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17:48:17

프랑크푸르트 1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선거구 제181구
Wahlkreis 181: Frankfurt am Main I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203,423명 (2025)
상위 주 헤센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프랑크푸르트 중서부[1.1]
연방의원 - -


1. 개요

독일 헤센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2021년 제20대까지는 선거구 번호 182번이었으나, 2025년 제21대부터 181번으로 변경되었다.

헤센의 최대도시 프랑크푸르트의 시내 중심부가 포함된 상징적 지역구이다. 1949년에 선거구가 생긴 이후 현재까지 지역구에서 기민련이 10번, 사민당이 10번 당선되어 독일에서 대표적인 거대 양당의 팽팽한 경합 선거구로 평가할 수 있다.

2025년 제21대에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기민련이 1위를 차지했으나, 저조한 득표율로 인해 이 지역구 의석은 공석으로 남게 되었다.

녹색당은 2021년 제20대에서는 비례대표 20% 이상의 득표로 1위를 차지했으나, 2025년에는 18%로 약세를 보였다. 반면 좌파당이 급부상하여 15%의 득표로 4위를 차지했다. AfD는 평균 정도이다.

2. 역대 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헤센 주장.svg 헤센 제21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166구 167구 168구 169구 170구
얀 빌헬름 폴만 다니엘 베터만 빌헬름 게브하르트 - 죄렌 바르톨
171구 172구 173구 174구 175구
요하네스 폴크만 프레데릭 부피어 미하엘 브란트 요하네스 비겔만 마르쿠스 코프
176구 177구 178구 179구 180구
토마스 파울스 클라우스-페터 빌쉬 슈테판 코르바흐 파스칼 레디히 노르베르트 알텐캄프
181구 182구 183구 184구 185구
- - - 비욘 지몬 -
186구 187구
파스칼 립스 미하엘 마이스터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얀 놀테 우베 슐츠 로빈 융어 율리안 슈미트 피에르 라멜리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크리스티안 도글라스 토마스 페치 얀 페저 니콜레 헤스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안나 뤼어만 오미드 누리푸어 데보라 뒤링 타렉 알바지르 아웨트 테스파이에수스
비례 6 비례 7
보리스 미야토비치 아이세 아사르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자닌 비슬러 요어크 체잔 비올레트 보크 데지레 베커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비례 6
다그마 슈미트 아르만트 초른 낸시 패저 펠릭스 되링 에스터 딜혀
비례 7 비례 8 비례 9
마르틴 라바누스 나탈리 파블릭 필립 로트빌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rowcolor=#000> 프랑크푸르트 1구
프랑크푸르트 중서부[1.1]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야니크 슈반더 41,232 26.0% 1위 37,384 23.5% 1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아르만트 초른 40,832 25.7% 2위 27,190 17.1% 3위


비례 당선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데보라 뒤링 25,758 16.2% 3위 28,697 18.0% 2위


비례 당선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자닌 비슬러 20,329 12.8% 4위 24,476 15.4% 4위


비례 당선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요른 바우어 17,067 10.8% 5위 17,092 10.7% 5위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프랑크 마이발트 7,418 4.7% 6위 10,541 6.6% 6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마리아나 하라무스 2,517 1.6% 7위 1,892 1.2% 8위
'''
Volt
'''
막시밀리안 클뢰크너 1,693 1.1% 8위 801 0.5% 11위


