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1d1d1,#090b10> 게임 | <colbgcolor=#e3e3e3,#1b1d22> 규칙 | 게임 진행 · 승리 조건 · 용어 · 색 · 마나 · 카드 · 유형 구역 · 스택 · 덱 종류 · 금지/제한 카드 |
포맷 | 컨스트럭티드 스탠다드 · 파이어니어 · 모던 · 파우퍼 · 레거시 · 빈티지 부스터 드래프트 · 실드 덱 디지털 전용 알케미 · 캐주얼 커맨더 | ||
개발자 | 리처드 가필드 · 마크 로즈워터 · 빌 로즈 | ||
상품 | 카드 | 스탠다드 · 파이어니어 · 모던 · 레거시 이하 · 비정규 제품 | |
제품 | 제품 일람 · 정규 세트 · 특별 세트 · 초보자용 제품 콜라보레이션 제품( 유니버스 비욘드 · 시크릿 레어 ) | ||
관련 정책 | 관련 대회 · 뉴 월드 오더 · 프로젝트 부스터펀 · 에라타 · 오라클 텍스트 · 리저브드 리스트 | ||
비디오 게임 | 매직 더 개더링 온라인 · 아레나 · 플레인즈워커의 결투 · 매직 듀얼 | ||
설정 | 인물/단체 | 플레인즈워커( 우르자 · 야그모스 · 관문수호대 · 니콜 볼라스 ), 엘드라지 · 피렉시아 | |
차원 | 가장자리 | ||
주요 사건 | 위대한 수복 · 기라푸르 그랑프리 | ||
기타 | 진남불용청 · 파워 나인 | }}}}}}}}} |
Project Booster Fun[1]
1. 개요
2019년부터 적용된 트레이딩 카드 게임 매직 더 개더링의 새로운 판매 전략이자 디자인 방법론.요약하자면 다양한 종류의 부스터 팩과 특수 처리된 카드들을 제공하여 수집가, 드래프트 플레이어, 신규 플레이어, 캐주얼 플레이어 등 각기 다른 유저 계층의 요구를 맞추어 준다는 것이다.
2. 배경
1993년 출시 이래 위저드사는 매직 더 개더링에 있어 단일 부스터팩 우선 판매 정책을 유지해 왔다. 특별 상품이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대체로 기존 상품의 재판 목적이었으며, 일러스트나 카드 외형 변화에도 보수적이었다. 따라서 값나가는 새 카드를 얻는 가장 주된 루트는 아무래도 역시나 '부스터 잔뜩 뜯기' 였다.부스터 팩은 리미티드 포맷 게임 플레이를 위해 공들여서 카드들의 성능과 봉입률을 설계한 제품이지만, 사실 상당수의 유저들은 드래프트나 실덱은 전혀 하지 않고 단순히 부스터 팩을 뜯는 재미나 카드 수집을 위해 부스터를 구매하고 있었다. 위저드 측에서도 제품 다각화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었고, 여러가지 시도를 시행하고 있었다. 그 중에 리미티드 밸런스와는 완전히 무관하게 최고급 처리 카드를 희귀하게 넣어주는 마스터피스 시리즈가 큰 인기를 끌자 위자드는 다양한 유저층의 요구에 맞춰 제품 라인업을 다양하게 재편하는 편이 고객 만족도와 매출을 견인할 수 있겠다 판단하고 제품 판매 전략을 변화시키기로 결심했다.
3. 시작
프로젝트 부스터펀은 2019년 확장판인 엘드레인의 왕좌 부터 공식적으로 적용되었으며#,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새로운 종류의 부스터 팩: 리미티드 포맷 게임을 성립시키기 위해 봉입률을 조정하지 않은 기존의 부스터를 드래프트 부스터로 이름붙이고 남겨둔 다음, 새로운 선택지들이 추가되었다.
- 테마 부스터: 특정 색상이나 테마(종족 등)에 초점을 맞춘 35장의 카드가 들어있는 팩. 덱에 바로 쓸 수 있는 카드를 많이 원하는 신규 플레이어나 캐주얼 플레이어를 겨냥했다. 팩당 평균 1~2개의 레어 카드가 포함되었다.
- 콜렉터 부스터: 프로젝트 부스터 펀의 핵심 상품 중 하나로, 프리미엄 카드를 덱에 넣고 싶어하는 Pimp 플레이어, 그리고 매직 더 개더링에 거금을 쏟아붇는 이른바 고래 수집가들을 위한 고가의 부스터 팩이다. 15장의 카드가 거의 대부분 포일이거나 하기한 특수한 외형 처리가 되어 있으며, 한 팩에서 여러 장의 레어/미식 레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확장 아트 카드는 콜렉터 부스터에서만 얻을 수 있다.
- 새로운 카드 외형 처리: 프로모션 카드나 박스 토퍼에 한정되어 제공되던 외형 처리 카드들이 부스터 팩 안에 직접적으로 추가되기 시작했다.
