 연사속도를 가지고 있는 무기이다. 연사속도가 빠른 만큼 근거리 화력은 어마어마한 수준이고, 이는 플라비아의 모든 스킬이 화력을 보조하지 않고 생존력과 관련되어 있는데도 화력이 전혀 부족하다고 느끼지 않게 만들어주기도 한다.

다만 연사속도가 빠른 만큼 탄약 소모가 극심하고 재장전을 자주 해줘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플라비아를 잘 플레이하려면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 한 탄창 안에 적을 잘라내도록 근접전에 숙련이 되어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관단총이기에 단발 화력은 떨어지고 거리 비례 데미지 감소가 큰 편인데다, 반동이 비교적 적고 연사가 플라비아의 총보다는 느려서 중거리 견제도 어느정도 가능은 한 다른 두 기관단총 캐릭터에 비해 빠른 연사에 반동까지 큰편이라 체감상 유효 사거리가 가장 짧다.

4. 스킬

4.1. 액티브 스킬

4.1.1. Q - 죽음의 환영(Phantom Mirage)

죽음의 환영
액티브 스킬
파일:플라비아_스킬_액티브1.png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플라비아가 잠시 동안 자신을 따라다니는 환영 나비를 소환합니다. 나비가 존재하는 동안 공격을 받아 HP가 감소하면 제자리에 유령 오브를 생성하고 잠시 무적 상태가 됩니다. 유령 오브는 적의 시야를 제한하며 파괴될 수 있습니다.
쿨타임 30초|유령 오브 HP 100|유령 오브 지속 시간 3초|환영 나비 지속 시간 7초
"나비가 너랑 놀고 싶어 하는 것 같은데"
"蝶が君たちと戯れたいって。"
- 스킬 쿨타임 완료 시

"환혹의 춤을 보여줄게."
"幻惑の舞を見せておあげ。"
- 스킬 발동 시

"눈을 감아도 소용없어. 너는 환혹될 테니."
"目を閉じても無駄。君はまどうよ。"
- 스킬 발동 시

"자, 얘들아, 자유롭게 춤추렴."
"さあ、自由におなり、子供たち。"
- 스킬 발동 시

스킬 사용 시 머리 위에 플라비아를 따라다니는 환영 나비를 소환하며, 플라비아가 체력에 피해를 입는다면 환영 나비가 유령 오브로 변해서 바라보는 적들의 시야를 가리고[2] 플라비아는 공격할 수 없는 무적 상태로 돌입한다. 무적 상태는 직접 해제할 수 있으며 무적 중에는 어떠한 디버프도 적용되지 않는다. 환영 나비가 플라비아를 따라다니는 동안엔 플라비아는 그 어떤 경우에도 즉사하지 않는다. 그 1각열린 카나미의 근접 풀차징 헤드샷[3]을 맞아도 체력 1이 남고 죽지 않으며, 심지어는 플라비아 본인의 고폭 수류탄으로 자폭을 해도 살 수 있다.

플라비아 운용의 핵심으로, 이 스킬 덕에 플라비아는 위험에 처하더라도 한 턴은 웬만해선 빠져나올 수 있으며, 이 압도적인 핑퐁 능력으로 적들의 어그로를 자신에게 유도해 시간을 벌면서 본인에게 시선이 팔린 아군들이 적들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맡는다.

무적 상태를 직접 풀 수 있는데, 이 경우 주변에 적이 한두명 뿐일 경우 유령 오브를 제거하는데 시선이 끌린 사이에 무적을 풀어서 직접 잡을 수도 있다. 그야말로 다대일, 일대일에 관계없이 언제나 제 성능을 내준다고 볼 수 있다. 유령 오브에게 시야 차단을 당한 적은 눈에 나비가 달라붙어 있는게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무적을 풀고 공격을 해도 안전한지 위험한지 판단할 수 있게 도와준다.

