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23:03:38

극장판 포켓몬스터 AG: 포켓몬 레인저와 바다의 왕자 마나피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4em; word-break: keep-all"
오리지널 <colbgcolor=#fff,#1c1d1f> 뮤츠의 역습 <colbgcolor=#fff,#1c1d1f> 루기아의 탄생
결정탑의 제왕 앤테이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
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
뮤츠의 역습 EVOLUTION(리메이크)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총집편/한국 한정)
AG 아름다운 소원의 별 지라치 열공의 방문자 테오키스
뮤와 파동의 용사 루카리오 포켓몬 레인저와 바다의 왕자 마나피
DP 디아루가 VS 펄기아 VS 다크라이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환영의 패왕 조로아크
BW 비크티니와 영웅 시리즈 큐레무 VS 성검사 케르디오
신의 속도 게노세크트 뮤츠의 각성
<colbgcolor=#00c6ed> XY·Z 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 후파: 광륜의 초마신
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
리부트 너로 정했다! 모두의 이야기
정글의 아이, 코코
← 본편 · 메인 포켓몬 · 보스
}}}}}}}}} ||

포켓몬 레인저와 바다의 왕자 마나피 (2006)
Pokémon Ranger and the Temple of the Sea
ポケモンレンジャーと蒼海の王子 マナフィ
파일:external/43231dc0be75236f9671599032cc8229e04cf406d35868fafe6a923c5ebd2ccb.jpg
2006년 한국 포스터 ▼
파일:attachment/movie_imageCA03CUNM.jpg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판타지
감독 유야마 쿠니히코
각본 소노다 히데키
총작화감독 모리 카즈아키
사토 카즈미(佐藤和巳)
음악 미야자키 신지
제작사 OLM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씨앤에이홀딩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켓몬코리아 (재더빙판)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쇼박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수C&E (재더빙판)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7월 1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7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7월 22일 (재더빙판)
상영 시간 105분
월드 박스오피스 $26,851,324
일본 박스오피스 34억엔
대한민국 총 관객수 173,973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
3.1. 레귤러 등장인물3.2. 극장판 등장인물3.3. 주요 포켓몬
4. 음악
4.1. 주제가4.2. OST
5. 평가6. 대한민국 개봉7. 기타

1. 개요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ED%8F%AC%EC%BC%93%EB%AA%AC_%EB%A0%88%EC%9D%B8%EC%A0%80%EC%99%80_%EB%B0%94%EB%8B%A4%EC%9D%98_%EC%99%95%EC%9E%90_%EB%A7%88%EB%82%98%ED%94%BC.png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의 9번째 작품이자 포켓몬스터 AG 시리즈 마지막 극장판이다. 주역 포켓몬은 마나피. 작중 시간대는 에이팜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AG 최후반부인 182화 이후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 중 러닝타임이 1시간 46분으로 가장 길다. 단, 엔딩곡은 1절만 나오기 때문에 가장 짧다.

2. 줄거리

다음 마을로 향하려다가 길을 잃은 지우 일행은 공연단 일을 하는 소녀 이자벨과 그녀의 가족에게 도움을 받는다. 사실 이들은 물의 일족이라 불리는 사람들로 포켓몬 레인저 잭을 도와서 마나피의 알을 보호하고 있었는데, 이 알을 팬텀이라는 해적이 노리고 있었다. 도중에 알에서 마나피가 태어나 봄이를 엄마처럼 따르게 되면서 지우 일행은 이들과 함께 다니며 마나피를 바다의 신전까지 데려다주는 게 주요 스토리다.

3. 등장인물

성우는 일본판/대원방송판/포켓몬코리아 재더빙판 순으로 기술.