마르셀 슈틸거 1,465 0.9% 9위 856 0.5% 10위


누란 샤크마클리-크라프트 323 0.2% 10위 103 0.1% 14위
'''
MLPD
'''
- - - - 8,274 5.2% 7위


- - - - 1,370 0.9% 9위
'''
동물보호당
'''
- - - - 190 0.1% 12위
'''
독일 연합
'''
- - - - 156 0.1% 13위
'''
PdH
'''
유효표 158,634 159,022
무효표 1,547 1,159
총 투표수 160,181 160,181
투표율 78.7% 78.7%
결과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획득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헤센 주장.svg 헤센 제20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167구 168구 169구 170구 171구
에스터 딜혀 티몬 그레멜스 미하엘 로트 에드가 프랑케 죄렌 바르톨
172구 173구 174구 175구 176구
다그마 슈미트 펠릭스 되링 미하엘 브란트 베티나 뮐러 마르쿠스 코프
177구 178구 179구 180구 181구
나탈리 파블릭 클라우스-페터 빌쉬 잉마르 융 레나트 욀 노베르트 알텐캄프
182구 183구 184구 185구 186구
아르만드 조른 오미드 누리푸어 멜라니 베글링 비욘 지몬 안드레아스 라렘
187구 188구
옌스 치머만 미하엘 마이스터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마리아나 하더-퀴넬 조아나 코타르 우베 슐츠 얀 놀테 알브레히트 글라저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헬게 브라운 파트리치아 립스 카티야 라이커트 아르민 슈바르츠 슈테판 헥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베티나 슈타르크-바칭어 토르스텐 리프 틸 만스만 알렉산더 뮐러 위르겐 렌더스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비례 20
카티야 아들러 페터 하이트 베티나 호프만 코르둘라 슐츠-아셰 볼프강 슈트렝만-쿤
비례 21 비례 22 비례 23 비례 24 비례 25
안나 뤼어만 필립 크래머 데보라 뒤링 보리스 미야토비치 아웨트 테스파이에주스
비례 26
자닌 비슬러
비례 27
알리 알-다일라미
비례 28
카웨 만수리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rowcolor=#000> 프랑크푸르트 1구
프랑크푸르트 중서부[1.1]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아르만트 초른 41,604 29.0% 1위 32,499 22.6% 2위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악셀 카우프만 31,163 21.7% 2위 25,915 18.0% 3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데보라 뒤링 26,922 18.8% 3위 33,821 23.5% 1위


비례 당선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프랑크 마이발트 16,369 11.4% 4위 21,361 14.9% 4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자닌 비슬러 12,562 8.8% 5위 10,384 7.2% 5위


비례 당선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파트릭 솅크 7,909 5.5% 6위 7,846 5.5% 6위


막시밀리한 챙커 2,685 1.9% 7위 1,734 1.2% 8위
'''
Volt
'''
에릭 패리쉬 2,094 1.5% 8위 1,184 0.8% 12위


마르틴 하이퍼츠 2,052 1.4% 9위 1,597 1.1% 10위
'''
dieBasis
'''
카르스텐 바펠트 143 0.1% 10위 72 0.1% 21위
'''
MLPD
'''
- - - - 2,496 1.7% 7위
'''
Todenhöfer
'''
- - - - 1,716 1.2% 9위
'''
동물보호당
'''
- - - - 1,389 1.0% 11위


- - - - 645 0.4% 13위


- - - - 210 0.1% 14위
'''
Die Humanisten
'''
- - - - 179 0.1% 15위
'''
Gesundheitsforschung
'''
- - - - 168 0.1% 16위
'''
V-Partei
'''
- - - - 133 0.1% 17위
'''
Bündnis C
'''
- - - - 125 0.1% 18위
'''
NPD
'''
- - - - 118 0.1% 19위
'''
ÖDP
'''
- - - - 97 0.1% 20위
'''
DKP
'''
- - - - 39 0.0% 22위
'''
LKR
'''
- - - - 35 0.0% 23위
'''
diePinken/BÜNDNIS21
'''
유효표 143,503 143,763
무효표 1,507 1,247
총 투표수 145,010 145,010
투표율 72.1% 72.1%
결과


획득



획득


[1.1] 알트슈타트, 반호프스피어텔, 보켄하임, 도른부쉬, 에셔하임, 갈루스, 긴하임, 그리스하임, 구틀로이트피어텔, 하우젠, 헤더른하임, 회히스트, 이넨슈타트, 니트, 니더우르젤, 프라운하임, 뢰델하임, 진들링엔, 조센하임, 운터리더바흐, 베스트엔트, 차일스하임[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