죽음의 환영의 강화 옵션은 쿨타임 5초 감소와 유령 오브 HP 50% 증가 중 택일이다. 예전 같은 경우에는 쿨타임 감소 대신 액티브 지속시간 증가가 업그레이드로 있었는데, 2각성에는 지속시간 증가가 의미없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플라비아는 유령 오브 체력 증가를 선택했었다. 그러나 5시즌 패치 이후 이 스킬의 기본 쿨타임이 5초 늘어나고 지속시간이 2초 증가하면서 액티브 지속시간 증가 대신 쿨타임 감소가 새로운 옵션으로 들어왔기에, 반복적인 교전에서 늘어난 액티브 쿨타임을 줄이기 위해 쿨타임 감소를 선택하거나 1대1 교전시에서 우위를 가져가기 위해 유령 오브 체력 증가를 선택하거나 둘 중 하나를 플라비아가 상황에 맞춰서 선택해야 한다.

1각성 획득 시 무적이 풀린 후 체력을 빠르게 회복한다.[4] 2각성 선택시 스킬 효과가 바뀌어 시전 즉시 유령 오브 생성 및 무적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3각성 선택 시 무적이 풀릴 때 유령 오브가 적에게 피해를 입었다면 그 수치의 일부만큼 임시 보호막을 얻는다.[5]

2각성은 스킬의 무적을 자신이 원하는 타이밍에 임의로 발동시킨다. 미리 걸어두는 보험이 없는 대신 기존의 선행동작이 사라지고 즉시 발동한다. 플라비아의 액티브 스킬은 시전시간이 꽤 길고 시전할 때 소리까지 크게 나는데, 덕분에 적이 소리를 듣고 대처하거나 갑작스런 전투상황에서 시전동작동안 공격받아 죽는걸 방지해줄 수 있다. 유령오브 또한 즉시 나타나므로 아예 적 눈앞에서 발동시킨 뒤 무적을 풀고 싸우는식으로 유사 섬광탄 효과도 써볼 수 있다. 이 각성의 효과를 가장 체감하기 쉬운 경우는 궁극기 사용 후 궁극기가 끝났을 때로, 적이 포커싱하고 있을 때에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대신에 미리 걸어 두면 지속시간 동안 확실히 효과를 발휘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상대가 나한테 피해를 가한 너무 빠르지도 않고 너무 늦지도 않은 타이밍에 써야 하므로, 체력을 항상 염두에 두고 상대한테 죽지 않을 만큼 딜을 받아내면서 적절한 타이밍에 쓰는 연습을 해야 한다. 너무 빠르게 쓰면 상대가 금방 코너를 돌아서 회피한 후 무적기가 빠진 플라비아에 대해 반격을 준비하기 쉽고, 너무 느리게 쓰면 쓰기도 전에 체력이 0이 되어 죽을 수 있다. 특히나 저격소총류 캐릭터를 상대할 때에는 이 스킬을 쓰기도 전에 한 방에 죽을 가능성이 있기에 맞은 다음에 쓰기보다는 먼저 발동시켜 시야를 가리고 공격하거나 무적 상태로 붙어서 습격하는 등의 활용이 필요하다.

3각성은 스킬 발동 이후의 생존성에 도움을 준다. 적이 오브를 부수거나 지속시간이 만료되어 오브가 소멸되면 40의 임시 보호막이 10초간 즉시 제공되기에 무적으로 피한 뒤 임시 보호막으로 다시 교전을 시도하거나 보호막을 등에 업고 적의 총탄을 피해 교전지를 벗어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강력한 기술이지만 생각보다 빈틈이 많은 기술이기도 한데, 일단 적의 시야에 유령 오브가 화면에 안 보인다면 그 적에게는 시야 가림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항상 생각하고 있어야 한다. 플라비아를 상대하는 쪽에서는 이러한 빈틈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려 하고, 벽을 끼고 공격한다음 시야 가림이 발동되면 바로 벽 뒤로 돌아서려고 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기 때문에 무적이 끝났고 상대가 딸피가 아닌데 모퉁이 뒤의 적을 추격한다든가 하는 실수를 해서는 안된다.
또한, 시야 가림 효과가 적용되어도 반경 3미터 내의 좁은 범위는 정상적으로 보이기에 적의 시야가 가려졌다고 너무 근거리에 붙는 것은 위험하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점으로 2각성 선택전까지는 발동 전 선동작이 존재하는데 이 선동작이 생각보다 길어서 선동작 동안 맞아죽을 수도 있기에, 2각성이 나오기 전이거나 3각성을 주로 사용한다면 미리 켜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

