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00:09:32

프테라노돈(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실존했던 익룡}}}에 대한 내용은 [[프테라노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테라노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테라노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실존했던 익룡: }}}[[프테라노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테라노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테라노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프테라노돈
Pteranodon
<nopad>
파일:1440x651_0004_pteranodon_0.png
<colbgcolor=#D80000><colcolor=#ffffff> 학명 프테라노돈 롱기켑스Pteranodon longiceps
출생 이슬라 소르나, 이슬라 누블라, 일 생 위베르
익폭 6 ~ 10.1m
길이 2.4 ~ 3.1m
체중 30kg
포효 소리
등장 작품 잃어버린 세계: 쥬라기 공원
쥬라기 공원 3
쥬라기 월드 시리즈 전체》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1. 개요

인젠에서 보유하고 있는 프로필
[펼치기 / 접기]
파일:Ingen_Dinosaur_Info_Sheets_Pteranodon.png

쥬라기 공원 시리즈프테라노돈. 시리즈를 통틀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익룡으로,[1] 소설에선 등장이 없지만 영화 시리즈에선 1편을 제외한 모든 작품에서 등장하였다.

2. 등장 작품

2.1. 쥬라기 공원 시리즈

2.1.1. 잃어버린 세계: 쥬라기 공원

파일:프테.jpg
본 작품을 시작으로 시리즈에 첫 등장한다. 해당 개체들은 "인랜드(Inland) 프테라노돈"으로 불리며 푸른 빛깔에[2] 긴 목과 호리호리한 체형, 그리고 온순한 성격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3] 초기 컨셉 아트[4]에서는 목이 짧고 볏이 두툼하게 디자인되어 있었는데, 이후 디자인이 수정되면서 목이 길어지고 볏 역시 사진과 같이 얇은 형태로 바뀐 모습으로 영화에 출연했다.

영화의 엔딩 장면에 여러 공룡들과 함께 등장하는데, 이슬라 소르나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6마리가 날아가다가 그 중 한 마리가 나무에 안착해 울면서 영화가 막을 내린다. 보다시피 데뷔작에서의 비중은 엔딩 단 한 장면 뿐으로 단역 수준이다.

파일:tumblr_m4cri4wgvA1rsiohpo1_500.jpg
하지만 본래 감독인 스티븐 스필버그는 영화에 프테라노돈과 헬리콥터의 액션 씬을 담을 계획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잃어버린 세계 제작 후기 영상을 보면 제작진들이 다른 공룡들과 더불어, 프테라노돈의 애니매트로닉스도 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제작 최종 단계에서 이 계획이 무산돼 결국 헬리콥터와의 대결 씬은 폐기되고, 아쉬운 대로 마지막 장면에라도 프테라노돈을 등장시킨 것이라고 한다.[5] 스토리보드에 담긴 내용에 따르면, 주인공 일행을 태운 구조 헬기를 세 마리가 습격하는데, 한 마리는 조종사 중 한 명을 물어가며, 나머지 두 마리가 헬리콥터를 공격하던 중 한 마리가 운도 없게 프로펠러에 갈려지는 내용이였다.

또한 본래의 시나리오의 프테라노돈의 첫 등장도 가고일처럼 날개를 접고 서 있다가, 헬기를 발견하자 날개를 펼치는 강렬한 모습으로 나올려고 했다.

2.1.2. 쥬라기 공원 3

파일:Ptero_adult.jpg
파일:프테라.jpg
"하이랜드(Highland) 프테라노돈"이라는 새로운 아종들이 등장한다. 전작에 등장한 개체들 및 실제 프테라노돈과 가장 구별되는 특징은 '입 안에 이빨이 있다는 점'[6]으로, 이와 더불어서 목이 짧고 육중한 체격을 지녔다. 또한 성질도 사납기에, 인젠에서는 이들을 새장[7]에 가둬놓고 관리했다고 한다.

