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pad>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현재 |
2025 시즌 순위 (18R) 현재 20위 |
프랑코 콜라핀토 2025 시즌 | |
| |
<colbgcolor=#187bcd><colcolor=#fff> 소속 팀 | <colbgcolor=#fff,#191919>BWT 알핀 포뮬러 원 팀 |
경과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레이스 종료 기준) | |
우승 | 0회 |
폴 포지션 | 0회 |
패스티스트 랩 | 0회 |
포디움 | 0회 |
그랜드 슬램[1] | 0회 |
해트트릭[2] | 0회 |
폴 투 윈 | 0회 |
총점 | 0점 |
평균 퀄리파잉 순위 | |16.42위 |
평균 스타팅 그리드[3] | 15.46위 |
평균 완주 순위[4] | 15.64위 |
1. 개요2. 프리 시즌3. 시즌 상세
3.1. 전반기
4. 시즌 총평3.1.1. 리저브 겸 테스트 드라이버 활동
3.2. 후반기3.1.1.1. 정규 드라이버로 승격
3.1.2.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 P163.1.3. 8R: 모나코 그랑프리 - P133.1.4. 9R: 스페인 그랑프리 - P153.1.5. 10R: 캐나다 그랑프리 - P133.1.6.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P153.1.7. 12R: 영국 그랑프리 - DNS3.1.8. 13R: 벨기에 그랑프리 - P193.1.9. 14R: 헝가리 그랑프리 - P183.1.10. 전반기 총평1. 개요
프랑코 콜라핀토의 F1 2025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콜라핀토의 F1 참가 2번째 시즌이자 알핀 소속으로 참가하는 1번째 시즌이다.2. 프리 시즌
지난 2024 시즌 종료 직후 윌리엄스의 리저브 드라이버 자리를 맡을 것으로 예상 되었으나, 알핀의 고문인 플라비오 브리아토레의 눈에 들어 알핀의 관심을 받아왔다. 그리고 약 $20M의 이적료[5]로 윌리엄스에서 알핀의 리저브로 이적하게 되었다.3. 시즌 상세
3.1. 전반기
3.1.1. 리저브 겸 테스트 드라이버 활동
팀의 공장에 방문해 팀원들과 인사를 가진 뒤 시뮬레이터에 앉아 알핀의 레이스 카에 적응해 나갔다. 이후에는 몬차 서킷과 잔드보르트 서킷 등에서 TPC[6]를 수행하여 실전 감각을 다져 나갔다.그러다 6R 마이애미 그랑프리가 종료된 직후 부진을 면치 못한 잭 두한이 정규 드라이버 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팀장이었던 올리버 오크스가 사임한 것은 물론 고문이었던 브리아토레가 팀장직까지 차지하며 콜라핀토가 정규 드라이버로 승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3.1.1.1. 정규 드라이버로 승격
잭 두한, 프랑코 콜라핀토로 교체 |
3.1.2.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 P16
콜라핀토의 알핀 데뷔전이 될 예정이다.Q1에서부터 시케인에서 미끄러지면서 차를 날려먹으며 탈락했다. Q2에 진출하긴 하였으나, 레이스 카 파손으로 인해 나오지 못하고 그대로 P15를 기록하였다. 세션 종료 이후엔 Q1 세션 재개 시각 공지 이전에 패스트 레인에 진입했다는 이유로 1 그리드 페널티를 받아 레이스는 16 그리드에서 출발한다.
레이스에서는 별다른 활약 없이 스타팅 포지션 그대로 16위로 마쳤다.