4.2. 패시브 스킬

4.2.1. 재생의 고리(Retribution)

재생의 고리
패시브 스킬
파일:플라비아_스킬_패시브1.png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플라비아가 받은 소량의 피해가 누적될 때마다 액티브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감소합니다. 또한 대량의 피해가 누적될 때마다 일시적으로 궁극기 포인트를 획득하며 획득한 포인트는 현재 라운드에서만 적용됩니다.
패시브
소량의 피해 누적 시 액티브 스킬 대기시간 감소|대량의 피해 누적 시 일시적으로 궁극기 포인트 획득
"여러분들은 이 아이들이 빨아들일 거에요. 잘 됐네요."
"皆さんはこの子たちが吸ってあげます。よかったですね"
- 패시브 스킬 발동 시

간단하게 피해를 입을 때마다 Q스킬의 쿨다운이 조금씩 감소하고, 일정 이상의 피해가 누적되면 해당 라운드에서만 쓸 수 있는 궁극기 포인트를 얻는다. 궁극기 포인트를 얻는 피해수치는 약 200포인트 . 패시브 효과로 얻은 궁극기 포인트는 노란색인 기본 포인트와는 달리 초록색이다. 패시브로 얻을수 있는 궁극기 포인트는 한번에 하나씩만 얻을 수 있으나 데미지를 잘 흘려내거나 하면 그 이상도 얻을 수 있다.[6]

참고로 패시브로 인해 궁극기 포인트가 증가할 경우 플라비아의 등에 나비 날개가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특별할 것 없어 보이지만 플라비아가 1선 타격대로서 설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패시브이다. 적의 어그로를 끌고 해제하고를 반복하면서, 강력한 생존기인 플라비아의 액티브를 더 자주 쓸 수 있게 해주고, 쿨타임이 아슬아슬한 상황에도 맞았더니 쿨이 차서 액티브를 발동시켜서 살아나가는 그림이 나오기도 한다.
무엇보다 다른 캐릭터들은 궁극기 포인트가 한 칸만 부족해도 킬을 내기 전까진 궁극기를 그 라운드에 쓰지 못하고 그 전에 죽는 경우가 꽤 많지만, 플라비아의 경우에는 궁극기가 한 칸이 부족해도 본인의 회복 효과 및 무적기술을 사용하여 궁극기 포인트를 채워서 준비를 완료시킨 후, 아슬아슬한 타이밍에 궁극기를 성공적으로 발동시켜서 라운드를 뒤집는 경우도 종종 일어난다.

4.3. 전술 스킬

4.3.1. C - 환영 진입(Phantom Mirage)

환영 진입
전술 스킬
파일:플라비아_스킬_전술.png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플라비아가 스트링 에너지를 사용해 자신을 중심으로 시야를 가리는 연막을 생성합니다. 플라비아는 나비 상태에서 해당 스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즉시 나비 상태가 해제됩니다.
라운드 당 1회(일반 폭파), 쿨타임 45초(호위, 스트링 쟁탈전)| 연막 지속 시간 6초

플라비아가 짧은 시전 모션 후 자신을 중심으로 짙은 보라색의 연막을 생성한다. 이 기술은 플라비아가 나비 상태에서도 쓸 수 있으며 사용시 즉시 나비 상태를 해제하고 연막을 생성한다. 이 기술로 생성하는 연막의 범위는 연막탄보다 더 넓으며, 연막 안의 플라비아는 초당 4의 보호막을 회복하고[7] 연막 안에 들어온 적은 플라비아의 환영 오브를 보고 있는 것과 동일한 시야 제한 디버프를 받는다. 이 디버프는 연막을 나간 뒤에도 약 3초정도 유지된다.

