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4:09:17

포에버 블루 루미너스

포에버 블루 루미너스
FOREVER BLUE™ LUMINOUS[1]
Endless Ocean Luminous[2]
파일:포에버 블루 루미너스.webp
<colbgcolor=#1E76BE><colcolor=#ffffff> 개발 아리카
유통 닌텐도
플랫폼 Nintendo Switch
ESD 닌텐도 e숍
장르 어드벤처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24년 5월 2일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상점 페이지 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평가4. 흥행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캡션

포에버 블루 루미너스는 아리카에서 개발한 Nintendo Switch다이빙 어드벤처 게임이다.

에버 블루 시리즈의 최신작이며, 장르를 바꾼 포에버 블루 시리즈로서 15년 만에 나오는 신작이기도 하다.

==# 발매 전 정보 #==

캡션

2. 특징

신비로운 수중 세계를 탐색하는 다이빙 어드벤처 『포에버 블루 루미너스』가 Nintendo Switch로 등장!
무대는 극히 일부의 다이버에게만 알려진 「베일드해」. 잠수할 때마다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신비의 해역입니다.

이번 작품은 최대 30명까지 참여하는 온라인 플레이에 대응하고 있으며, 각자가 모은 정보를 공유하거나, 다이버끼리 커뮤니케이션하면서 마음껏 바닷속을 탐색해 나갈 수 있습니다.

만날 수 있는 생물은 500종류 이상. 그중에는 멸종한 것으로 알려진 생물이나, 환상의 생물이 있을지도…?

3.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4-05-06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endless-ocean-luminous/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endless-ocean-luminous/user-reviews/| 유저 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333,#555><table bgcolor=#fff,#1c1d1f><bgcolor=#333>
기준일:
2024-05-06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
[[https://opencritic.com/game/16419/endless-ocean-luminous| '''평론가 평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https://opencritic.com/game/16419/endless-ocean-luminous| '''평론가 추천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게임 자체로만 보면 그냥 바다를 돌며 다양한 물고기를 보며 즐기는, 좀 지루하지만 크게 비판할 요소는 없는 수집형 샌드박스 게임으로 보여지기도 한다.

하지만 전작을 플레이했던 유저들 사이에서는 매우 혹평을 받고 있다. 무려 15년의 세월이 흘렀음에도, 이전 Wii 시절과 달라진 게 거의 없으며, 심지어 그래픽 퀄리티도 크게 개선이 안 되었다. 오히려 컨텐츠가 상당수 축소되었다. 특히 메인 스토리나 서브 스토리 같은 중심 요소들이 거의 삭제된 점이 눈에 띈다. 특수 퀘스트나 수족관 같은 서브 컨텐츠 요소도 전부 잘려나갔다.

그 외에 희소 생물들과 고대 생물들이 기존에는 찾기 힘들었는데 너무 쉽게 나오도록 바뀌었다는 것도 호불호가 갈리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이전 게임의 경우는 바닷 속의 신비로운 분위기나 보컬이 섞인 좋은 BGM들이나 연출들도 다양해 바다의 신비나 가끔은 심해의 공포 유발 등이 눈에 띄는 힐링 게임이었지만, 너무 밝은 분위기로 바뀌어서 흔한 노가다 수집게임으로 바뀌었다는 평이 많다.

또 전작은 혼자서 유유자적한 해양을 즐기는 게임이였다면, 이번에는 멀티 플레이 기반 게임으로 바뀌었다는 것도 특징이다. 하지만 판매 방식은 일반적인 솔로용 게임처럼 판매되고 있으며 멀티 플레이를 안 할 경우 게임 플레이 요구량이 매우 늘어나는 점들도 단점으로 꼽힌다.

업그레이드 된 점으로는 물고기를 발견할 때마다 나오는 TTS의 설명으로 물고기에 대해서 공부하기는 좋다는 점이 꼽힌다.

전작을 전혀 모르고 해양생물에 관심이 많다면 그런대로 할만한 게임이지만, 15년 전 작품보다 심각한 열화판으로 나온 게임이라는 평가가 많다.

4. 흥행

5. 기타

6. 관련 문서



[1] 일본, 대한민국, 홍콩, 대만판 타이틀[2] 북미, 유럽, 호주판 타이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