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1. 개요2. 역대 기록3. 1938 프랑스 월드컵4. 1974 서독 월드컵
4.1. 16강 조별리그 아르헨티나전 - 3 : 2 승4.2. 16강 조별리그 아이티전 - 7 : 0 승4.3. 16강 조별리그 이탈리아전 - 2 : 1 승4.4. 8강 조별리그 스웨덴전 - 1 : 0 승4.5. 8강 조별리그 유고슬라비아전 - 2 : 1 승4.6. 8강 조별리그 서독전 - 0 : 1 패4.7. 3위 결정전 브라질전 - 1 : 0 승
5.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5.1. 16강 조별리그 서독전 - 0 : 0 무5.2. 16강 조별리그 튀니지전 - 1 : 0 승5.3. 16강 조별리그 멕시코전 - 3 : 1 승5.4. 8강 조별리그 아르헨티나전 - 0 : 2 패5.5. 8강 조별리그 페루전 - 1 : 0 승5.6. 8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1 : 3 패
6. 1982 스페인 월드컵6.1. 24강 조별리그 이탈리아전 - 0 : 0 무6.2. 24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 0 : 0 무6.3. 24강 조별리그 페루전 - 5 : 1 승6.4. 12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3 : 0 승6.5. 12강 조별리그 소련전 - 0 : 0 무6.6. 4강전 이탈리아전 - 0 : 2 패6.7. 3위 결정전 프랑스전 - 3 : 2 승
7. 1986 멕시코 월드컵7.1. 24강 조별리그 모로코전 - 0 : 0 무7.2. 24강 조별리그 포르투갈전 - 1 : 0 승7.3. 24강 조별리그 잉글랜드전 - 0 : 3 패7.4. 16강전 브라질전 - 0 : 4 패
8. 2002 한일 월드컵9. 2006 독일 월드컵10. 2018 러시아 월드컵11. 2022 카타르 월드컵1. 개요
폴란드의 역대 월드컵 성적의 대한 내용들이다.2. 역대 기록
폴란드는 역대 월드컵 랭킹 16위를 기록하고 있다.FIFA 월드컵 역대전적 서열: 16위
③③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30 우루과이 | 불참 | ||||||||
1934 이탈리아 | 기권 | ||||||||
1938 프랑스 | 15강[1][2] | 11위 | 0 | 1 | 0 | 0 | 1 | 5 | 6 |
1950 브라질 | 불참 | ||||||||
1954 스위스 | 기권 | ||||||||
1958 스웨덴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1970 멕시코 | |||||||||
1974 서독 | 3위[4] | 18 | 7 | 6 | 0 | 1 | 16 | 5 | |
1978 아르헨티나 | 8강 | 5위 | 10 | 6 | 3 | 1 | 2 | 6 | 6 |
1982 스페인 | 3위[5] | 12 | 7 | 3 | 3 | 1 | 11 | 5 | |
1986 멕시코 | 16강 | 14위 | 4 | 4 | 1 | 1 | 2 | 1 | 7 |
1990 이탈리아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4 미국 | |||||||||
1998 프랑스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2 한일 | 조별리그[8] | 25위 | 3 | 3 | 1 | 0 | 2 | 3 | 7 |
2006 독일 | 조별리그[9] | 21위 | 3 | 3 | 1 | 0 | 2 | 2 | 4 |
2010 남아공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조별리그[11] | 25위 | 3 | 3 | 1 | 0 | 2 | 2 | 5 |
2022 카타르 | 16강 | 15위[12] | 4 | 4 | 1 | 1 | 2 | 3 | 5 |
2026 북미 | ? | ? | ? | ? | ? | ? | ? | ? | ? |
합계 | 9회 진출 (9/22[13]) | 3위 (2회) | 57 | 38 | 17 | 6 | 15 | 49 | 50 |
3. 1938 프랑스 월드컵
3.1. 15강전 브라질전 - 5 : 6 패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16강 제7경기 1938년 6월 5일 17:30(UTC+1) | ||
스타드 드 라 메노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 ||
