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00:04:48

포트하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아비아주
우무아히아
델타주
아사바
카노주
[[카노(도시)|
카노
]]
온도주
아쿠레
아다마와주
욜라
에보니주
아바칼리키
카치나주
카치나
오순주
오쇼그보
아콰이봄주
우요
에도주
[[베닌시티|
베닌시티
]]
케비주
비르닌케비
오요주
[[이바단|
이바단
]]
아남브라주
아우카
에키티주
아도에키티
코기주
로코자
플래토주
조스
바우치주
바우치
에누구주
[[에누구|
에누구
]]
콰라주
일로린
리버스주
[[포트하커트|
포트하커트
]]
바이엘사
예나고아
곰베주
곰베
라고스주
이케자
소코토주
소코토
베누에주
마쿠르디
이모주
오웨리
나사라와주
라피아
타라바주
잘링고
보르노주
마이두구리
지가와주
두체
나이저주
민나
요베주
다마투르
크로스리버주
칼라바르
카두나주
카두나
오군주
아베오쿠타
잠파라주
구사우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리버스 주의 도시
포트하커트
Port Harcourt
width=100% 파일:Port_Harcourt_City_Coat_of_Arms.jpg
<rowcolor=#ffffff> 시기 문장
<colbgcolor=#008751> 국가 <colbgcolor=#fff,#19191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이지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버스주
면적 369㎢
인구 1,005,904명
도시권 인구 1,865,000명
시간대 UTC+1

1. 개요2. 역사3. 기후4. 경제5. 문화6. 교통

1. 개요

나이지리아의 동부 끝자락에 위치한 도시로 석유가 풍부한 나이저강 삼각주에 위치해 있다. 라고스, 카노, 이바단, 베닌시티에 이어서 나이지리아에서 5번째로 큰 도시이다.

2. 역사

포트하커트는 1912년 영국령 나이지리아의 총독이었던 프레드릭 루가드에 의해 설립되었다. 당시 영국은 북쪽 엔구지역에서 산출되는 석탄을 수출할 필요가 있었고, 이를 영국까지 운송하기 위해 새로운 항구가 필요했다. 도시 이름은 영국 정치가이자 해운부 장관이던 루이스 하커트 경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포트하커트는 곧 나이지리아 남부의 대표적인 무역항으로 성장했다. 주로 석탄, 팜 오일, 카카오, 땅콩 등이 이곳을 통해 수출되었다. 1960년 나이지리아 독립 이후, 포트하커트는 석유 산업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왜냐하면 1950년대 말에 나이저강 삼각주 지역에서 원유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1970년대 석유 붐과 함께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외국 석유 기업이 지사를 세우며 다국적 도시로 성장했다. 하지만 석유의 발견은 포트하커트에 빈부격차 심화와 환경 파괴를 낳았다. 그래서 몇몇 무장단체가 석유 시설을 공격하거나 납치를 일삼으며 불안정한 치안 문제가 커졌다.

3. 기후

포트하커트는 긴 우기와 매우 짧은 건기가 있는 열대 몬순 기후이다. 포트하커트의 연평균 기온은 26.55°C로 나이지리아 평균보다 2.91% 낮다.

4. 경제

포트하커트는 석유와 정유 산업이 발달해있다. 그래서 포트하커트가 속한 리버스 주는 국내총생산과 석유 산업에서 얻은 외환 수입 측면에서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부유한 주 중 하나이다.

5. 문화

주민들 대부분이 개신교 신자들이며 일부 소수의 카톨릭, 이슬람교 신자들이 있다.

6. 교통

포트하커트 국제공항이 있으며 2025년 10월 현재 카타르 항공이 주 3회 도하에서, 루프트한자가 주 5회 프랑크푸르트에서 해당 공항으로 아부자에 중간 기착 후 운항중이다. 그 외 일부 근거리 아프리카 국가행 국제선이 운항중이며 국내선은 나이지리아 최대도시 라고스와 수도인 아부자 2개 노선만 운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