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21:01:08

포커스라이트

1. 개요
1.1. 창립자1.2. 소개1.3. 한국에서 판매와 서비스
2. 제품라인업3. 주력모델
3.1. 포커스라이트
3.1.1. 스칼렛 솔로(4세대)3.1.2. 스칼렛 2i2(4세대)3.1.3. 클라렛 시리즈3.1.4. 클라렛+ Octopre 등 8채널 마이크 프리 앰프 시리즈3.1.5. 스칼렛 vs 클라렛의 차이점
3.2. 포커스라이트 프로
3.2.1. 레드넷 시리즈
3.3. 노베이션 (Novation Music)
3.3.1. 대표 제품 : Launchkey 61 MK43.3.2. 대표 제품 : Launchpad mini MK3
3.4. 아담 오디오
3.4.1. A시리즈 A7V3.4.2. D시리즈 D3V3.4.3. S시리즈 S3V3.4.4. T시리즈 T5V

1. 개요


포커스라이트(Focusrite)는 영국이 자랑하는 오디오 장비 전문 기업으로 영국 버킹엄셔 하이와이컴(High Wycombe)에 본사를 두고 있다. 한번 합병의 과정을 거쳤으나 현재 정식 회사 명칭은 Focusrite PLC, PLC는 Public Limited Company의 약자로 주식이 공개된 상장 회사를 말한다. 런던 주식거래소(LONDON STOCK EXCHANGE, LON:)에 상장되어 있다. 상장 코드명은 TUNE이다. 링크

일본의 YAMAHA, ROLAND, 한국의 삼익악기등과 함께 업계에서 몇 안되는 상장 업체다.

창업자가 음악 산업에 끼친 공고로 그래미어워드를 수상하고, 현재 이사회 의장이 대영제국훈장을 받았으며, 현재 CEO가 MIDI협회 회장을 할 정도로 근본중의 근본 회사이다.

1.1. 창립자

파일:루퍼스.jpg

음악 산업에서 Fender기타의 클라렌스 레오니다스 펜더(Clarence Leonidas Fender, 네오 펜더)와 함께 가장 유명한 오디오 엔지니어인루퍼트 니브(Rupert Neve)가 설립하고, 필 더더리지(Phil Dudderidge)[1]가 이어받은 회사로 유명하다.

네오 펜더가 기타 엔지니어로 유명하다면 루퍼트 니브는 마이크 프리앰프, 이퀄라이저, 믹싱 콘솔 에서 가장 유명한 엔지니어이다.

니브는 1926년생으로 어린 시절 라디오 수리를 시작으로 이후 1961년에 니브 일렉트로닉스(Neve Electronics)라는 자신의 회사를 아내와 함께 설립하였고 1964년에 런던의 필립스 레코딩 스튜디오(Phillips Recording Studio)에 들어갈 믹싱 콘솔과 같은 음악 장비를 만들며 세계적인 오디오 장비 명인으로 거듭났다.

특히 니브 8028 콘솔은 더 후(The Who), 산타나(Santana), 플릿우드 맥(Fleetwood Mac), 어스, 윈드 앤 파이어(Earth, Wind & Fire) 등 유명 음악가와 밴드가 사용했고 너바나(Nirvana)[2]푸 파이터스(Foo Fighters)[3]데이브 그롤(Dave Grohl)은 2013년 다큐멘터리 “Sound City”를 통해 니브와 해당 콘솔에 대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굳이 니브의 콘솔은 사용자를 리스트업하는게 의미가 없는데, 지금도 대부분의 음반들이 니브 콘솔로 녹음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루퍼트 니브가 비틀즈의 프로듀서 조지 마틴이 설립한 세계적인 레코딩 스튜디오 AIR 스튜디오링크에 설치한 포커스라이트 포르테 콘솔이 특히 유명하다. 비틀즈의 세계적인 명반 대부분이 녹음되었고, 수많은 영국 아티스트의 음반이 루퍼트 니브의 콘솔로 녹음되었다.