작중에서 앨런 그랜트 일행이 스피노사우루스를 피해서 어떤 건물로 진입, 지하로 내려가는데 그들이 도착한 곳은 안개 낀 절벽 같은 곳이었다. 절벽에 놓여있는 철제 다리를 비롯한 시설들이 노후돼서 한사람씩 다리를 건너기로 해서 그랜트와 아만다가 차례로 건너고 뒤이어 에릭이 건너기로 한다. 한편 반대편에 있던 앨런은 난간에 말라붙어있던 분변과 희끄무레하게 해당 지역을 감싸는 우리를 보고 나서 자신들이 있는 곳이 거대한 새장이라는 걸 확인해서 놀라고, 다리를 건너던 에릭 앞에서 안개를 뚫고 다가오는 프테라노돈이 모습을 드러내며[8] 에릭을 낚아채 새끼들이 있는 둥지에 떨어뜨린다.

이 와중에 빌리는 낙하산[9]을 펼쳐 둥지로 활강해 에릭을 구하지만 이내 여러 마리가 날아와서 낙하산을 찢어 떨어뜨리고 빌리를 무자비하게 공격한다. 그를 제외한[10] 일행은 모두 그곳에서 탈출하지만 이때 아만다가 닫은 문이 헐거워져 열리는 건 덤. 이때, 벤과 에릭을 제외한 나머지를 어떤 암컷이 공격하는데, 프테라노돈은 방사장의 일부가 부서진 곳으로 몰고가지만 무게를 실을 수 없어 방사장의 일부가 부서지고, 주인공 일행은 암컷과 함께 물에 빠지면서 프테라노돈 암컷 위에 방사장의 일부가 떨어져 익사하게 된다.

마지막에 구조된 주인공 일행이 탄 헬기 곁을 날아가는 세 마리로 영화는 막을 내린다. 그러나 이 장면은 팬과 관객들에게 큰 악평을 받았는데, 전날 익룡 방사장을 진입했다가 모두 잡아먹힐 뻔한 뼈아픈 경험을 겪었던 일행이 그런 포식동물들을 그냥 보내준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기 때문.[11][12] 이로 인해 영화 말미에서 이 개체들은 캐나다까지 날아가는데, 2001년에 빅 호스킨스에게 사이먼 마스라니의 명령으로 처리되었다고 한다.

고동색의 수컷과 황토색의 암컷, 그리고 새끼들도 다수로 등장하고 무엇보다 상당히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주는데, 작중 시점 이전에도 사람을 잡아먹은 전적이 있는지 둥지에 인간의 뼈가 최소 2구 이상 널브러져 있으며, 정황상 과거의 인젠 직원이었거나 혹은 섬을 불법적으로 드나들던 밀렵꾼으로 추정된다. 혹은 후술할 관광보트 탑승자들의 유골일 가능성도 있다.

작중에서는 언급되지 않지만, 초기 각본에서 영화 도입부에서 에릭과 벤이 타던 관광 보트를 공격했던 것도 바로 이들이다. 각본대로라면 영화 막바지에 주인공 일행이 해병대를 조우하고 구조되기 직전에, 그랜트가 해안가에서 에릭과 벤이 탔던 보트가 난파되어 있는 것을 발견한다. 가까이 접근해서 현장을 관찰하던 그랜트는 세 줄의 발톱자국이 보트 표면에 그어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랜트가 그 발자국이 프테라노돈의 것임을 인지한 순간 해안가 나무에 숨어있던 프테라노돈들이 일행을 구하기 위해 온 헬리콥터를 기습하면서 전투가 일어난다는 내용이었다. 애초에 3편 포스터에서 '3'을 표시한 세 줄의 발톱자국과 프테라노돈 그림자가 이에 대한 복선이었던 것이다.[13]

전편이나 쥬라기 월드에 등장하는 아종보다 골격이 튼튼하고 공포스러운 분위기 때문에 벨로시랩터와 마찬가지로 좋은 평가를 받는다. 안개 속에서 서서히 등장하는 모습이라든지 특히 빌리가 공격받으며 물에 떠내려가다 그랜트 일행에게 고개를 돌려 갸웃하는데 매우 섬뜩하다는 평이 자자하다. 위에 있는 두번째 사진이 바로 그 장면.