플라비아의 불안정한 생존력을 어느 정도 보충해주는 전술 스킬로, 액티브가 발동되고 적에게 쫒기는 상황에서도 연막을 펼쳐 적의 추격을 따돌릴 수 있기에 잘 쓰면 위기 상황에서도 살아 돌아올 확률이 높아진다. 적이 연막을 넘어 추격하려고 해도, 연막 범위를 조금이라도 지나가게 되면 플라비아의 유령 오브를 보고있는 것과 같은 시야 제한이 걸리고 심지어 연막을 나와도 이 디버프는 잠시 유지되기에 플라비아를 공격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스킬은 액티브에 의해 나비 상태가 됐을 때가 아니라 궁극기에 의해 나비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사용이 가능한데, 그렇게 사용하면 궁극기의 효과인 나비 상태 해제시 체력이 가득 차고 무기가 재장전되는 효과가 즉시 적용된다.[8] 궁극기가 해제되어도 궁극기 안에서 나비 상태가 된 상황이라면 이 효과가 동일하게 적용되기에, 이를 이용해 궁이 끝났다고 플라비아를 쫒아오는 적군의 시야를 가리고 반격을 준비할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이 기술을 쓰면 무조건 살아나갈 수 있냐 하면 그런 것은 아닌게, 이 기술은 선딜이 매우 짧긴 해도 어디까지나 선딜이 존재하며 나비 상태에서 사용해도 짧은 시간 플라비아가 원래 모습으로 돌아와 잠깐의 모션 후에 스킬을 사용하기에 그 타이밍에 가장 취약해진다. 시야 제한 디버프가 있긴 하지만 원본이 그렇듯 근거리의 좁은 범위에 대해서는 시야 제한이 적용되지 않기에 적과의 거리가 가까우면 위치가 보일 수 있고, 그렇기에 탈출이 목적이라면 대놓고 적 앞에서 사용하기보다는 코너를 돌면서 점프 무빙과 함께 사용해야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적의 스캔 기술에 걸리면 연막 안에 있어도 적에게 위치가 노출되기에 스캔 관련 기술이 있는 적 앞에서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4.4. 궁극기

4.4.1. X - 호접지몽(Phantom Flutter)

호접지몽
궁극기
파일:플라비아_스킬_궁극기1.png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플라비아는 자신을 중심으로 유령 지대를 생성합니다. 유령 지대 안에 위치한 적군 유닛이 치명적인 피해를 주면 플라비아는 나비로 변신하며 잠시 후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와 전투를 이어갑니다. 범위 밖의 적군은 변신 효과를 무시하지만, 플라비아에게 먼저 공격받을 때만 그녀를 볼 수 있습니다.
◆◆◆◆◆◆◆
7 포인트|영역 26미터|영역 지속 시간 10초
"후후, 이미 모든 바둑돌들은 배치되어있어."
"ふふ、すでに碁石は配置されているよ"
- 궁극기 충전 시

"자, 어느 쪽이 나일까요. 알 수 있을까?
"さあ、どれが私でしょう。わかるかな?"
- 궁극기 발동 시

"환상은 물거품. 그럼 현실은? 자, 어디에 있는걸까?"
"幻想は泡沫。では現実は?さあ、どこにあるのかな?"
- 궁극기 발동 시

"네가 진실을 꿰뚫어 볼 수 있을까? 후훗, 눈 깜빡이지도 못할걸."
"君に真実が見抜けれかな?ふふ、瞬きもできないね"
- 궁극기 발동 시

10초간 서있는 위치에 커다란 원형의 유령 지대를 생성한다. 플라비아가 유령 지대 범위 내에 있을 때 범위 안의 적에게 처치당하거나 자폭하면 1의 체력으로 생존하고 4초간 나비로 변신해 공격할 수 없지만 피해를 입지 않는 상태가 된다. Q스킬과는 달리 변신 효과를 직접 풀 수는 없지만 변신이 풀릴 때 1각 효과 유무와는 관계없이 즉시 체력을 전부 회복하며 자동으로 재장전된다.

