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2:20:53

폴스타코리아

<colbgcolor=#53565a,#c8c8c6><colcolor=#fff,#000> 폴스타코리아
Polestar Korea
파일:폴스타 로고.svg파일:폴스타 로고 화이트.svg
파일:Polestar_wordmark.png파일:Polestar_wordmark._white.png
기업명 정식: 폴스타오토모티브코리아 유한회사
영어: Polestar Korea
설립일 2021년 12월 31일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343 (논현동, 더 피나클 강남 5층)
기업형태 중견기업
대표자 함종성
업종 상용차 수입업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1. 개요2. 역사3. 수입 차종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스웨덴전기자동차 브랜드 폴스타의 대한민국 법인이다.

2. 역사

폴스타코리아는 2021년 12월 21일 자사의 첫 번째 전시 공간인 데스티네이션 서울(한남동 소재)에서 브랜드 현황과 미래, 사업 전략을 밝히며 국내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폴스타는 대한민국에 상륙한 두 번째 외국계 순수 전기차 브랜드이다.[1]

이에 앞서 2021년 3월 11일 폴스타오토모티브코리아를 설립하고 볼보자동차코리아에서 일하던 함종성[2][3]을 대표이사에 선임했다.

폴스타코리아는 2024년까지 매년 1종 이상 신차 출시, 전시공간 10곳[4] 마련, 100% 온라인 판매, 볼보 서비스센터[5] 이용 등 구체적 계획을 발표했다.

2022년 1월, 폴스타 2의 온라인 사전예약을 실시했는데, 1주만에 1년 목표치의 2배인 4,000대를 돌파해 한달 전 런칭한 브랜드인 것을 감안했을 때 꽤 성공적으로 입성한 것으로 보인다. 사전계약자의 90%가 100% 보조금이 나오는 롱레인지 싱글모터(5,490만원)를 선택했고 70%가 2가지 옵션을 모두 선택했다.

폴스타 2는 2022년 국내에서 총 2794대가 판매되어 테슬라 모델 3, 모델 Y에 이어 단일 모델 외산 전기차 3위의 판매량을 기록했다.[6]

폴스타가 볼보지리홀딩스의 합작사인 관계로 미디어데이에서 지리홀딩스와 폴스타 간의 지분구조·협력관계에 대해 설명을 요구하는 질문이 제기됐는데 함종성 대표는 "폴스타는 본사를 스웨덴에 두고 있고, 지분도 49.5%를 볼보자동차에서 소유하고 있다."며 중국 브랜드 논란을 불식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볼보자동차의 지분 100%를 중국 브랜드인 지리자동차가 소유하고 있는데 50% 미만의 볼보 자동차 지분으로 폴스타를 중국 브랜드가 아니라고 볼 수 있는지는 의문. 데스티네이션 서울 오픈 행사 때 주한 스웨덴 대사인 다니엘 볼벤을 축사자로 세운 것도 이러한 취지에서 언급한 것으로 보이나, 엄밀하게 말하면 아직까진 확실히 단정 지을 수 없지만 추후 지리자동차의 지분율이 더욱 증가한다면 중국차 브랜드에 가까워질 것이라고 봐야한다.

결국 현실이 되었다. 볼보가 폴스타의 지분 전량을 지리 자동차에 매각하기로 하면서 폴스타는 지리자동차의 자회사가 되어 중국 브랜드가 되었다. #, #

폴스타는 스웨덴 본사가 디자인, 설계, 안전 테스트 등 모든 것을 결정하며 스웨덴 브랜드로 분류하고 있다. 차대번호 역시 스웨덴 코드를 부여받는다.[7] 다만, 차량 생산은 100% 중국 청두시에서 진행한다. 2025년부터 SK온의 배터리를 장착한 폴스타 4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에서 국내용과 미국 수출용으로 생산될 예정이다.

제네시스의 경우 전용 서비스 센터를 두어 차별화를 하는데 비해 폴스타는 2023년 기준으로 아직 전용 서비스 센터가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3. 수입 차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3565a,#c8c8c6><tablealign=center>
파일:폴스타 로고 화이트.svg파일:폴스타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그랜드 투어러 - 1
중형차 2 -
준대형 SUV 3 -
쿠페형 SUV 4출시예정 -
대형차 5출시예정 -
스포츠카 6출시예정 -
볼보의 차량
링크 & 코의 차량
지커의 차량
}}}}}}}}} ||


(▼) : 출시 이후 수입이 중단된 모델.

4. 둘러보기

파일:한국수입자동차협회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승용차 부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파일:BMW 로고 그레이.svg
파일:미니 로고.svg
파일:포르쉐 로고.svg
메르세데스-벤츠 BMW 미니 포르쉐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BMW코리아 포르쉐코리아
파일:폭스바겐 로고.svg
파일:아우디 로고.svg
파일:벤틀리 로고.svg 파일:볼보 로고.svg
폭스바겐 아우디 벤틀리 볼보
폭스바겐그룹코리아 볼보자동차코리아
파일:토요타 로고.svg 파일:렉서스 로고.svg 파일:HONDA 로고.svg 파일:폴스타 로고.svg
토요타 렉서스 혼다 폴스타
한국토요타자동차 혼다코리아 폴스타코리아
파일:포드 로고.svg 파일:Lincoln-logo.png 파일:재규어(자동차) 로고.svg 파일:Land_Rover_logo_black.svg.png
포드
링컨
재규어 랜드로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파일:쉐보레 로고(2D).svg
파일:캐딜락 로고.svg 파일:GMC 로고.svg 파일:마세라티 로고.svg
쉐보레
캐딜락
GMC
마세라티
GM 한국사업장 FMK
파일:지프 로고.svg 파일:푸조 로고.svg 파일:DS 오토모빌 로고.svg -
지프 푸조 DS 오토모빌 -
스텔란티스 코리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상용차 부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볼보 로고.svg 파일:스카니아 로고.svg 파일:MAN 로고.svg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볼보트럭 스카니아 메르세데스-벤츠
볼보트럭코리아 스카니아코리아그룹 만트럭버스코리아 다임러 트럭 코리아
}}}}}}}}} ||


[1] 첫 번째는 테슬라.[2] 1982년생으로 수입완성차 업계 최연소 CEO 타이틀을 가지게 됐다. 기존엔 1979년생인 서영득 캐딜락코리아 대표였다.[3] 캐나다 앨버트대 재무경영관리전공, 연세대 경영학 석사로 업계에 들어오기 전에는 US 항공 한국지사, 화이자 한국지사에서 근무했으며 벤츠, 아우디를 거쳐 2017년부터 볼보코리아에서 근무하고 있었다.[4] 서울(한남), 하남(스타필드) 부산(센텀시티), 제주, 대전, 대구, 광주[5] 전국 31곳[6] 국산차 포함 9위.[7] 국가코드는 Y.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