주심: 이반 에클라인드 (스웨덴) | ||
| 5 : 6 (연장전) | |
폴란드 | 브라질 | |
23' 프리데리크 셰르프케(PK) 53', 59', 89', 118' 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 | 득점자 | 18', 93', 104' 레오니다스 25' 호메우 44', 71' 페라시우 |
관중: 13,452명 |
4. 1974 서독 월드컵
4.1. 16강 조별리그 아르헨티나전 - 3 : 2 승
1974 FIFA 월드컵 서독 4조 제2경기 1974년 6월 15일 18:00(UTC+1) | ||
네카어 슈타디온 (서독, 슈투트가르트) | ||
주심: 클레이브 토마스 (웨일스) | ||
| 3 : 2 | |
폴란드 | 아르헨티나 | |
7', 62' 그제고시 라토 8′ 안제이 샤르마흐 | 득점자 | 60′ 라몬 에레디아 66′ 카를로스 바빙톤 |
관중: 31,500명 |
4.2. 16강 조별리그 아이티전 - 7 : 0 승
1974 FIFA 월드컵 서독 4조 제4경기 1974년 6월 19일 19:30(UTC+1) | ||
뮌헨 올림픽 경기장 (서독, 뮌헨) | ||
주심: 고빈다사마이 서피아 (싱가포르) | ||
| 7 : 0 | |
폴란드 | 아이티 | |
17', 87' 그제고시 라토 18′ 카지미어즈 데이나 30', 34', 50′ 안제이 샤르마흐 31′ 예지 고르곤 | 득점자 | - |
관중: 23,400명 |
4.3. 16강 조별리그 이탈리아전 - 2 : 1 승
1974 FIFA 월드컵 서독 4조 제6경기 1974년 6월 23일 16:00(UTC+1) | ||
네카어 슈타디온 (서독, 슈투트가르트) | ||
주심: 한스 요아힘 베이란드 (서독) | ||
| 2 : 1 | |
폴란드 | 이탈리아 | |
38′ 안제이 샤르마흐 44′ 카지미어즈 데이나 | 득점자 | 85′ 파비오 카펠로 |
관중: 70,100명 |
4.4. 8강 조별리그 스웨덴전 - 1 : 0 승
1974 FIFA 월드컵 서독 2라운드 B조 제2경기 1974년 6월 26일 19:30(UTC+1) | ||
네카어슈타디온 (서독, 슈투트가르트) | ||
주심: 라몬 바레토 (우루과이) | ||
| 1 : 0 | |
폴란드 | 스웨덴 | |
43' 그제고시 라토 | 득점자 | - |
관중: 43,755명 |
4.5. 8강 조별리그 유고슬라비아전 - 2 : 1 승
1974 FIFA 월드컵 서독 2라운드 B조 제3경기 1974년 6월 30일 16:00(UTC+1) | ||
발트슈타디온 (서독, 프랑크푸르트) | ||
주심: 루디 글로크너 (동독) | ||
| 2 : 1 | |
폴란드 | 유고슬라비아 | |
24' 카지미에시 데이나(PK) 62' 그제고시 라토 | 득점자 | 43' 스타니슬라프 카라시 |
관중: 22,651명 |
4.6. 8강 조별리그 서독전 - 0 : 1 패
1974 FIFA 월드컵 서독 2라운드 B조 제5경기 1974년 7월 3일 16:30(UTC+1) | ||
발트슈타디온 (서독, 프랑크푸르트) | ||
주심: 에리히 리네마이어 (오스트리아) | ||
| 0 : 1 | |
폴란드 | 서독 | |
- | 득점자 | 76′ 게르트 뮐러 |
관중: 62,000명 |
4.7. 3위 결정전 브라질전 - 1 : 0 승
1974 FIFA 월드컵 서독 3·4위전 1974년 7월 6일 16:00(UTC+1) | ||
올림피아 슈타디온 (서독, 뮌헨) | ||
주심: 아우렐리오 안고네세 (이탈리아) | ||
| 1 : 0 | |
폴란드 | 브라질 | |
76′ 그제고시 라토 | 득점자 | - |
관중: 77,100명 |
5.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
5.1. 16강 조별리그 서독전 - 0 : 0 무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2조 제1경기(개막전) 1978년 6월 1일 15:00(UTC-3) | ||
에스타디오 엘 모누멘탈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
주심: 앙헬 노베르토 코에레자 (아르헨티나) | ||
| 0 : 0 | |
폴란드 | 서독 | |
- | 득점자 | - |
관중: 67,759명 |
5.2. 16강 조별리그 튀니지전 - 1 : 0 승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2조 제4경기 1978년 6월 6일 16:45(UTC-3) | ||
에스타디오 히간테 데 아로이토 (아르헨티나, 로사리오) | ||
주심: 앙헬 프랑코 마르티네스 (스페인) | ||
| 1 : 0 | |
폴란드 | 튀니지 | |
43′ 그제고시 라토 | 득점자 | - |