유령 지대 범위 바깥의 적은 플라비아가 먼저 공격하기 전까진 플라비아의 위치를 볼 수 없지만, [9] 대신 유령 지대 범위 밖에서 플라비아를 처치한다면 플라비아는 나비로 변신하지 못하고 죽는다. 단, 밖에 있는 라비네에게 한 대 맞아서 라비네에게 패시브로 찍히게 되는 경우에 그대로 모습이 드러나 그대로 얻어맞을 수 있기 때문에 조심 해야 한다.

플라비아가 유령지대를 벗어나면 즉시 궁극기가 꺼진다[10]. 또한, 궁극기 시전중 강제로 활공한다면 궁극기가 시전되지 않으니 주의.

범위 내에 있는 적에게 죽을 때에 한해서 무한 부활인 궁극기로, 범위 밖에 있는 적을 먼저 때리는게 아닌이상 밖의 적은 그 어떤 경우로도 플라비아를 볼 수 없기 때문에 극한의 운으로 뽀록이 터진 것이 아니면 사실상 무한 부활이나 다름 없으며, 이 때문에 궁킨 플라비아는 대표적인 좀비로 꼽힌다. 플라비아의 근거리 화력 때문에 무시하면 아군이 죽고, 플라비아를 포커싱해도 안죽는데다 어그로가 끌린 사이에 적들이 합류해 싸먹혀버리는 구도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전부 범위 밖으로 나가버리거나, 아이카의 궁극기나 폭풍 수류탄 등으로 플라비아를 강제로 궁 밖으로 내보내거나[11], 궁극기의 테두리 끝에서 대기하다가 플라비아의 무적이 풀리면 밖으로 걸어나가면서 플라비아를 쏘든가, 궁 안의 플라비아에게 궁 밖에서 영향을 주는 기술[12]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등 파훼법이 꽤 다양하지만, 파훼법이라는게 적의 상대 이해도보다 플라비아의 숙련도에 더 큰 영향을 받아서[13] 불완전한 면이 있어 유령 지대가 켜진 10초동안은 어떻게든 상대의 주의를 분산시켜 플라비아가 핑퐁 이득을 보고 빠져나가지 못하게 해야한다.

5. 스트링 에너지 네트워크

5.1. 기본 스탯

[include(틀:스트리노바/총기 스탯/P.U.S,
연사속도=870, 연사속도나누기12=72.5,
조준속도=56,
명중률=72,
제어=70,
탄창용량=26,
재장전속도=24, 재장전속도곱하기2=48,
볼트장전속도=0,
스트링피해량=67,
배율=1.25
)]
[include(틀:스트리노바/피해/P.U.S,
머리10=26, 머리30=18, 머리50=18,
상체10=21, 상체30=15, 상체50=14,
하체10=14, 하체30=10, 하체50=10
)]
[include(틀:스트리노바/캐릭터 스탯/P.U.S,
보호막=85, 보호막나누기2=42.5,
보호막재생수치=2, 보호막재생수치곱하기5=10,
이동속도=58,
스트링이동속도=66,
스트링피해량감소비율=33, 80나누기스트링피해량감소비율=49,
다운시간=15, 30나누기다운시간=50,
다운중부활시간=4, 8나누기다운중부활시간=50
)]

원본 총기가 1200RPM[14]을 넘는 크리스 벡터를 모티브로한 총기를 쓰는 것 답게 연사속도 스탯이 870으로, 모든 슈퍼스트링을 통틀어서 1위로 가장 빠르다. 심지어 여기에 연사속도 증가도 있어서 최대 수치는 무려 915.

대신 교전 거리도 짧고, 발당 피해량이 모든 무기중에 가장 낮다는 치명적인 약점과 함께 연사속도를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적은 장탄수가 발목을 잡아 근거리에서 짧은 시간동안의 화력 투사는 좋은 편이지만 장거리로 가거나 지속싸움으로 갈 때는 존재감이 적어진다. 이를 스킬로 커버하기에 고평가 받는 무기지만 스킬이 없는 상황에는 확실히 아쉬운 점이 드러나는 무기.