3.1. 레귤러 등장인물

3.2. 극장판 등장인물

  • 주디
    파일:극장판 9기 주디.png
    성우는 베키/오수경/김율[1]
    포켓몬 레인저 잭 워커를 보조하고 있는 여성. 잭이 마나피 알을 가지고 도주할 때와 통화로 상황을 보고할 때 본부에서 연락하는 것으로 등장한다. 서로 말장난을 놓을 정도로 친하다.
  • 히로미(이자벨)[2]
    파일:극장판 9기 이자벨.png
    성우는 마나베 카오리[3]/배정미/김영은[4]
    물의 일족인 소녀로 잠수함을 조종하는 등 주요 조력자 역할을 맡고 있다.
  • 카엘
    파일:극장판 9기 카엘.png
    성우는 사사키 세이지[5]/김환진/박성태[6]
    이자벨의 아버지. 차 안에서 봄이가 마나피의 알이 들어 있는 통을 발견하자 급히 커튼으로 가리기도 하였다. 이는 마나피의 알이 매우 중요하기에 밖으로 알려져서는 안 되기 때문.
  • 브이젤
    파일:극장판 9기 브이젤.png
    물의 일족이 데리고 있는 포켓몬으로 정인이랑 금세 친해진다.
  • 자부, 가부, 다부
    파일:극장판 9기 자부, 가부, 다부.png
    성우는 로바토[7]/오인성(다부), 엄상현(가부), 박성태(자부)
    시프의 옛 동료로 한때 함께 세계일주를 하였다. 중반에 물의 일족 가족이 지우 일행과 헤어지면서 마나피를 바다의 신전으로 데려가려고 준비할 때 함께 가려 하였지만 시프가 옛 동료들을 위험에 빠트리게 하고 싶지 않아서인지 마음만 받겠다 하고 데려가지 않았고, 그들이 탄 배를 향해 경례를 한다. 그리고 지우 일행이 물의 일족 가족을 따라가도록 격려해주었다. 엔딩에서는 다함께 망가진 차를 고친다.
  • 휘웅
    파일:극장판 9기 휘웅.png
    나레이션 파트에서 세미와 포켓몬 시합을 하는 모습으로 카메오 등장한다.
  • 세미
    파일:극장판 9기 세미.png
    7번째 극장판인 열공의 방문자 테오키스에 등장한 여성으로, 내레이션 파트에서 휘웅과 포켓몬 시합을 하는 모습으로 카메오 등장한다.

3.3. 주요 포켓몬

  • 마나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나피(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나피(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나피(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마나피(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페라페
    파일:극장판 9기 페라페.png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해적의 이미지처럼 팬텀 옆에 붙어다니면서 끝말을 따라한다. 하지만 이후 바다의 신전이 가라앉기 시작하고 팬텀도 사라지자 잭의 따라오겠냐는 권유에 곧바로 잭을 따라간다. 엔딩에서 잭이 여경과 같이 상황 보고를 할 때 같이 있었기에 정황상 잭 또는 여경의 파트너가 된 걸로 보인다.
  • 타만타
    브이젤, 페라페와 마나피처럼 4세대 포켓몬의 선행 등장이다. 단순히 엑스트라 포켓몬으로만 나왔다.

4. 음악

4.1. 주제가

OST
守るべきもの
지켜야 할 존재
<colbgcolor=#ff3636,#ff3636><colcolor=#FFFFFF,#FFFFFF> 노래 Sowelu
작사 Yoshihiko Nishio
작곡
편곡 L.O.E

4.2. OST

이 극장판의 노래는 DP 부터 쓰였으며, As Long As I can Hold My Breath라는 브금은 최후의 대결에서,[8] 바다의 왕관이라는 브금이 위기상황에서 줄타기할때 쓰인 브금으로 자주 쓰였다.

5. 평가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없음
관객 점수 70%
파일:IMDb 로고.svg
유저 평점 6.1 / 10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사용자 평균 별점 2.7 / 5.0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네티즌 평균 별점 5.868 / 10.0
파일:movies_r_34_2x.png
네티즌 평균 별점 3.82 / 5.0
파일:엠타임 로고.svg
사용자 평균 별점 7.2 / 10.0
파일:더우반 로고.svg
네티즌 평균 별점 7.5 / 10.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사용자 평균 별점 3.2 / 5.0
파일:키노라이츠 로고.svg
키노라이츠 지수 없음
파일:n영화.jpg
기자, 평론가 평점
없음 / 10
관람객 평점
7.85 / 10
네티즌 평점
7.81 / 10
파일:dklddl.jpg
기자, 평론가 평점
없음 / 10
네티즌 평점
9.0 / 10
파일:CGV 로고.svg
파일:KakaoTalk_20170125_141617099.jpg
관객 평가 없음
파일:img_link.png
네티즌 평점 4.0 / 5.0

6. 대한민국 개봉

연출은 김정규. 루기아의 탄생 이후 정말 오랜만에 국내에 상영된 극장판.[9] 일본 개봉일인 2006년 7월 15일로부터 5일 뒤인 7월 20일 개봉하여 일본과 사실상 동시 개봉이라는, 그동안 전례가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일이 일어났다.[10] 당시 포켓몬 극장판이 TV에서 쭉 방영되는 등 열기가 높아진 상황에서 흥행을 고조시키기 위해 결정한 일로 추정된다.[11] 상영 당시 전국 주요 극장에서 관람객들에게 공짜로 스페셜 딱지를 증정했다.