여담으로, 작중 앨런 그랜트와 폴이 탈출하고자 물에 들어가기 직전에 프테라노돈 시점으로 공중에서 추격하는 씬[14]을 잘 들어보면 아주 잠깐동안 프로펠러가 돌아가는 소리가 들린다. 아무래도 해당 씬이 3초도 안 되는데다 프로펠러 소리도 1초 남짓이니 관객들이 놓치기가 쉬워서 묻혀버린 옥에 티인 듯 하다.

다이노 트래커에 따르면 본작에 나온 종들은 최소 2마리 이상이 섬에서 빠져나와 명맥을 이어나가는 중이다.

2.2. 쥬라기 월드 시리즈

2.2.1. 쥬라기 월드

파일:JW_0030_Layer+10.jpg
이전의 개체들과는 또다른 아종들이 출연했다. 실제 프테라노돈처럼 이빨이 없으며, 독특한 특징으로는 부리 끝이 아주 뾰족하고[15] 머리의 볏이 이전 시리즈의 프테라노돈들보다 짧은 형태로 복원됐는데, 이 디자인은 팬들에게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16] 작중에서는 상당히 다양한 색상의 개체가 나오며, 3편의 개체처럼 사나워 사람에게도 덤비는 공격성을 보여준다.

본래 초기에는 3편처럼 이빨달린 모습으로 나올려고 했지만, 제작 과정에 디자인이 변겅되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나오게 된 것이다.

인도미누스 렉스가 보안 요원들의 포화를 받자 익룡 사육장을 뚫고 들어가 피신하는데, 이때 익룡의 비행 특성을 인지하고는 일부러 포효하고 입질을 하여 겁을 줘서 쫓아낸 후, 헬기를 공격해 격추시키도록 유도한다. 이 때문에 헬리콥터가 양금사 위로 추락하면서 생긴 구멍을 통해 수십 마리가 탈출한다. 이후 쥬라기 월드 메인 광장까지 날아가 디모르포돈들과 함께 사람들을 대공습하는데, 이 때 울리는 공습 경보 사이렌 소리가 인상적인 편이다.

공습 도중 수많은 사람들이 부상을 당하며, 클레어의 비서인 자라 영도 잡혀가는데, 체격이 작아서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17] 자라를 모사사우루스의 어장에 빠트린다. 이를 당연히 모르는 프테라노돈들이 물속으로까지 들어가[18] 자라를 끈질기게 잡아가려고 하는데, 이 때 모사사우루스가 튀어나오면서 한 마리가 자라와 함께 세트로 잡아먹히게 된다. 이후 오웬과 레인저들이 마취총으로 대공 사격을 가하자 하나하나 격추되면서 속수무책으로 제압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엔딩 장면에서 마취가 풀린 개체들이 날아다니는 모습을 보여준다.

2.2.2. 쥬라기 월드: 백악기 어드벤처

시즌 1 중후반, 일행이 섬을 탈출하기 위해 탑승한 모노레일의 빛에 이끌려 수많은 떼를 지어 추격해온다. 간신히 따돌리는 듯 하였으나 한 마리가 창문을 뚫고 들어와 벤이 리타이어하는 빌미를 제공한다.