이속은 타격대 답게 빠르고, 보호막은 평균치. 1각과 3각이 각각 체력과 보호막을 채워주다보니 실질 스탯은 더 높게 느껴진다.

5.2. 강화 옵션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조준.png
공격
||
기본 피해량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기본 연사속도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기본 피해량 증가
10m 머리 피해 : 26 → 27 (+1)
30m 머리 피해 : 18 → 19 (+1)
50m 머리 피해 : 18 → 19 (+1)
10m 상체 피해 : 21 → 22 (+1)
50m 상체 피해 : 14 → 15 (+1)
10m 하체 피해 : 14 → 15 (+1)
30m 하체 피해 : 10 → 11 (+1)
기본 연사속도 증가
연사속도 : 870 → 915 (+45)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데미지.png
치명타
||
헤드샷 피해량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스트링화 피해량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헤드샷 피해량 증가
10m 머리 피해 : 26 → 31 (+5)
30m 머리 피해 : 18 → 22 (+4)
50m 머리 피해 : 18 → 22 (+4)
스트링화 피해량 증가
스트링화 피해량 : 67 → 80 (+13)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탄.png
연사
||
탄창 용량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재장전 속도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탄창 용량 증가
탄창 용량 : 26 → 31 (+5)
재장전 속도 증가
재장전 속도 : 24 → 33 (+9)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제어.png
명중률
||
탄 퍼짐 조절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반동 제어 증가
1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탄 퍼짐 조절 증가
명중률 : 72 → 90 (+18)
반동 제어 증가
제어 : 70 → 91 (+21)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6C256,#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강화 액티브-플라비아.webp
죽음의 환영
||
나비 동행 시간 2초 증가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유령 오브 HP 50% 증가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6C256,#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강화 패시브_플라비아.webp
재생의 고리
||
효과 발동에 필요한 피해량 20% 감소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A4FA64,#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방어막.png
보호막
||
재생 보호막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강화 보호막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재생 보호막
보호막 매회 회복 수치 : 2 → 8 (+6)
강화 보호막
보호막 : 85 → 105 (+20)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A4FA64,#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방어막.png
스트링화
||
스트링화 이동 속도 15% 증가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지수 46%까지 증가
250 파일:스트리노바_강화_포인트.png
{{{#!folding ▼
{{{#!wiki style="margin:-14px;"
스트링화 이동 속도 15% 증가
스트링화 이동 속도 : 66 → 76 (+10)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지수 46%까지 증가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비율 : 33 → 46 (+13)
}}}}}} ||

5.3. 각성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파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노랑.png

1각성 : 환상 소생
플라비아가 유령 오브를 생성하면,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HP가 회복됩니다.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파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노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초록.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초록.png

2각성 : 사라진 나비
액티브 스킬의 효과가 환영 나비를 소환하는 순간 즉시 무적인 은신 상태에 진입하며 유령 오브를 남기는 것으로 변경됩니다.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파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노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노랑.png 파일:스트리노바_각성_초록.png

3각성 : 나비 갑옷
유령 오브의 지속 시간이 소진되었거나 파괴되면 플라비아가 임시 보호막을 얻습니다.

각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액티브 스킬 설명에서 참고.

4시즌 패치 이후 기본 보호막 양이 크게 향상되어 플라비아가 선 1각성을 열기가 더 쉬워졌다. 1각성이 있는 플라비아와 그렇지 못한 플라비아는 생존력 차이가 크게 나므로, 재생 보호막을 포기하고 1각성을 먼저 여는 플레이도 꽤 유용하다.

6. 평가

높은 생존기로 직접 몸을 들이밀어 적 진입을 늦추며 거점이 적에게 먹히는 걸 대비해 1선으로 몸을 들이밀어 아군의 진입로를 만드는 PUS 진영 엔트리. 수비팀이지만 엔트리가 필요한 이유는 공격팀의 공격이 너무 쌔 리테이크가 필요한 상황이 나올 때 혹은 뒤를 돌아서 거점을 먹어 폭탄을 수비하는 공격팀의 수비선을 뚫기 위함이다. 그렇기에 플라비아는 미셸 다음으로 중요하다 평가 받는 슈퍼스트링이다.