2015년 7월 22일에[12] 9년 만에 재더빙을 거쳐 재개봉되었다. 심지어 로고 타이틀조차 큰 틀은 바뀌지 않고, 약간 효과만 추가로 들어가 있다. 성우진은 지우와 잭을 제외한 나머지가 전부 교체되었는데, 에리카를 맡은 윤여진을 제외하면 모두 본편인 XY에 출연하였다. 또한 레귤러를 제외한 등장인물은 잭 워커의 엄상현과 해적 팬텀의 안장혁을 제외하면 모두 투니버스 성우들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 게다가 마나피의 배포도 확정되어 한국에서 6세대에서 세계 최초의 마나피 배포가 이루어졌다.[13] 그리고 상영관에서 포켓몬 카드 팩도 추가증정하며, 이 팩 안에는 2015년 12월 개봉된 후파 : 광륜의 초마신의 예매권 추첨카드도 들어있다. 운이 좋으면 1타 2피도 가능했다.

2015년 9월 22일 개봉 2달만에 투니버스에서, 2015년 10월 16일 애니맥스에서도 방영을 했다.

7. 기타

  • 전편에 이어 4세대 포켓몬들이 대거 선행 등장했다. 4세대에서도 환상의 포켓몬인 마나피와 더불어 플로젤의 진화 전 형태인 브이젤, 페라페, 만타인의 진화 전 형태인 타만타도 이 작품에서 영상으로 최초 등장했다. 당시 일본에서 일요일 아침에 방영되던 '포켓몬 선데이'에 출연하던 '로바토'라는 3인조 코미디언 그룹이 직접 한국에 와서 한국어로 한국판 영화 더빙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 과정은 '포켓몬 선데이'에서 방영되었다.
  • 마지막에 인간을 바다에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장치의 연출 때문에 개봉 당시 물건너에서는 지우의 슈퍼 마사라인 네타[14]가 흥하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사족으로 엔딩에서 보면 포켓몬 레인저 잭이 썬더를 잠시 포획해 타고 다닌다.
  • 이 작품에서 마나피나 물포켓몬과 함께 생활했다는 물의 일족이 언급되는데, ORAS에 나온 루네민족이나 유성민족의 모티브일 가능성이 있다.


[1] 본편인 XY에서 코르니를 맡았으며, 이후 썬&문에서는 마오도 맡게 된다. 본편에서는 마나피와 중복.[2] 여담으로 DP/Pt에서 동명의 비키니 아가씨가 등장한다.[3] 그라비아 출신 배우이자 방송인. 일본 최대의 블로그를 운영해 블로그의 여왕이라는 별명이 있다.[4] 본편인 XY에서 사나를 맡았다.[5] 극단 스바루 소속 성우 겸 배우. 대표작으로는 블루노, 카게야마 레이지, 시그 커티스 등이 있다.[6] 본편에서 즈미를 맡았다.[7] 일본의 3인조 코미디언 그룹. 어째서 한국판 성우를 맡게 됐는지는 후술.[8] 특히 신오리그편에서 몰려 썼다.[9] 당시는 제4차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이루어지기 전이라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국제(일본 제외) 영화제 수상작만 개봉이 가능했기 때문에 뮤츠의 역습루기아의 탄생만 개봉이 가능했다.[10] 당시 모든 영화의 개봉일이 목요일이라서 거기에 맞추었을 뿐이지 사실상 동시 개봉이라고 봐도 무방하다.[11] 이듬해인 2007년에 한국닌텐도가 출범하면서 닌텐도 DS가 정식으로 발매되었고, 이후 포켓몬코리아가 출범하면서 판권이 그쪽으로 넘어가게 된다.[12] 원래는 23일 재개봉이였으나 같은 날에 개봉하던 극장판 요괴워치가 22일로 개봉이 앞당겨져서 같이 맞춰진 듯하다.[13] 여담으로 마나피는 한국 최초의 배포 포켓몬이라는 타이틀이 있기에 여러모로 인연이 있다.[14] 정말로 초사이어인 마냥 기를 두르고 날아다니는 연출에 색까지 똑같아서 노린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올 정도였다.[15] 한 네이버 영화 댓글에는 "박명수 애니메이션 데뷔작품"이라고 써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