3.1.3. 8R: 모나코 그랑프리 - P13
레이스 전 5경기 후 미래를 결정하겠다는 조항이 삭제되며 사실상 남은 경기 모두 소화를 할 예정이다. 모든 프랙티스 세션에서 최하위의 성적을 가져왔고 퀄리파잉에서 20위라는 처참한 성적을 들고왔다.[9] 그러나 앞에 두 명의 드라이버가 그리드 페널티를 부여받음에 따라 18번 그리드에서 출발했고 추월이 거의 불가능한 모나코 서킷에서 전략적인 피트스톱을 통해 5계단을 끌어올리는 인상적인 주행을 선보였다.콜라핀토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P13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대치였다”며, “잘못된 타이어 선택으로 시작했지만, 전략적으로 최선을 다했다”고 밝혔다. 콜라핀토는 이번 경기를 통해 알핀의 전략적 대응과 자신의 주행 능력을 입증하며, 향후 레이스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3.1.4. 9R: 스페인 그랑프리 - P15
그야말로 처참한 성적.피에르 가슬리가 8위로 퀄리파잉을 마감한 것에 비해, 콜라핀토는 19위로 Q1 탈락을 해버렸다.레이스에서는 알렉산더 알본과 안토넬리의 DNF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피트 스타트를 한 츠노다 유키한테도 역전당하면서 15위로 레이스를 마무리했다.(
이후 플라비오 브리아토레가 인터뷰를 한 내용에 의하면 플라비오는 프랑코의 퍼포먼스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최악의 경우 프랑코가 2025시즌을 마무리 하지 못 하고 자리에서 물러날 수도 있다고 밝혔다.[10]
3.1.5. 10R: 캐나다 그랑프리 - P13
퀄리파잉에서는 Q2에서 아쉽게 탈락하여 Q3 진출에 실패했다. 질 빌르너브 서킷은 고속 직선과 타이트한 시케인이 반복되는 '스톱 앤 고' 레이아웃으로, 레이스 카에 부하가 많이 가해지는 특징이 있었기에 레이스 카 페이스가 다소 부족해 더 순위를 끌어올리기 어려웠다. 레이스에서는 P10 스타트에서 P13으로 레이스를 마쳤다.캐나다 그랑프리 후 아르헨티나 축구 스타 리오넬 메시에게 특별한 레이싱 헬멧을 선물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11]
3.1.6.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P15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시작하기 전날인 26일, 영국 그랑프리에 출전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뿐만 아니라 플라비오 브리아토레가 5경기 계약설을 전면 부정하면서 끝내 팀에 잔류하게 되었다. 따라서 잭 두한의 복귀는 무산되었다.퀄리파잉에서는 팀메이트인 피에르 가슬리에 비해 다소 뒤쳐지는 기록을 선보이며 P14로 Q2에서 탈락하였다.
레이스에서는 소프트 타이어로 시작했고, 오프닝 랩부터 상위권인 막스 베르스타펜과 키미 안토넬리가 충돌로 리타이어하며 12위까지 올라왔다. 그러나 알렉산더 알본의 DRS 트레인에 가로막혀 더티 에어만 먹으며 페이스가 쳐지기 시작했고, 일찍이 미디엄 타이어로 교체하며 최하위권까지 뒤쳐졌다. 설상가상 31랩 째엔 츠노다 유키가 자신을 담그며 한 바퀴 스핀 후 시간을 크게 잃고 말았다. 레이스 후반부인 54랩 째엔 3번 코너를 지나 다시 만난 츠노다와 DRS 배틀을 하게 되었으나, 막 피트스톱을 마치고 선두 경쟁을 하고 있는 오스카 피아스트리를 미처 보지 않고 슬립 스트림만 신경 쓰다가 피아스트리를 밀어내어 5초 페널티를 받고 말았다. 결국 최종 완주 순위는 P15.
여담으로, 피아스트리를 밀어냈을 때 피아스트리로부터 팀 라디오에서 알핀은 자기만 괴롭힌다고 비판받기도 하였다.