2.2.3.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파일:JW 폴른킹덤 프테라노돈.jpg
파일:JW 폴른킹덤 프테라노돈 스틸컷.jpg
쥬라기 월드에 나온 것와 동일한 종들이 등장하는데, 이는 시리즈에서 프테라노돈이 처음으로 전편과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나온 사례이다. 화산으로부터 도망쳐 섬을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며 한마리가 화산탄에 맞고 사망한다. 그리고 주인공 일행이 바다에 빠진 장면에서는 두 개체가 갯바위에 앉아서 필사적으로 올라오려는 안킬로사우루스와 파라사우롤로푸스를 구경한다. 후반부에는 경매장에서 탈출하면서 복수겸 용병을 잡아 들어올렸다 냅다 떨궈버리고는 날아가 버린다. 이후 영화의 막바지에 세마리가 노을을 등지고 미국 본토를 자유롭게 오가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는 쥬라기 공원 3 마지막 장면을 오마주한 것. 비행을 할 수 있기에 구조에 의존한 공룡들보다 훨씬 많은 개체들이 탈출하였다.

그리고 쿠키영상에서 2마리가 한밤중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위치한 에펠탑에 안착한다. 사실상 쿠키영상은 이게 전부이며 15초도 채 되지 않는다.

2.2.4. 배틀 앳 빅 록

엔딩 크레딧 쿠키 영상에서 등장한다. 결혼식 장에서 신랑 신부가 비둘기를 날려보내는데 그 중 한 마리를 순식간에 낚아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2.2.5. 쥬라기 월드: 카오스 이론

시즌 1에서는 등장이 거의 없다. 다만 벤과 브루클린의 대화 중에 언급이 된다.[19] 직접적인 등장은 콤프소그나투스를 낚아채가는게 끝.

이후 시즌 2에선 새들을 위협하고 누블라 식스 일행들을 공격하나 수코미무스에게 잡아먹힌다.

2.2.6.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파일:프테라노돈.jpg
쥬라기 월드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에 등장했던 종들이 그대로 출현한다.
홍보 사이트인 Dino Tracker에 따르면, 날 수 있다는 점 때문인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의 서울에서도 포착되었다고 한다.

백악기 프롤로그 씬에서는 여러마리가 무리를 지으며 날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 중 몇마리는 시체를 뜯어먹고 있다가 날아오는 케찰코아틀루스를 보자 도망을 치는데, 그 중 한 녀석은 뻐팅겨보다가 케찰코아틀루스가 위협하자 그제야 도망친다. 이후 절벽에서 둥지를 지은 모습과 물속으로 잠수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에는 배경으로나마 등장을 한다.

본편에서는 중반부에서는 여러 마리가 케찰코아틀루스의 공격으로 파괴되어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비상탈출한 클레어를 공격한다. 이때 한 녀석이 낙하산을 찢어버리게 만들어서 클레어를 위험에 빠뜨리게 했으며, 다행히도 보조 낙하산 덕분에 클레어는 무사히 살아남을 수 있었다. 에필로그에서는 케찰코아틀루스와 기러기들과 함께 날아오른다.

작중 굉장히 짧게 지나가지만 볏이 긴 수컷 개체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2.3.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영화 초반부에 크기가 작은 새끼 개체가 새장에 갇힌채 등장한다. 이 개체는 생김새를 보면 잃어버린 세계: 쥬라기 공원에 나온 프테라노돈과 디자인이 유사하다.

이후 잠에서 깬 티라노사우루스 엠버가 물을 마시는 사이 위로 날아가는 모습으로 잠시 등장한다. 이때 엠버가 프테라노돈을 바라보고 있었고, 그 덕에 고무배를 탄 테리사는 그 틈에 타 빨리 가족에게 갈 수 있었다.

제작 초기엔 해당 개체들 외에도 수리남에서 참수된 개체의 사체와 케찰코아틀루스의 둥지에서 배경으로도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기각되었다.

3. 게임

3.1. 쥬라기 공원(아케이드 게임)

쥬라기 공원 3 개봉전이라서 노란색과 붉은 색 종류 두가지가 나오며 크기도 굉장히 작은 오리지널 디자인으로 나온다. 주로 먼곳에서 떼거지로 비행하다가 한마리씩 차에 들이박는 공격을 한다. 시도 때도 없이 나와서 정신이 굉장히 사납다.