생존기가 있기 때문에 플랭킹에 특화된 캐릭터로 보이지만, 티어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플랭킹 대비가 상당히 잘 되어 있으며 생존기가 있다고 해도 멀리 도망가지 못하기 때문에 플라비아로 플랭킹을 도는것은 생각외로 효율이 떨어진다.[15] 그렇기에 높은 생존력을 이용해 1선으로 서서 진입 및 매복 플레이에서 진가가 드러나는 슈퍼 스트링으로 사용하는 총기가 근접에서 샷건을 든 슈퍼스트링 마저 씹어 먹을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해 암살 혹은 맞교전 위주의 플레이를 하게된다.

공격팀이 스킬을 쓰지 않는 이상 수비가 일방적으로 정보를 얻고 시작하기 때문에 벽에 붙어서 기습하는 경우, 실수하지 않는 이상 한명을 따고 시작하기 쉬우며 적진 깊숙히 들어갔거나 실패 하더라도 생존기가 있어 조금 무리한 플레이를 하더라도 살아 돌아올 수 있는 기회가 언제든지 있다.

특히 폭탄이 설치되거나 중요 지역을 먹을려면 수비측에서도 공격팀의 밍 같이 몸으로 적을 밀어내줘야 하는 전문 엔트리가 필연적으로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플라비아의 존재의의다. 먼저 들어가서 적 체력을 깎아놓은 뒤 자신은 스킬로 빠지고 재정비 후 다시 들어가서 적 빈틈을 후벼파는 식의 플레이를 반복 해 팀을 이끄는 플레이를 해줘야만 한다.

딱 보아하면 알 수 있듯 스트리노바 엔트리들은 필연적으로 무리를 해야만 하는 픽들인데 특히 플라비아는 다른 엔트리들과 다르게 오로지 생존기 밖에 없어[16] 과감하게 무리하는 플레이를 요구한다. 특히 기관단총 특유의 연사력 때문에 탄을 뱉어내다 보니 1VS1 외에는 무리일 수준으로 탄 부족에 시달리게 되는데 이게 타 슈퍼 스트링 대비 이러한 체감이 심하다. 때문에 싸움이 조금만 길어져도 무력해지기 쉬워 높은 생존기와 높은 화력의 주무기로 짧게 잘 치고 빠지는 플레이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플라비아의 존재감이 달라진다.

7. 서약

7.1. 단계별 보상


7.2. 추천 선물

8. 의상

9. 업적

10. 작중 행적

11. 인간관계

12. 대사

13. 기타

  • 유저들 사이에서 불리는 약칭은 플비 혹은 플라. 캐릭터가 나비와 깊게 연관되어 있어 나비로도 부르는 유저들도 있으며 캐릭터 상호작용 대사에서도 많은 슈퍼스트링들이 플라비아를 나비라고 부른다.
  • 마라 출시 전 까지 모든 진영 중 최고령 슈퍼스트링이었다. 그 뒤로 레오나 레이이치순.
  • 동공이 나비 모양이다.
  • 희귀 스킨 미드나잇 파티의 스커트 안감이 인게임에서는 흰색이나, 캐릭터 프리셋에서는 노란색으로 보이는 버그가 있다.