포르테 콘솔은 ISA라는 여러개의 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현재도 포커스라이트에서는 ISA One, ISA Two, ISA 430 등 포트테 콘솔의 일부분을 상품화하여 출시한다. 그리고 루퍼트 니브가 조지 마틴을 위해서 설계한 AIR 모드가 유명한데, 이 AIR 모드는 포커스라이트의 스칼렛 3세대 이상에 내장되어 있다.

니브는 자신의 회사를 AMS에 매각한 후 1985년에 창립하였으나 1989년에 회사를 떠나게 되어 5년 남짓 근무했을 뿐이지만, 회사에 있을 동안 포르테 콘솔 등 많은 명작 등을 만들어 냈다. 니브가 회사를 떠난 이후에도 또 다른 전설적인 오디오 엔지니어 필 더더리지가 Focusrite Ltd.의 자산을 인수하고 Focusrite Audio Engineering Ltd.를 설립 추후 Focusrite PLC로 통합하고 영국 주식 시장에 상장하게 된다.

필 더더리지도 유명한 인물이지만 루퍼트 니브는 전설 그 자체인데, 1997년에 음악 산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그래미 어워드(Grammy Award)[4]에서 평생 공로상을 받을 정도로 업계에 끼친 영향이 크다.

루퍼트니브는 2021년 12월 타계 했으며, 필 더더리지는 여전히 포커스라이트 이사회 의장이다. 현재 CEO는 팀 캐롤(Tim Carroll)로 그 유명한 MIDI협회 회장도 맡고 있다.기사 또 한명의 전설인 MIDI 규약을 만들었고 시퀀셜의 창업자 데이브 스미스까지 전설의 라인업을 구축하려고 했으나 2021년 루퍼트 니브가, 2022년 정정하던 데이브 스미스가 타계하여 이 라인업은 저승에서나

1.2. 소개

파일:본사이미지.jpg

포커스라이트는 1985년도에 음향 업계 역사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루퍼트 니브가 설립하고,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영국을 대표하는 음향 회사이다.

포커스라이트는 경영 위기를 격기도 했으나 새로운 경영진이 들어서면서,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M&A를 진행해 신디사이저와 미디 컨트롤러로 유명한 노베이션, 모니터 스피커로 유명한 ADAM AUDIO,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등으로 유명한 [[Sequential
]] 등을 인수하며 덩치를 크게 키웠다.

한국에서는 이러한 덩치에 걸맞지 않게 입문용 오디오 인터페이스인 스칼렛, 클라렛 시리즈로 유명하다.

스칼렛 시리즈로 중저가형 오디오 인터페이스 시장을 평정한 회사라서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원래가 아날로그 콘솔, 마이크 프리앰프, 이퀄라이저, 컴프레서 채널스트립 등으로 유명하다. 보통 대형 믹싱 콘솔의 경우는 한번 장착을 하고 나면 10년이고 20년이고 쓰는게 보통이어서,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고자 스칼렛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런칭해서 유명해졌다.

1.3. 한국에서 판매와 서비스

한국에서는 사운드캣(Soundcat)이 공식 수입원으로서 포커스라이트 그룹 산하의 포커스라이트, 포커스라이트 프로, 노베이션 뮤직, 아담 오디오 제품의 유통과 고객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2. 제품라인업

포커스라이트는 다양한 오디오 인터페이스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라인업은 아래와 같다.
  • 스칼렛(Scarlett)시리즈: 홈스튜디오 및 개인 음악 제작자를 위한 보급형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간편한 사용성과 높은 음질로 인기.
  • 클라렛(Clarett+)시리즈: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와 낮은 지연 시간으로 전문적인 녹음 환경에 적합한 제품군.
  • Red 및 RedNet 시리즈: 대형 스튜디오 및 방송 환경을 위한 고급형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Dante 네트워크 오디오 기술을 지원.
  • ISA 시리즈: 클래식한 아날로그 사운드를 재현하는 마이크 프리앰프 제품군으로 창업자 루퍼트 니브의 전통을 계승.
  • 노베이션(Novation): 2004년 인수합병된 브랜드(회사)로 미디 콘트롤러, 신디사이저 그루브박스 등 다양한 전자 음악 제품군 판매.
  • 아담오디오(Adam Audio): 고주파 드라이버 기술인 ART(Accelerated Ribbon Technology) 트위터를 개발, 고해상도의 모니터 스피커 판매

3. 주력모델

3.1. 포커스라이트

3.1.1. 스칼렛 솔로(4세대)

파일:스칼렛솔로.jpg

포커스라이트가 2011년에 출시한 스칼렛 솔로가 빅히트하면서, 계속 시리즈를 버전업 현재 스칼렛 4세대가 나오고 있다. 포커스라이트에서 회사 역사를 통털어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이다.

