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4097>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정몽주선생묘
1.#26 이덕남장군묘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정발장군묘
1.#76 이천설성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고송정지(탄옹고지)
1.#126 석수동석실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1.#176 하우현성당사제관
[33]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변경[34]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변경[35] 사적 제423호로 승격[36] 사적 제479호로 승격[37] 사적 제480호로 승격[38] 사적 제467호로 승격[39] 사적으로 승격[40] 사적 제464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2] 사적으로 승격[43] 사적 제468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5] 사적 제469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29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수원여기산선사유적지
1.#226 연천 대전리 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1. 개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산 3에 있는 고려 말 문신 정몽주의 시신을 안장한 묘소. 1972년 5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됐다.2. 상세
1392년 이성계의 5남이자 훗날 조선 태종이기도 한 이방원과 술자리를 가지고 난 이후 귀가를 하던 정몽주가 이방원이 보낸 수하가 휘두른 철퇴에 맞아 개성 선죽교에서 피살되면서 원래 개성 근교 풍덕군(현재의 북한 개풍구역)에 안장된 묘소를 용인으로 이장하여서 오늘에 이른 묘소이다.죽기 전 정몽주는 이방원과 만나 술자리를 나누던 중 이방원이 하여가를 읊게되자 고려를 망친 반역자 집단으로 들어오라는 권유의 시 구절임을 인식하여 그에 반대하고 거절한다는 화답으로 단심가를 읊게 되었다. 그리고 나서 얼마 후 백주대낮에 말을 타고 귀가를 하려고 선죽교를 건너는 중 이방원이 보낸 부하가 휘두른 철퇴에 직격으로 맞고 낙마하여 집으로 도망가던중 피살됐다.
정몽주의 시신은 개성 선죽교에서 피투성이가 된 이후 개성 근교에 있는 풍덕군(개풍군) 야산에 안장되었으나 이후 고향인 경상북도 영천으로 이장을 하던 중 고인의 명정[1]이 용인땅을 지나가던 도중 수지구에서 풍덕천동 ~ 죽전동 대지고개로 진입할 때 떨어지면서 영천 이장을 포기하고 용인을 장지로 결정하여 부인 경주 이씨의 시신과 합장하면서 조성되었다. 현재는 포은대로로 조성이 되어 있다.
단분으로 봉분된 묘소에 비석, 상석, 망주석 등이 설치되었으며 원래는 둘레돌이 없었던 묘소였지만 1970년 3공화국 시절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둘레돌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1980년에는 주변에 있는 민가 3채를 이전하여 묘역 성역화에도 나섰다.
3. 연계 대중교통
[ 능곡로 - 능원3리노인회관 정류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table width=100%> 능원3리노인회관(56145 / 56146) 56145 - 처인구 동림리 방면 / 56146 - 능원초 방면 | |||
시내일반 | ||||
마을 | }}} | |||
{{{#!folding [ 오포로 - 능원초.정몽주선생묘역입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능원초.정몽주선생묘역입구(29394) 능원초 앞 정류소 - 수지구 죽전동 방면 | |||
수지구 죽전동 방면 | ||||
시내일반 | ||||
마을 | ||||
처인구 오산리 종착 | ||||
직행좌석 | ||||
시내일반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능원초.정몽주선생묘역입구(29395) 능원초입구사거리 쪽 도로표지판 아래 - 분당, 경기광주 방면 | ||
모현, 경기광주 방면 | ||||
시내일반 | ||||
마을 | ||||
서울, 분당 방면 | ||||
직행좌석 | ||||
시내일반 | }}} }}} |
[1] 죽은 사람의 관직, 성씨 등을 기록하여 상여 앞에 들고 가는 깃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