관중: 9,624명 |
5.3. 16강 조별리그 멕시코전 - 3 : 1 승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2조 제6경기 1978년 6월 10일 16:45(UTC-3) | ||
에스타디오 히간테 데 아로이토 (아르헨티나, 로사리오) | ||
주심: 자파르 남다르 (이란) | ||
| 3 : 1 | |
폴란드 | 멕시코 | |
43′, 84'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 56' 카지미에시 데이나 | 득점자 | 52' 빅토르 랑겔 |
관중: 22,651명 |
5.4. 8강 조별리그 아르헨티나전 - 0 : 2 패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2라운드 B조 제2경기 1978년 6월 14일 19:15(UTC-3) | ||
에스타디오 히간테 데 아로이토 (아르헨티나, 로사리오) | ||
주심: 울프 에릭손 (스웨덴) | ||
| 0 : 2 | |
폴란드 | 아르헨티나 | |
- | 득점자 | 16', 71' 마리오 켐페스 |
관중: 37,091명 |
5.5. 8강 조별리그 페루전 - 1 : 0 승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2라운드 B조 제3경기 1978년 6월 18일 13:45(UTC-3) | ||
멘도사 경기장 (아르헨티나, 멘도사) | ||
주심: 팻 파트리지 (잉글랜드) | ||
| 1 : 0 | |
폴란드 | 페루 | |
65′ 안제이 샤르마흐 | 득점자 | - |
관중: 39,586명 |
5.6. 8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1 : 3 패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2라운드 B조 제5경기 1978년 6월 21일 19:15(UTC-3) | ||
에스타디오 말비나스 아르헨티스 (아르헨티나, 멘도사) | ||
주심: 후안 실바뇨 카바나스 (칠레) | ||
| 1 : 3 | |
폴란드 | 브라질 | |
45′ 그제고시 라토 | 득점자 | 13′ 넬리뉴 58′, 63' 호베르투 디나미치 |
관중: 39,586명 |
6. 1982 스페인 월드컵
6.1. 24강 조별리그 이탈리아전 - 0 : 0 무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1조 1경기 1982년 6월 14일 17:15(UTC+1) | ||
에스타디오 데 발라이도스 (스페인, 비고) | ||
주심: 미셸 보트로 (프랑스) | ||
| 0 : 0 | |
폴란드 | 이탈리아 | |
- | 득점자 | - |
관중: 33,040명 |
6.2. 24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 0 : 0 무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1조 4경기 1982년 6월 19일 17:15(UTC+1) | ||
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스페인, 라코루냐) | ||
주심: 알렉시 포네 (벨기에) | ||
| 0 : 0 | |
폴란드 | 카메룬 | |
- | 득점자 | - |
관중: 19,000명 |
6.3. 24강 조별리그 페루전 - 5 : 1 승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1조 5-1경기 1982년 6월 22일 17:15(UTC+1) | ||
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스페인, 라코루냐) | ||
주심: 람베르토 루비오 바스케스 (멕시코) | ||
| 5 : 1 | |
폴란드 | 페루 | |
55′ 브워지미에시 스몰라레크 58′ 그제고시 라토 61′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 68′ 안체이 분촐 76′ 브워지미에시 치오웨크 | 득점자 | 83' 기예르모 라 로사 |
관중: 25,000명 |
6.4. 12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3 : 0 승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2라운드 A조 1경기 1982년 6월 28일 21:15(UTC+1) | ||
캄 노우 (스페인, 바르셀로나) | ||
주심: 루이스 파울리노 실레스 (코스타리카) | ||
| 3 : 0 | |
폴란드 | 벨기에 | |