[1] 오드리의 전력 전개는 액티브 스킬이라서 논외.[2] 이 시야를 가리는 효과는 정확히 표현하면, 플라비아의 오브를 보고 있는 적을 중심으로 3미터 밖의 시야를 가리는 효과이다. 그렇기에 적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이 효과에 걸려도 적이 플라비아를 볼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이는 같은 디버프를 가하는 전술 스킬에도 해당된다.[3] 최대 504[4] 5초간 초당 10 총 50 회복[5] 최대 50[6] 단지 대부분 그전에 죽을 뿐이다[7] 이 보호막 회복효과는 적의 공격을 받아도 중단되지 않는다.[8] 물론 액티브에 의해 나비 상태가 된 경우에도 1각성이 찍혀있다면 이 스킬로 나비 상태를 해제해도 1각성의 효과로 체력이 천천히 차기 시작한다. 이 스킬을 써서 나비 상태를 종료하는 것은 다른 방법에 의해 나비 상태가 종료되는 것과 동일한 판정을 지니는 것.[9] 플라비아가 범위 밖의 적을 공격하면 적 머리 위에 플라비아만 볼 수 있는 검은색 눈 표시가 생긴다. 검은색 눈 표시가 생긴 적은 범위 밖이더라도 범위 안의 플라비아를 볼 수 있다는 뜻.[10] 반대로 이 점을 이용해서 상대가 플라비아의 궁극기에 대응할 준비를 할 때 궁극기를 강제로 끝낼 수도 있다.[11] 플라비아 궁극기의 범위는 발동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구형이기에, 가장자리의 상하 범위는 생각보다 좁다. 최대 높이로 뜨게 되면 궁극기가 풀려버린다.[12] 대표적으로 아이카와 마라의 액티브가 있다. 혹은 고폭 수류탄을 궁 안으로 던져버리고 밖으로 나가도 그 고폭 수류탄으로 플라비아가 죽으면 부활하지 못한다.[13] 전부 다 밖으로 나가버리는 방법은 언뜻 보면 괜찮아보이지만 플라비아의 무기 화력은 최상급이라 나가는 도중에 죽을 수 있으며, 숙련된 플라비아가 양각인 상태나 도망칠 수 없는 위치에서 궁을 써버리면 피해가 커지게 된다. 아이카의 궁극기나 폭풍 수류탄은 미리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공격팀은 폭풍 수류탄을 자주 쓰는 편은 아닌데다 아이카의 궁극기로 플라비아가 범위 밖으로 나가기 전에 죽어버리면 무적이 그대로 발동된다. 테두리에서 걸어나가며 플라비아를 쏘는 방법은 범위 밖으로 나가며 보이지 않게 되는 플라비아를 예측해서 쏘는건데 플라비아 입장에서도 상대가 범위 끝에 걸쳐서 일점사를 준비중인게 보이기 때문에 궁을 포기하고 도망치거나 역으로 궁 범위 밖으로 나가서 궁을 취소시키고 액티브를 발동시켜 습격할 수 있고, 그냥 점프샷만 해도 안보이는 플라비아를 범위 밖에서 맞추기가 대단히 난감해진다. 범위 밖에서 사용하는 고폭 수류탄이나 액티브 스킬들도 역시 플라비아가 확인할 수 있는데다 궁 범위는 넓기 때문에 잘 보고 사각지대를 잡을 수 있고, 정 못피하겠으면 궁 밖으로 나가서 도망칠지 선택이 가능하다. 상대가 전부 궁 밖으로 나갔다는 것 자체가 이미 플라비아의 궁극기는 역할을 다했기 때문.[14] 분당 1200발[15] 시도는 해볼 순 있지만 거점이 먹힐 때 뚫어줘야 할 캐릭터가 바로 플라비아다. 상대 스나이퍼가 있다 해서 무턱대고 뒤만 돌 생각이면 퓨시아나 갈라테아 같이 더 좋은 픽은 언제든지 있다.[16] 밍은 적의 실드를 원거리에서 거덜낼 수 있는 스킬이 있고 바이모는 적 시야를 방해하는 패시브 및 2각성, 아이카는 자신에게 유리한 공격 환경을 조성하는 스킬과 거점에서 강제로 적들을 떼낼 수 있는 궁극기, 퓨시아도 3각성에서 슬로우로 적진입 차단 및 슬로우 후 공격 등 수단을 만들 수 있거나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마라는 적의 기동성을 떨어뜨리고 피격판정을 늘려주는 스킬에 적 체력이 한번이라도 까이면 계속해서 보호막을 뚫고 체력을 거덜내는 패시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