3.1.7. 12R: 영국 그랑프리 - DNS
퀄리파잉에서부터 마지막 코너에서 컨트롤을 잃고 스핀 해 P20 최하위로 Q1 탈락을 하고 말았다. 그래블 존을 관통하고 배리어와 충돌하기까지 했는데, 그래블로 인한 먼지를 잔뜩 뒤집어쓴 상태로 레이싱 라인에 복귀했으나 레이스 카의 대미지를 이기지 못하고 트랙 위에 멈춰 서서 결국 레드 플래그를 이끌어냈다. 해설자 마틴 브런들은 이런 사고를 냈을 때는 레이싱 라인에 돌아오지 않는 게 에티켓이라며 콜라핀토의 매너 없는 플레이를 꼬집었다.레이스는 파워유닛 구성 요소 교체로 피트레인 스타트였으며 기어 박스 이슈로 출발을 하지 못했다.[12]
3.1.8. 13R: 벨기에 그랑프리 - P19
스프린트 퀄리파잉에서는 매우 좋지 못한 페이스로 19위 SQ1 탈락을 확정지었다. 다음 날 스프린트에서도 반전을 이루지 못하고 19위에 그쳤다.퀄리파잉에서도 페이스는 좋지 못했고, 결국 17위로 Q1 탈락을 하였다. 그나마 앞선 두 드라이버인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와 루이스 해밀턴이 피트레인 스타트를 하게 되어 15위에서 레이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빗길 속에서 시작된 레이스에서는 루이스 해밀턴에게만 추월당한 채 16위까지는 유지했으나, 미디엄 타이어로 교체 이후 처참한 페이스를 보여주며 17위로 하락 후 뒤쳐지기 시작했다. 새 하드 타이어로 교체한 뒤에도 앞서 있는 사인츠와의 거리가 오히려 더 벌어지며 19위로 완주하였다.
3.1.9. 14R: 헝가리 그랑프리 - P18
퀄리파잉에서는 팀메이트 피에르 가슬리를 누르고 Q2에 진출하였고, P14에서 레이스를 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레이스에서는 스타트 이후 5위에 위치한 페르난도 알론소가 기차놀이를 형성하며 콜라핀토는 꽁꽁 묶이게 되었고, 좋지 못한 롱런 페이스로 인해 18위로 하락하며 레이스를 마무리하였다.3.1.10. 전반기 총평
전반기 최악의 드라이버. 잭 두한과 함께 유이하게 포인트를 따내지 못했으며, 퀄리파잉과 레이스 모두 특출난 점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쯤 되면 두한을 굳이 왜 교체한 건지 의문이 드는 수준이다.이러한 부진으로 인해 교체 루머까지 돌고 있는 중인데, 발테리 보타스가 잔여 시즌동안 알핀과 계약해 콜라핀토를 교체할 수 있다는 루머이다. 이 루머가 실제로 이어진다면 콜라핀토의 F1 재복귀는 더욱 어려워질 수 있으나, 만약 콜라핀토의 잔류가 결정된다면 후반기에는 더욱 성장한 모습으로 팀에게 좋은 순위와 꾸준한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나마 보타스가 2026 시즌에 캐딜락으로 이적한다는 공식 발표가 나오긴 하였으나, AMuS에 따르면 후반기에도 콜라핀토가 상황을 반전시키지 못한다면 차기 시즌에 다른 드라이버와 교체될 것이라 보도하였다.
3.2. 후반기
3.2.1. 15R: 네덜란드 그랑프리 - P11
퀄리파잉 Q1에서 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에게 0.067초 차이로 P16을 기록하며 탈락하였다.소프트로 시작한 레이스에서는 타이어 이점을 제대로 못살리며 하드로 교체해 19위로 떨어졌고, 얼마 안가 루이스 해밀턴의 리타이어로 SC가 발동되며 시간 손해까지 보고 말았다. 15위로 다시 시작한 레이스에서는 65랩 째에 랜도 노리스의 리타이어 이후 3차 SC가 발동되어 새 소프트 타이어로 순위 변동 없이 교체하며 13위로 트랙에 복귀. 드디어 포인트 획득의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래된 하드 타이어를 장착한 피에르 가슬리를 추월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시간 손해를 보게 되었고, 결국 0.45초 차이로 최종 10위를 기록한 에스테반 오콘의 뒤로 들어와 P11로 노 포인트를 기록하였다.[13]
3.2.2. 16R: 이탈리아 그랑프리 - P17
퀄리파잉에서 페이스 부족으로 Q1에서 탈락하였으며, 레이스에서는 중간에 페이스 부족으로 피에르 가슬리와 자리를 스왑하는 등 무기력한 모습을 이어갔다. 결국 P17로 완주해 이번에도 포인트 획득에 실패하였다.3.2.3. 17R: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 P19
퀄리파잉에서 P16에 위치한 상태에서 마지막 플라잉 랩을 돌다가 4번 코너 바깥쪽으로 빠진 피에르 가슬리를 보고 컨트롤을 잃어 벽에 충돌해 레드 플래그를 발동시켰다.레이스에서는 포인트를 위해 달리고 있었으나, 첫 번째 피트스톱 이후 알렉스 알본에게 들이받혀 최하위로 밀려나며 사실상 레이스를 망치고 말았다. 결국 최하위인 P19로 완주하고 말았다.