4', 26′, 53'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 | 득점자 | - |
관중: 65,000명 |
6.5. 12강 조별리그 소련전 - 0 : 0 무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2라운드 A조 3경기 1982년 7월 4일 21:15(UTC+1) | ||
캄 노우 (스페인, 바르셀로나) | ||
주심: 밥 밸런타인 (스코틀랜드) | ||
| 0 : 0 | |
폴란드 | 소련 | |
- | 득점자 | - |
관중: 65,000명 |
6.6. 4강전 이탈리아전 - 0 : 2 패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4강 1경기 1982년 7월 8일 17:15(UTC+1) | ||
캄프 누 (스페인, 바르셀로나) | ||
주심: 후안 다니엘 카르델리노 (우루과이) | ||
| 0 : 2 | |
폴란드 | 이탈리아 | |
- | 득점자 | 22', 73′ 파올로 로시 |
관중: 50,000명 |
6.7. 3위 결정전 프랑스전 - 3 : 2 승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3·4위전 1982년 7월 10일 20:(UTC+1) | ||
에스타디오 호세 리코 페레스 (스페인, 알리칸테) | ||
주심: 안토니우 가히두 (포르투갈) | ||
| 3 : 2 | |
폴란드 | 프랑스 | |
40′ 안체이 샤르마흐 44' 스테판 마예프스키 46' 야누시 쿠프체비치 | 득점자 | 13' 르네 지라르 72' 알랭 쿠리올 |
관중: 28,000명 |
7. 1986 멕시코 월드컵
7.1. 24강 조별리그 모로코전 - 0 : 0 무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F조 제1경기 1986년 6월 2일 16:00(UTC-6) | ||
우니베르시타리오 경기장 (멕시코, 산니콜라스데로스가르사) | ||
주심:호세 루이스 마르티네스 바산 호세 루이스 마르티네스 바산 (우루과이) | ||
| 0 : 0 | |
폴란드 | 모로코 | |
득점자 | ||
관중: 19,000명 |
7.2. 24강 조별리그 포르투갈전 - 1 : 0 승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F조 제4경기 1986년 6월 7일 16:00(UTC-6) | ||
우니베르시타리오 경기장 (멕시코, 산니콜라스데로스가르사) | ||
주심:알리 빈 나세르 알리 빈 나세르 (튀니지) | ||
| 1 : 0 | |
폴란드 | 포르투갈 | |
68′ 브워지미에시 스몰라레크 | 득점자 | |
관중: 20,000명 |
7.3. 24강 조별리그 잉글랜드전 - 0 : 3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F조 제5-1경기 1986년 6월 11일 16:00(UTC-6) | ||
우니베르시타리오 경기장 (멕시코, 산니콜라스데로스가르사) | ||
주심:앙드레 다이나 앙드레 다이나 (스위스) | ||
| 0 : 3 | |
폴란드 | 잉글랜드 | |
득점자 | 9', 14', 34′ 게리 리네커 | |
관중: 23,000명 |
7.4. 16강전 브라질전 - 0 : 4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16강 제3경기 1986년 6월 16일 12:00(UTC-6) | ||
에스타디오 할리스코 (멕시코, 과달라하라) | ||
주심: 폴커 로스 (서독) | ||
| 0 : 4 | |
폴란드 | 브라질 | |
- | 득점자 | 30' 소크라치스 (PK) 55' 조시마르 79' 에지뉴 83' 카레카 (PK) |
관중: 45,000명 |
8. 2002 한일 월드컵
8.1. 32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0 : 2 패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D조 1경기 2002년 6월 4일 화요일 20:30 (UTC+9) |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 ||
주심: | ||
관중: 48,760명 | ||
| 2 : 0 | |
| | |
26' 황선홍 (A. 이을용) 53' 유상철 | | - |