- 쇼케이스(Showcase) 카드: 확장판의 테마와 분위기를 반영한 유니크한 프레임에 대체 일러스트가 들어간 카드. 이 처리가 처음으로 적용된 엘드레인의 왕좌 확장판에서는 동화책 스타일 프레임이 등장했다.
- 보더리스(Borderless) 카드: 보더를 없애고 대신에 일러스트가 카드 가장자리까지 꽉 차게 그려진 카드. 새로운 일러스트가 들어가기도 한다. 주로 플레인즈워커나 특별한 카드에 적용된다.
- 확장 아트(Extended-art) 카드: 일러스트를 조금 더 크게 넣은 뒤 겹치는 부분의 일부 보더만 사라지게 처리한 카드. 쇼케이스나 보더리스 버전이 없는 레어/미식 카드들에 이 처리가 적용되었고, 콜렉터 부스터에서만 얻을 수 있다.
- 포일 카드의 등장 빈도 또한 부스터당 1:4의 확률에서 1:3 정도로 상향되었다.
4. 전개
2019년의 첫 발표 이후에도 프로젝트 부스터펀의 기조를 잇는 제품 또는 마케팅 요소가 차례차례 등장하여 매직 더 개더링 상품의 '다양성'을 늘려가기 시작했다.- 더 많은 종류의 부스터 팩
- 세트 부스터: 2020년 젠디카르 라이징부터 도입된 부스터로, 팩뜯을 즐기는 플레이어들을 겨냥한 제품이다. 드래프트 밸런스를 고려하지 않고 카드를 봉입하여 한 팩에서 최대 4장의 레어 카드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며, 최소 한 장 이상의 쇼케이스/보더리스 카드 봉입도 보장되어 있었다. 또한 같은 확장판에서 처음 등장한 'The List' 카드는 세트 부스터에서만 유일하게 등장할 가능성이 있었다. 드래프트와 콜렉터 부스터 사이의 중간 가격으로 책정되었다.
- 플레이 부스터: 2024년 카를로프 저택의 살인 사건부터 도입된 부스터로, 드래프트 부스터와 세트 부스터를 통폐합한 물건. 여전히 다수의 희귀 카드와 특수 처리 카드를 얻을 가능성이 있지만 리미티드 게임도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가격대가 비슷한 세트 부스터가 매출로 드래프트 부스터를 압도했지만 게임 샵들은 리미티드 대회 유치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일정량의 드래프트 부스터를 매입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점프스타트 부스터: 2020년 특별 상품 Jumpstart에서 선보였다가 2022년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부터 도입된 부스터. 두 개를 사서 섞으면 바로 40장짜리 인스턴트 덱이 완성되는 특수한 구조로 만들어졌다. 입문자 플레이어에게 덱을 짜는 어려운 과정을 건너뛰고 게임의 재미부터 느끼게 해주기 위해 도입되었다.
- 에필로그 부스터: 2023년 기계군단의 행진: 그 이후 확장판에 적용된 부스터. 카드 50종짜리 미니 확장판을 위한 5장들이 미니 부스터로 카드 양도 적고 리미티드 게임이 불가능한데 가격이 비슷해서 유저 평가가 좋지 않았다.
- 새로운 부스터 인서트 요소
- The List: 광범위한 범위의 희귀도, 가격대의 카드들을 재판하여 봉입한다. 이 카드들은 원래 발매됐던 확장판의 프레임과 심볼, 일러스트를 유지한다. 2020년 젠디카르 라이징 확장판에서 처음 도입.
- Bonus Sheet: 수록된 확장판과 연관된 테마의 카드들을 재판하여 봉입하는 상품. 이 카드들은 쇼케이스 프레임과 새로운 심볼, 일러스트를 받는다. 2021년 스트릭스헤이븐: 마법 학교 확장판에서 처음 도입.
- Special Guests: '플레이어들이 원하는 레벨'의 카드들을 재판하여 봉입하는 상품. 이 카드들은 보더리스 프레임과 새로운 심볼, 일러스트를 받는다. 2023년 익살란의 잃어버린 동굴 확장판에서 처음 도입.
- 일련번호 버전[2](Serialized) 카드: 2022년 형제 전쟁 확장판에서 처음으로 몇몇 Bonus sheet 카드에 특수 포일 처리를 하고 일련번호를 달아 500여장 이하의 극소량을 봉입했으며, 2023년 반지의 제왕: 가운데땅의 이야기에서는 단 한장의 암흑어 버전 절대반지라는 희귀도 마케팅으로 큰 화제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 부스터 인서트 전용 콜라보레이션: 2020년 이코리아: 거대괴수들의 소굴 확장판에서는 고질라 콜라보레이션 카드가, 2022년 형제 전쟁 확장판에서는 트랜스포머 콜라보레이션 카드, 2023년 익살란의 잃어버린 동굴 확장판에서는 쥬라기 공원/월드 콜라보레이션 카드가 봉입되었다.