현재 판매되는 버전은 2024년에 출시된 스칼렛 솔로 4세대. 싱어송라이터, 홈 레코딩 아티스트, 스트리머 등 1인 작업을 위한 컴팩트한 2입력 2출력 USB-C 오디오 인터페이스이다.
2024년 세계 최고의 오디오 녹음 기술잡지인 사운드 온 사운드 어워드[* [ *Sound On는 1985년에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창간된 세계적인 음악 녹음 및 기술 전문 월간지로전문적인 리뷰와 심층적인 기술 분석으로 오디오 엔지니어, 프로듀서, 홈 스튜디오 사용자 등 음악 제작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에서 최고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선정된바 있다.
  • 입력 구성: 전면 1개 1/4" 인스트루먼트 입력(Hi-Z), 후면 1개 XLR 마이크 입력
  • 출력 구성: 후면 2개 밸런스드 1/4" TRS 라인 출력, 전면 1개 1/4" 헤드폰 출력
  • 프리앰프: 최대 57dB 게인의 초저노이즈 프리앰프 탑재
  • Air 모드[5]: Presence와 Harmonic Drive 두 가지 모드로 ISA 콘솔 사운드 에뮬레이션 제공
  • 루프백 기능: 시스템 오디오를 가상 입력으로 라우팅 가능하여 스트리밍 및 콘텐츠 제작에 유용
  • 다이내믹 게인 헤일로: LED 링을 통해 입력 레벨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
  • 헤드폰 앰프: 고임피던스 헤드폰도 충분히 구동할 수 있는 강력한 출력
  • USB-C 연결: Mac,Windows, iPadOS 호환


3.1.2. 스칼렛 2i2(4세대)

파일:스칼렛212.jpg

원래 스칼렛 솔로보다 처음에 나온 제품은 2i2 모델이었다.(이후에 제품이 힛트하자 솔로 모델을 내놓은 것)

3세대 버전까지는 단지 차이점이 마이크 입력 갯수와 헤드폰 별도 조절 유무였으나 4세대로 오면서는 기능의 차이가 많이 발생한다.

- 마이크 프리 앰프의 게인(Gain)이 58dB -> 69dB
- 포커스라이트 시그니처 기능인 AIR 모드 1개 -> 2개 (Presence 모드외에 Hamonic Drive 기능 추가)
- 오토 게인 기능과 클립 세이프 기능 추가

등으로 급을 나누어놓았다.

3.1.3. 클라렛 시리즈

파일:클라렛8.png

포커스라이트에서 스칼렛으로 힛트를 친 후 너무 회사에 저가형 이미지가 덧 씌워지자, 상위급 모델인 클라렛(Clarett)을 런칭하였고 현재는 클라렛+ 2PRE, 클라렛+4PRE, 클라렛+ 8Pre 등 클라렛+(larett+)시리즈가 판매되고 있다.

초기에는 스칼렛과 AD/DA 등의 차별화를 두어 상위 하이앤드 제품으로 차별화를 두었으나, 클라렛 시리즈에 채용된 AD/DA 회사인 일본 AKM사의 화재로 인하여 클라렛+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여기애 채용된 AD/DA(CirrusLogic CS5381, CS43198)를 스칼렛 4세대에도 채용하게 되면서 좀 애매해진 상태이다.