3.2. 쥬라기 공원 III: 파크 빌더

프테라노돈과 자이언트 프테라노돈이라는 두종이 존재한다. 자이언트 프테라노돈을 복원하면 프테라노돈 (Ptera Kite)을 만들 수 있다. 도감번호는 각각 112, 113번.

게임 오프닝에도 등장한다.

3.3. 쥬라기 월드: 더 게임

쥬라기 월드에 등장한 계량종이 나온다.

3.4. 레고 쥬라기 월드

잃어버린 세계와 동일한 엔딩을 장식하는데, 영화와 달리 개그씬으로 나뭇가지에 앉고는 커피를 마신다. 한 가지 옥의 티는 색상이 작중의 프테라노돈이 아닌, 후속작에 나온 프테라노돈의 색상이다.

3.5.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쥬라기 공원으로의 귀환" DLC팩으로 등장했으며, 3편의 모습을 기반으로 등장한다. 열대우림 스킨으로 2편의 색상을 가진 개체 또한 나온다. 다른 동물들과는 다르게 고유의 AI 없이 반복 처리 애니메이션으로만 움직인다.

3.6.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2

3편과 4편의 나오는 모습으로 등장하며 전작과 다르게 고유의 AI 모션도 생겼다.

3.7.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3

4. 피규어/스태츄

프테라노돈(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피규어 참조.

5. 기타

  •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 등장하는 고생물 중에서 이례적으로 등장할 때마다 디자인과 설정이 다르게 나오는 것으로 유명하다. 2편에서는 푸른색을 띠고 호리호리한 체형에 온순하다는 설정이었지만, 3편에서는 육중한 체형에 사람을 공격하는 등 호전적인 모습으로 나왔다. 이후 시퀄 시리즈에서는 2편의 호리호리한 작은 체형에 3편의 사나운 성격이 섞인 설정과 디자인으로 고정되며 시퀄 시리즈에 개근했다.
  • 일부 팬들은 벨로시랩터와 마찬가지로 2편과 3편의 개체들을 구분할 때 2편의 개체들을 "로우랜드(Lowland) 프테라노돈", 3편의 개체들을 "하이랜드(highland) 프테라노돈"으로 구분하기도 하나 랩터와 달리 공식 매체에서 한번도 쓰인적이 없기에 그리 통용되는 명칭은 아니었다. 이후 쥬라기 공원 TCG를 통해 3편의 개체를 하이랜드 프테라노돈으로 표기하면서 공식 명칭이 되었고, 2편의 개체는 인랜드 프테라노돈이라는 명칭으로 표기되었다.