- 새로운 카드 외형 처리:
- 새로운 서브 브랜드 창설: 카드를 플레이용보다는 좀 더 수집품에 가까운 관점으로 판매하는 전략의 일환이다. 시크릿 레어 카드들은 실제 플레이가 불가능할 정도로 가독성이 해쳐져 있는 경우가 많으며, 유니버스 비욘드 카드들은 매직 더 개더링을 전혀 모르는 타 IP 팬들이 수집 목적으로 구매할 것도 가정하고 제작된다.
- Secret Lair: 2019년에 런칭된 다양한 테마의 대체 아트를 다루는 브랜드. 기존 매직 더 개더링 상품 유통망과 완전히 분리된 별개의 주문 접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Universe Beyond: 2020년에 런칭된 타 IP와의 콜라보레이션을 전문으로 다루는 브랜드.
5. 평가
5.1. 긍정적
일단 무엇보다 매출이 증가했다. 2020년과 2021년에 매직 더 개더링은 기록적인 매출을 올렸고, 이에 부스터 펀은 사실상 모든 신규 세트에 적용되는 새로운 표준이 되었다. 이후로도 워해머 40,000이나 반지의 제왕, 파이널 판타지와 같은 대형 IP와의 콜라보레이션은 기록적인 성공을 거두며 매직 더 개더링 전체 매출에 크게 기여했다.플레이용 카드 가격의 안정화 역시 프로젝트 부스터펀의 공이 크다. 뜯으면 레어/미식이 몇 장씩 튀어나오는 콜렉터 부스터의 존재 때문에 일반 버전 카드의 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 것이다. 또한 The List나 Special Guests의 존재로 인해 발매된 지 오래된 기존 카드의 가격까지 같이 잡히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로 인해 게임 플레이를 위한 카드 획득은 쉬워졌다. 다만 희귀한 특별 버전(포일 쇼케이스, 확장 아트 등)의 카드는 매우 높은 가격에 거래되며 새로운 '추격 카드'(chase card) 시장을 형성했다.
5.2. 부정적
유저 피로도가 급속하게 증가했다. 다양한 버전의 카드가 존재하게 된 만큼 숙지해야 할 부스터 봉입률 설정이 늘어났는데, 여기에 여러 종류의 부스터가 출시되어 있어 계산이 또 배가되고, 화룡점정으로 부스터 인서트가 그 복잡도에 불을 지른다. 거기에 제품 출시 텀 또한 예전보다 짧아지는 바람에 제품 라인업이 정신 나간 수준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입문자 입장에서 매직의 제품 라인업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은 광기와 공포 뿐이라는 평도 있다. 각 유저층에게 알맞는 제품을 안겨주겠다는 최초의 의도와는 다르게 반대로 가버린 셈.둘째로 너무 다양한 종류의 카드가 범람하다 보니 수집 가치가 하락했다. 실제로 카드 거래 사이트에서 가격을 모니터링해 보면 중저가 카드의 경우 쇼케이스 처리된 카드의 가격이 일반 카드와 거의 차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것이 특별하다면 실제로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는 마크 로즈워터의 지론이 실현돼버리고 만 것이다. 가장 큰 가치절하를 당한 것은 포일 카드인데, 콜렉터 부스터에서 포일 카드가 거의 기본적으로 깔려 나오는 탓에 비포일 카드의 2배는 무조건 먹고 들어가던 가격이 이제는 비포일 카드와 동일하거나 심지어 더 싼 역전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다. 이래서야 수집가의 수집 의욕도 떨어지는 것은 당연지사. 물론 여전히 극도로 희귀한 일련번호 처리 카드 등이 있지만 이쪽은 이쪽대로 대부분의 플레이어에게 너무 손이 닿기 어려워 마치 파워 나인 처럼 소수에게만 의미가 있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프로젝트 부스터펀 이후로 로컬 샵의 부담이 과도하게 증대되면서 시장과 생태계의 건전성이 파괴되고 있다. 과거에는 로컬 샵들이 부스터 DP를 대량으로 개봉해서 싱글 카드 재고를 확보하곤 했으나 위저드가 전례없이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공급하자 어차피 모든 재고를 갖출 수 없다는 판단 하에 많은 상점들이 더 이상 부스터의 대량 개봉을 하고 있지 않다. 이렇게 샵들이 신제품 주문을 줄이게 되면 이는 위저드의 수익에도 장기적인 악영향이 있을 수 있다. 드래프트 부스터와 세트 부스터가 플레이 부스터로 합쳐진 것도 로컬 샵의 부담이 한계치를 넘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2022년 보고서에서 하스브로가 시장을 범람시킴으로써 매직의 장기적인 건전성을 해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위저드는 매직이 그 어느 때보다 인기가 많다고 반박했으나 이러한 방식이 미래를 팔아서 현재를 버는 방식은 아닌지, 프랜차이즈를 지속 가능하게 운영하는 방법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다.
[1] 한국어명인 '프로젝트 부스터펀'은 당시 공식 채널이었던 매직 더 개더링 공식 네이버 포스트의 표기법을 가져온 것이다.[2] 매직 더 개더링 공식 라운지 번역[3] 보더리스 카드인데도 이름이 쇼케이스인 이유는 '쇼케이스'에는 특수 외형 처리라는 넓은 뜻도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