3.2.4.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 P16
이번 그랑프리에서도 알핀의 레이스 카는 최하위권 페이스를 보였고, 콜라핀토 역시 P18을 기록하며 Q1에서 탈락하였다. 그나마 앞선 윌리엄스 듀오가 DRS 규정 위반으로 실격되며 P16에서 레이스를 시작한다.레이스에서는 좋은 스타트와 함께 P13까지 올랐다. 추월이 어려운 서킷 특성을 활용해 팀에서는 콜라핀토를 일찍 불러들여 언더컷을 시도하였으나, 하드 타이어가 아닌 미디엄 타이어로 교체한 것이 독이 되고 말았다. 좋지 못한 2번째 스틴트 페이스로 인해 아이작 하자르를 앞으로 보내며 포인트 획득 기회가 크게 줄어들고 말았고, 미디엄 타이어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며 결국 P16까지 연신 하락하며 레이스를 마무리하였다.
3.2.5. 19R: 미국 그랑프리 - P17
콜라핀토는 미국 그랑프리에서 다소 불운한 주말을 보냈다.스프린트 주말 체제였던 이번 대회에서 유일한 연습 세션인 FP1에서는 16위에 머물렀고, 스프린트 퀄리파잉에서도 SQ1에서 탈락하며 상위권 진출에 실패했다. 토요일 스프린트 레이스에서는 순수하게 느려터진 페이스로 인해 페널티를 받은 베어먼을 제외한 꼴지인 14위로 마무리했으며, 퀄리파잉에서는 알본의 랩타임 삭제로 Q2 진출에 성공해 15번째 그리드를 확보했다.
일요일 레이스에서는 중위권에서 꾸준한 주행을 이어갔으나, 경기 막판 팀 오더를 따르지 않고 동료 피에르 가슬리를 추월하면서 논란이 발생했다.[14] 결국 콜라핀토는 포인트권 진입에 실패한 17위로 레이스를 마쳤고, 알핀은 레이스 후 팀 오더 불이행에 대해 내부 검토를 예고했다.
3.2.6. 20R: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3.2.7. 21R: 상파울루 그랑프리
3.2.8. 22R: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3.2.9. 23R: 카타르 그랑프리
3.2.10. 24R: 아부다비 그랑프리
4. 시즌 총평
[1]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티스트 랩 달성, 레이스 진행 중 모든 랩에서 선두[2]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트스트 랩 달성[3] 피트레인 스타트, DNS 제외[4] 리타이어 경기 제외[5] 한화 약 270억[6] 이전 시즌들의 레이스 카로 테스트 주행.[7] 에밀리아로마냐 - 모나코 - 스페인 - 캐나다 - 오스트리아[8] 쿠쉬 마이니는 슈퍼 라이선스 포인트가 부족해 슈퍼 라이선스 발급이 불가능하고 정식 주행을 할 수 없다.[9] 2023시즌에 성적 부진으로 해고된 닉 더프리스도 그리드에서 가장 느린 알파타우리의 레이스카로 12위를 따냈다.[10] 알핀은 세르지오 페레스와 회담을 한 것으로 밝혀지며 체코 페레스, 파울 아론, 잭 두한과 시트를 두고 경쟁하는 처지가 되었다.[11] 2024시즌 F2 MP 모터스포츠 시절 사용한 헬멧으로 윌리엄스, 알핀 시절 헬멧은 아니다.[12] 팀 라디오에 의하면 2단 기어에서 변속이 불가능했다고 한다.[13] 경기 종료 직후 일부 콜라핀토의 팬들이 알핀의 전략을 크게 비난하기도 하였다.[14] 알핀이 함께 보톨레토를 방어하기 위한 오더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