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21:00:56

프록시마 프로젝트

프록시마 프로젝트 (2019)
Proxima
파일:2019 프록시마 프로젝트 국내 메인 포스터.jpg
<colbgcolor=#F0F0EE><colcolor=#2251A3> 장르 드라마, SF
감독 알리스 위노쿠르
각본 알리스 위노쿠르
장-스테판 브롱
제작 이자벨 매들린
에밀리 티스네
주연 에바 그린
젤리 블랑르멜
맷 딜런
산드라 휠러
촬영 조지 레챕토이스
편집 줄리앙 라셰레이
미술 플로리안 상송
음악 사카모토 류이치
의상 파스칼린 샤반느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다람살라
파일:투명.png 다리우스 필름스
파일:투명.png 파테
파일:독일 국기.svg 판도라 필름 프로덕션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영화사 진진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영화사 진진
개봉일 파일:토론토 국제 영화제 로고.svg 2019년 9월 7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9년 11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10월 15일
화면비 1.85 : 1
상영 시간 107분(1시간 47분 21초)
제작비 640만 유로
월드 박스오피스 $777,286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272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
9.1. 대한민국9.2. 북미 (미국·캐나다)9.3. 중국9.4. 대만9.5. 일본9.6. 영국9.7. 기타 국가
10. 수상 및 후보 이력11. 기타12. 관련 문서

1. 개요

알리스 위노쿠르 감독 및 각본, 에바 그린, 젤리 블랑르멜, 맷 딜런, 산드라 휠러 출연의 2019년작 SF 드라마 영화.

2. 포스터

3. 예고편

30초 예고편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

유럽우주국 ‘프록시마’ 프로젝트의 대원으로 선발되어 평생의 소원이던 우주비행사가 된 사라
우주비행은 남성이 적합하다는 고정관념도, 여성이므로 나약할 것이라는 편견도 이겨낼 수 있지만
아직은 엄마가 필요한 일곱살 딸, 스텔라만큼은 눈에 밟힌다.

언젠가 우주보다 넓은 꿈을 꾸게 될 아이를 위해 쓴,
지구와 우주를 연결하는 러브레터가 시작된다.

5. 등장인물

  • 에바 그린 - 사라 로르 역
  • 젤리 블랑르멜 - 스텔라 애커먼 로르 역
  • 맷 딜런 - 마이크 섀넌 역
  • 라르스 아이딩거[1] - 토마스 애커먼 역
  • 산드라 휠러 - 웬디 호어 역
  • 낸시 테이트 - 나오미 섀넌 역
  • 알렉세이 파테예프 - 안톤 오체예브스키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7374926, IMDb_user=6.3,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proxima_2019, 로튼토마토_tomato=86, 로튼토마토_popcorn=67,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proxima, 메타크리틱_critic=71, 메타크리틱_user=7.3,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proxima-2019, 레터박스_user=3.4,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56610, 알로시네_presse=3.9, 알로시네_spectateurs=3.6,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86687, Filmarks_user=3.4,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27133567, 도우반_user=6.7,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5XKQZN, 왓챠_user=3.2,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84903, 키노라이츠_light=80, 키노라이츠_star=3.3,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CGV=83795, CGV_egg=, ## CGV_highlight=display,
MRQE=proxima-m100128725, MRQE_user=73, ## MRQE_highlight=display,
TMDB=478860-proxima, TMDB_user=63, ## TMDB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proxima-movie-review-2020, RogerEbertcom_user=2.5,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씨네21=56813, 씨네21_expert=6.2, 씨네21_user=7.0, ## 씨네21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proxima, 엠파이어_user=4,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proxima-review-eva-green-1234596693, 인디와이어_user=B,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Proxima sometimes struggles to communicate its themes, but worthy intentions and a powerful central performance from Eva Green more than compensate.
<프록시마 프로젝트>는 종종 자신의 주제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을 겪긴 하지만, 관람할 가치가 있는 제작의도와 에바 그린의 강력한 연기는 단순한 보상 그 이상의 것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꿈을 가진 여성들에게

여성 우주비행사를 조명한 영화. 화성 탐사 프로젝트에 대원으로 선발된 프랑스 여성 엔지니어가 한계를 딛고 꿈을 실현하는 과정을 따라간다. 이야기의 초점은 우주 비행이 아니라 우주 비행을 준비하면서 주인공이 겪는 갈등에 맞춰져 있다. 국적, 성별에 따른 차별, 가족과 이별, 고된 훈련 등 녹록지 않은 현실에 맞서는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특히 어린 딸과의 관계를 비중 있게 다루면서 일과 양육, 엄마와 딸 사이를 넘어서는 여성의 연대를 뭉클하게 그린다. 주연을 맡은 에바 그린을 비롯해 맷 딜런, 산드라 휠러가 맡은 역할을 버겁지 않게 소화하고, 류이치 사카모토의 음악이 중력파 같은 역할을 한다.
- 정유미 (★★★)
아이와 함께 꾸는 우주의 꿈
- 조현나 (★★★)
중력과 모성을 동시에 견디는 워킹맘의 지상 과제
- 김소미 (★★★)
무중력을 꿈꾸는 삶의 중량은
- 박평식 (★★★)
지극히 현실적이어서 더 감동적이고 아름다운 우주비행사 이야기
- 이용철 (★★★☆)
우주와 스텔라 사이, 빛나는 고통
- 박정원 (★★★)
에드워드 양 감독이 SF를 만들었다면, <프록시마 프로젝트>처럼 만들었을 것이다. SF 영화의 매력적인 괴작.
- 정성일 #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9.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9.2. 북미 (미국·캐나다)

9.3. 중국

9.4. 대만

9.5. 일본

9.6. 영국

9.7. 기타 국가

10. 수상 및 후보 이력

11. 기타

  • 일부 장면은 실제로 우주비행사 센터로 사용되는 건물이자 독일에 위치한 유럽 ​​우주비행사 센터(EAC)에서 촬영되었다.
  • 극 중 가정에서 키우고 있는 얼룩 고양이의 이름이 '라이카'인데, 우주비행사가 소재인 영화이니만큼 라이카에게서 따온 이름으로 추청된다.

12. 관련 문서


[1] 페르시아어 수업 주연을 맡은 독일 배우.[2]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