하지만 같은 AD/DA를 사용하고 있지만 아날로그 입출력 레벨, 헤드폰 앰프의 성능, 마이크 프리 앰프의 아날로그적인 특성 등은 당연히 스칼렛보다 클라렛이 위에 있다.
파일:클라렛8PRE.png

3.1.4. 클라렛+ Octopre 등 8채널 마이크 프리 앰프 시리즈


스칼렛 옥토프리, 클라렛 옥토프리 등 ADAT으로 연결되는 다채널 마이크 프리앰프도 생산한다.

스칼렛 옥토프리, 옥토프리 다이내믹, 클라렛 옥토프리 등이 제품을 판매중이다.

3.1.5. 스칼렛 vs 클라렛의 차이점

포커스라이트의 스칼렛과 클라렛의 차이점을 문의하는 경우가 있는데 (스칼렛 4세대 2i2와 클라렛+2pre 를 대상으로 한다) 간단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AD/DA를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으나 회사에서 발표한 수치는 D/A(출력)에서 스칼렛은 116dB 클라렛 124dB이며,프리앰프는 스칼렛 4세대는 예전보다 개선된 Air 모드를 제공하지만 클라넷은 성능 자체가 Scarlett보다 1~2등급 높은 "클린하면서도 헤드룸 높은" 사운드를 구현한다고 한다.

헤드폰 앰프의 경우 스칼렛은 10dBu 클라넷은 16dBu로 더 높은 헤드폰 출력을 가진다.

전반적으로 전원을 많이 소모하기 대문에 전원방식은 클라넷은 버스파워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들고 다닐 수도 있지만 클라켓의 경우는 클라넷은 전원 어탭터를 따로써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스칼렛과 클라넷의 차이는 아래 영상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3.2. 포커스라이트 프로

3.2.1. 레드넷 시리즈

파일:레드넷.png

Focusrite RedNet PCIeNX 등 Dante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출시하고 있다.

호주 Audinate사에서 만든 오디오 전송 프로토콜인 Dante(정식 명칭은 Dante Audio Network Technology)는 이더넷 케이블(LAN케이블)로 최대 128채널의 오디오를 전송하고 받을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포커스라이트는 Dante 진영에서 핵심적인 회사로 Red 시리즈를 Dante에 특화시켜 출시하고 있다. Red 8Line, Red 16 Line과 RedNet 시리즈 등을 출시중이며 멀티 채널 오디오 전송이 필요한 대형 스포츠 행사나 공연장 등에 사용되고 있다.

3.3. 노베이션 (Novation Music)


1992년 이언 재너웨이(Ian Jannaway)와 마크 톰슨(Mark Thompson) 이 노베이션 일렉트로닉 뮤직 시스템즈(Novation Electronic Music Systems) 라는 이름으로 설립한 영국의 악기 제조 업체로 2004년에 Focusrite PLC에 인수되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Bass Station, Supernova, Mininova, Ultranova, Peak 등의 아날로그 계열 신디사이저와 SL, Launchpad, Launchkey, FLKey 등의 미디 컨트롤러이다.

1993년 - 베이스스테이션 출시
1993년 - 슈퍼노바 출시
2004년 - X스테이션 출시
2005년 - SL컨트롤러 [6]
2009년 - Launchpad 출
2011년 - DJ 컨트롤러 Twitch 출시
2011년 - 울트라노바 출시
2012년 - 미니노바 출시
2013년 - Launchkey 출시
2015년 - Circuit 출시
2017년 - 하이브리드 신디사이저 Peak 출시
2019년 - Summit 출시
2020년 - AFX Station 출시 (한정판 모노폴릭 신디사이저)
2021년 - Circuit Tracks 와 Circuit Rhythm 출시
2023년 - FLKey 출시

3.3.1. 대표 제품 : Launchkey 61 MK4

파일:20250428_125741.jpg
Novation Launchkey 61 MK4는 2013년에 출시된 Launchkey의 4번째 버전으로 61건반의 MIDI 키보드 컨트롤러로, 기존 MK3까지 보급형에서 벗어나 고급 사양을 추구한 버전으로 기존 MK3까지의 소프트터치 건반을 세미웨이티드로 버전업하였다.