경기 다시 보기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경기 최우수 선수: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폴란드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폴란드전#|]][[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폴란드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2. 32강 조별리그 포르투갈전 - 0 : 4 패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D조 4경기 2002.06.10.(월) 20:30 (UTC+9) | ||
전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 ||
주심: | ||
| 0 : 4 | |
폴란드 | 포르투갈 | |
- | 득점 | 14′, 65', 77' 파울레타 88′ 후이 코스타 |
관중: 31,000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
8.3. 32강 조별리그 미국전 - 3 : 1 승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D조 5-2경기 2002.06.14.(금) 20:30 (UTC+9) | ||
대전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 ||
주심: | ||
| 3 : 1 | |
폴란드 | 미국 | |
3′ 엠마누엘 올리사데베 5′ 파베우 크리샤워비츠 66′ 마르친 제프와코프 | 득점 | 83′ 랜던 도노번 |
관중: 26,482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
9. 2006 독일 월드컵
9.1. 32강 조별리그 에콰도르전 - 0 : 2 패
2006 FIFA 월드컵 독일 A조 제2경기 2006년 6월 9일 21:00(UTC+1) | ||
아레나 아우프샬케 (독일, 겔젠키르헨) | ||
주심: 가미카와 도루 (일본) | ||
| 0 : 2 | |
폴란드 | 에콰도르 | |
- | 득점자 | 24' 카를로스 테노리오 80' 아구스틴 델가도 |
관중: 52,000명 | ||
Man of the Match: [[아구스틴 델가도|{{{#000000 아구스틴 델가도}}}]] (에콰도르) |
9.2. 32강 조별리그 독일전 - 0 : 1 패
2006 FIFA 월드컵 독일 A조 제3경기 2006년 6월 14일 21:00(UTC+1) | ||
베스트팔렌 슈타디온 (독일, 도르트문트) | ||
주심: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 (스페인) | ||
| 0 : 1 | |
폴란드 | 독일 | |
- | 득점자 | 90+1′ 올리버 뇌빌 |
75′ 라도스와프 소볼레프스키 | 퇴장자 | - |
관중: 65,000명 | ||
Man of the Match: [[필립 람|{{{#000000 필립 람}}}]] (독일) |
9.3. 32강 조별리그 코스타리카전 - 2 : 1 승
2006 FIFA 월드컵 독일 A조 제5-2경기 2006년 6월 20일 16:00(UTC+1) | ||
니더작센 슈타디온 (독일, 하노버) | ||
주심: 샴술 마이딘 (싱가포르) | ||
| 2 : 1 | |
폴란드 | 코스타리카 | |
33′, 66' 바르토시 보사츠키 | 득점자 | 25′ 로날드 고메스(FK) |
관중: 43,000명 | ||
Man of the Match: [[바르토시 보사츠키|{{{#000000 바르토시 보사츠키}}}]] (폴란드) |
10. 2018 러시아 월드컵
10.1. 32강 조별리그 세네갈전 - 1 : 2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H조 2경기 2018.06.20.(수) 00:00(UTC+3 | ||
스파르타크 스타디움 (러시아, 모스크바) | ||
주심: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 ||
| 1 : 2 | |
폴란드 | 세네갈 | |
85' 그제고시 크리호비아크 | 득점자 | 37' 티아고 시오넥 (O.G) 60' 음바예 니앙 |
관중 : 44,190명 | ||
Man of the Match: 음바예 니앙 (세네갈) |
10.2. 32강 조별리그 콜롬비아전 - 0 : 3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H조 4경기 2018.06.25.(월) 03:00(UTC+3) | ||
카잔 아레나 (러시아, 카잔) | ||
주심: 세자르 라모스 (멕시코) | ||
| 0 : 3 | |
폴란드 | 콜롬비아 | |
- | 득점자 | 39' 예리 미나 69' 라다멜 팔카오 74' 후안 콰드라도 |
관중 : 42,873명 | ||
Man of the Match: 하메스 로드리게스 (콜롬비아) |