[1] 그래봤자 프테라노돈 말고 시리즈에 출연한 익룡이라고는, 소설판 1편의 케아라닥틸루스와 쥬라기 월드의 디모르포돈, 그리고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의 케찰코아틀루스밖에 없다. 심지어 이 중 디모르포돈을 제외하면 각각 한 작품에만 출연하였다.[2] 다만 볏과 부리는 노란색이다.[3] 초기 시나리오에서는 사람을 공격하고 헬리콥터에게도 달려드는 등, 호전적인 성격으로 묘사되었는데, 이 각본이 폐기되면서 덩달아 성격이 온순하다는 설정으로 변경되었다.[4] 문서 상단의 인젠 공식 프로필에 수록된 컨셉아트가 바로 초기 컨셉 아트이다.[5] 이후 쥬라기 월드에서 스필버그가 원했던 헬리콥터 액션 씬이 등장한다. 근데 하필이면 거기에 희생된 인물 중 하나가 사이먼 마스라니라는 것(...)[6] 참고로 실존했던 익룡들 중 프테라노돈의 근연종은 아니지만 '카울키케팔루스'(Caulkicephalus)와 '루도닥틸루스'(Ludodactylus)라는 익룡들이 있는데, 해당 종들의 볏은 프테라노돈의 것과 상당히 유사하게 생겼으며 입에 이빨이 있다. 참고로 이중 루도닥틸루스는 유카잎이 아래턱에 걸려 있는 채로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정황상 이 잎을 빼지 못해서 상처가 감염되어 죽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7] 정확히는 매우 큰 방사장이다.[8] 다리를 건너는 중 갑자기 다리 난간이 진동하길래 에릭은 아만다인 줄 알았었다.[9] 작중 초반에 벤과 에릭이 패러 글라이딩을 즐겼던 낙하산이다.[10] 다행히 죽지는 않고 구조된다. 그런데 어떻게 살아남았는지는 불분명하다.[11] 심지어 익룡의 도심 침공이 아름다운 광경인 것마냥, 아름다운 음악이 흘러나오면서 주인공 일행 모두 훈훈하게 웃음을 짓는다(...). NC도 "어... 죄송한데요. 저것들 사람들 잡아먹으러 가는데 음악은 왜 훈훈하고 주인공들은 처 웃나요?" 라며 깠을 정도였다.[12] 영화 내에서도 아만다 커비가 우리집에 둥지 틀지 말라고 질색을 하는 모습이 나오기도 한다.[13] 다만 이 설정에는 개연성에 큰 오류가 있는데, 작중 등장하는 프테라노돈은 아만다 커비가 실수로 문을 제대로 닫지 않기 전까지 모두 방사장에 갇혀있는 상태였다. 즉, 초반부에 나타나 보트를 습격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물론 초반의 커비일행이 섬 주변으로 오기 전에 이미 프테라노돈의 밥이 된 것으로 보이는 일부 불법관광객이나 밀렵꾼들이 프테라노돈 새장 출입구를 열었다 닫았다를 반복해서 일부 개체가 먼저 빠져나갔다는 등의 세부 설정이 있다면 어느 정도 개연성이 있긴 하다. 아니면 2편 마지막 장면에 나왔던 일부 프테라노돈들이 방사장이 아닌 바깥에 있었으니까 2편의 그 개체들이나 그 개체들의 후손 개체들이 초반 사건을 벌이고 조기 퇴장을 한 것일 수도 있다.[14] 링크의 5:07~5:09 참조.[15] 얼마나 뾰족하냐면, 작중에서 마스라니가 조종하는 헬기에 탄 ACU 요원들중 한 명을 부리로 유리창을 쪼아서 깨뜨리고 관통하여 찔러 죽이는 묘사가 있다.[16] 못생겨진 얼굴(...)에 반감을 표하는 팬들도 있으며, 차라리 볏만 길었어도 좋았을 것이라는 의견도 자주 보이고 있다. 물론 실제 암컷 프테라노돈의 볏 길이는 이렇게 짧은 것은 맞지만 2, 3편에서 이미 긴 볏의 프테라노돈을 등장시켜놓고 갑자기 바뀐 디자인에 위화감을 느끼는 것.[17] 3편에 나온 프테라노돈 개체보다 작은 편으로, 정말 사람을 들어올리는데 힘겨워한다. 심지어 한 마리는 무리수를 부려 펫팅 주의 트리케라톱스 새끼를 낚아채려다가 도로 떨어트리는 추태를 선보인다(...).[18] 물속으로 다이빙해 먹이를 공격하는 모습은 오늘날의 가마우지가 물고기를 사냥하는 모습을 참고했다고 한다. 의외로 고증에 충실한 부분으로, 과거에는 익룡들이 검은집게제비갈매기처럼 부리로 물을 가르며 물고기를 사냥했을 거라는 의견이 많았으나 추가 연구 결과 익룡의 신체 구조로 이런 사냥 방법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고, 최근에는 가넷이나 물총새처럼 물 속으로 뛰어내려 물고기를 사냥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19] 대학교 동기의 과제가 든 가방을 낚아채갔다고 언급된다.[20] 제작 과정을 다룬 영상을 보면 애니매트로닉스에 털이 달려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털이 달려있다는 설정은 훗날 디모르포돈케찰코아틀루스가 물려받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