주요사양
  • 건반: 61개의 세미-웨이티드 피아노 스타일 키
  • 드럼 패드: 16개 RGB 백라이트 패드 (벨로시티 감지 및 폴리포닉 애프터터치 지원)
  • 컨트롤: 8개의 노브, 9개의 페이더, 전용 트랜스포트 및 워크플로우 버튼
  • 디스플레이: OLED 화면으로 현재 상태 및 파라미터 표시
  • 입출력: USB-C, 5핀 MIDI 출력, 1/4" 서스테인 페달 입력
  • 전원 공급: USB 버스 전원
  • 크기 및 무게: 폭 895mm x 깊이 263.5mm x 높이 93mm, 무게 4.78kg ​

핵심 기능
  • 스케일 모드: 30가지 스케일 중 선택하여 키보드를 자동으로 해당 스케일에 맞게 조정
  • 코드 모드: 한 개의 키로 다양한 코드 연주 가능 (Fixed, User, Chord Map 모드 지원)
  • 아르페지에이터: Mutate 및 Deviate 기능을 통해 리듬과 음정에 변화를 주어 창의적인 패턴 생성
  • DAW 통합: Ableton Live, Logic Pro, FL Studio, Cubase 등과의 깊은 통합으로 믹서, 이펙트, 트랜스포트 제어 가능
  • 커스텀 모드: 사용자 정의 MIDI 매핑을 통해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제어 가능

Novation Launchkey 61 MK4는 기존 MK2까지 제품이 에이브톤 라이브의 전용키 성격이었고, MK3에서 큐베이스 등을 통합하였고, MK4에서는 거의 모든 DAW의 전용키처럼 동작한다. 이것은 마치 노베이션 SL시리즈의 Automap 기능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겠다.

3.3.2. 대표 제품 : Launchpad mini MK3

파일:런치키미니.png

2009년 출시된 Novation Launchpad는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 MK3로 버전업 되었다. 기존 런치패드와 런치패드 MK2가 공전의 힛트를 기록하였지만, 서서히 런치패드의 인기가 사그라들면서 이 시리즈의 최종 버전이 될 가능성도 있다.

대표 제품인 Novation Launchpad Mini MK3는 컴팩트하고 휴대성이 뛰어난 64패드 MIDI 그리드 컨트롤러로, 특히 Ableton Live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퍼포먼스 컨트롤러이다. 특히 Ableton Live 사용자에게 적합하며, 라이브 퍼포먼스, 샘플 트리거링, 루프 제작 등 다양한 음악 제작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다.
​ * C64개 RGB 백라이트 패드: 8x8 그리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Ableton Live의 클립과 씬을 직관적으로 트리거가능
  • Ableton Live 및 Logic Pro 통합: 세션 모드, 스톱/솔로/뮤트 버튼을 통해 DAW의 주요 기능을 직접 제어 가능
  • 3가지 커스텀 모드: Novation Components 앱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의 MIDI 매핑을 설정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
  • USB-C 연결 및 버스 전원: 추가 전원 공급 없이 USB-C를 통해 컴퓨터나 iOS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가능
  • 소프트웨어 포함: Ableton Live Lite, XLN Audio Addictive Keys, AAS, Softube, Klevgrand 플러그인
아래는 런치패드의 수입원인 사운드캣에서 주관한 Launchpad MK3 컨테스트에서 대상을 차지한 퍼포먼스이다.

3.4. 아담 오디오

3.4.1. A시리즈 A7V

파일:아담7.jpg

ADAM Audio A7V는 ADAM Audio의 A 시리즈에 속하는 2웨이 액티브 니어필드 스튜디오 모니터로, 이전 모델인 A7X의 후속작이다. 정밀한 사운드 재현과 다양한 튜닝 옵션을 통해 홈 스튜디오부터 전문 스튜디오, 더불어 방송 및 포스트 프로덕션까지 폭넓은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제품의 특장점은 아래와 같다.
  • 정밀한 사운드 재현: X-ART 트위터와 MLM 우퍼의 조합으로 넓은 주파수 응답과 정확한 사운드 이미징을 제공
  • 유연한 설치: 회전 가능한 HPS 웨이브가이드를 통해 수직 또는 수평 설치 시에도 최적의 사운드 분산을 유지
  • 다양한 튜닝 옵션: 내장 DSP와 A Control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 환경에 맞는 세부적인 사운드 조정이 가능
  • 고급 제작 품질: 독일에서 수작업으로 제작된 드라이버와 견고한 캐비닛 설계를 통해 높은 신뢰성과 내구성을 보장