10.3. 32강 조별리그 일본전 - 1 : 0 승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H조 5-1경기 2018.06.28.(목) 23:00 | ||
볼고그라드 아레나 (러시아, 볼고그라드) | ||
주심: 재니 시카즈웨 (잠비아) | ||
| 1 : 0 | |
폴란드 | 일본 | |
59' 얀 베드나렉 | 득점자 | - |
관중 : 42,189명 | ||
Man of the Match: 얀 베드나렉 (폴란드)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고그라드의 수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고그라드의 수치#|]][[볼고그라드의 수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2022 카타르 월드컵
11.1. 32강 조별리그 멕시코전 - 0 : 0 무
974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 ||
주심: 크리스 베스 (호주) | ||
| 0 : 0 | |
폴란드 | 멕시코 | |
- | 득점자 | - |
Player of the Match: 기예르모 오초아(멕시코) | ||
관중: 39,369명 |
11.2. 32강 조별리그 사우디아라비아전 - 2 : 0 승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카타르, 아라얀) | ||
주심: 위우통 삼파이우 (브라질) | ||
| 2 : 0 | |
폴란드 | 사우디아라비아 | |
39' 피오트르 지엘린스키 82'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득점자 | - |
Player of the Match: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폴란드) | ||
관중: 44,259명 |
11.3. 32강 조별리그 아르헨티나전 - 0 : 2 패
974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 ||
주심: 대니 마켈리 (네덜란드) | ||
| 0 : 2 | |
폴란드 | 아르헨티나 | |
- | 득점자 | 46' 알렉시스 맥 앨리스터 67' 훌리안 알바레스 |
Player of the Match: 알렉시스 맥 앨리스터 (아르헨티나) | ||
관중: 44,089명 |
11.4. 16강전 프랑스전 - 1 : 3 패
알투마마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 ||
주심: 헤수스 발렌수엘라 (베네수엘라) | ||
| 1 : 3 | |
폴란드 | 프랑스 | |
<rowcolor=#373a3c,#dddddd> 90+9'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페널티킥|{{{#00f (PK)}}}]] | 득점자 | 44' 올리비에 지루 74', 90+1' 킬리안 음바페 |
관중: 40,989명 | ||
Player of the Match: 킬리안 음바페 (프랑스) |
[1] 이 당시는 전 경기 15강 토너먼트였다.(오스트리아가 독일에 합병되어 15개국 본선으로 바뀜)[2] 상대가 브라질이었는데 4:4로 무재배 한 후 연장전까지 가서 5:6으로 석패했다. 오랫동안 회자되는 명경기 중 하나이며, 5골을 넣고도 져서 대회 11위로 8강 실패했던 역대 월드컵 최다득점 패배 타이기록이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 당시 4강전 없이 8강 조별리그 방식으로 8강 B조에서 조 1위 결승 진출에 실패하여 8강 B조 2위 3,4위전에서 브라질을 이기며 3위로 마쳤으며, 1972 뮌헨올림픽 금메달 멤버가 주축.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유고슬라비아, 스웨덴, 브라질을 모두 이겼으며 라토 선수는 득점왕을 차지[5]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3위[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8] 32강 조별리그[9] 32강 조별리그[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1] 32강 조별리그[12] 1978월드컵 이후 라이벌 독일을 월드컵 최종순위에서 제쳤다.(독일 최종순위 17위)[13]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