3.4.2. D시리즈 D3V

파일:아담3.png
ADAM Audio D3V는 2024년 10월에 출시된 컴팩트한 데스크탑용 액티브 모니터 스피커로, 국내 PC-FI 애호가들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모델이다. 23.2kHz까지의 고역 재생을 재생하는 리본 트위터의 청명한 고음이 특징이다. 데스크탑 오디오 환경,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위한 고품질 모니터링, 홈 스튜디오에서의 음악 제작 및 믹싱 등 다양한 활용도가 있는 멀티 플레이어.

3.4.3. S시리즈 S3V

파일:s3v.jpg
ADAM Audio S3V는 독일 ADAM Audio의 플래그십 S 시리즈에 속하는 3웨이 액티브 미드필드 스튜디오 모니터로, 정밀한 사운드 재현과 고급 기술이 결합된 제품이다. 또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향잡지 사운드 온 사운드 어워즈에서 베스트 뉴 스튜디오 모니터를 수상하기도 하였다.아래는 S시리즈의 특장점이다.
  • 정밀한 사운드 재현: S-ART 트위터와 DCH 미드레인지 드라이버는 넓은 스위트 스폿과 정확한 스테레오 이미지를 제공
  • 강력한 저역 응답: 9인치 ELE 우퍼는 깊고 정확한 저음을 재현하여, 별도의 서브우퍼 없이도 충분한 저역을 제공
  • 유연한 설정: 내장 DSP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 맞춰 사운드를 조정할 수 있으며, USB 연결로 소프트웨어로 제어
  • 고급 제작 품질: 모든 드라이버는 독일 베를린에서 수작업으로 제작되며, 견고한 캐비닛 설계로 불필요한 진동을 최소화

3.4.4. T시리즈 T5V

파일:T5V.png
5인치 2웨이 액티브 니어필드 스튜디오 모니터로 홈 스튜디오에서의 음악 제작 및 믹싱,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위한 고품질 모니터링, 소형 방송 스튜디오에서의 오디오 작업​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일수 있다. 제품의 특장점은 아래와 같다.
  • ART 트위터와 HPS 웨이브가이드: 상위 모델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넓은 스위트 스폿과 정밀한 고역 재생
  • 컴팩트한 디자인: 작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크기와 후면 포트를 통한 저역 강화 설계.
  • 다양한 연결성: 밸런스드 및 언밸런스드 입력을 모두 지원하여 다양한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호환됩니다.
  • 가격 대비 성능: 합리적인 가격에 고급 사운드와 기능을 제공하여 홈 스튜디오 및 예산이 제한된 사용자에게 적합


[1] 레드제플린의 사운드 엔지니어이자, SoundCraft 창업자, 오디오 엔지니어링에 끼친 공로를 인정하여 대영제국훈장(OBE, Officer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이 수여되었다.[2] 얼터너티브 록의 전설적인 밴드[3] 너바나의 드러머가 결성한 밴드로 상업적으로도 큰성공을 거둔바 있음[4] 1959년부터 이어지는 미국에서 가장 유서 깊은 대중음악 시상식. 전미 레코딩 예술 과학 아카데미(NARAS: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 통칭 레코딩 아카데미)가 주최한다. 대중음악의 흐름을 선도하는 미국의 최고 권위, 최대 규모 시상식이기에 그래미는 곧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대중음악 시상식, 모든 대중 음악가가 가장 선망하는 상이다.[5] 주로 마이크 프리앰프에 적용되는 기술로, 고음영역을 부드럽게 들어 올려서 소리를 더 밝고, 생동감 있게 만들어주는 기능[6] 마스터 키보드 또는 미디 컨트롤러로 부르며 노베이션 미디 컨트롤러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Automap 기능이 추가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