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3764>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 시 | 신의주시 | ||||||||
| 군 | 의주군 | 용천군 | 철산군 | 선천군 | 강계군 | |||||
| 정주군 | 철산군 | 태천군 | 영변군 | 자성군 | ||||||
| 운산군 | 구성군 | 창성군 | 벽동군 | 후창군 | ||||||
| 삭주군 | 초산군 | 위원군 | 희천군 | |||||||
| 명목상 도청소재지 : 신의주시 | }}}}}}}}} | |||||||||
1. 시
1.1. 신의주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의주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의주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시청 소재지 | 신의주시 앵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49동 9리 | ||
| 면적 | 109.7㎢(1945년)[3] | ||
| 인구 | 127,535명(1943년) | ||
| 인구밀도 | 1,996/㎢(2008년) | ||
| 명예시장 | 장경운 (제22대) | ||
| 명예동장 | 10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신의주시 소개 | ||
| 행정동 | 법정동·리 (밑줄 친 곳은 섬지역) | 비고 |
| 낙화동(樂化洞) | 낙원동(樂園洞)·낙청동(樂淸洞)·미륵동(彌勒洞)·연상동(蓮上洞)·창포동(倉浦洞)·토교동(土橋洞)·풍서동(豊西洞)·풍하동(豊下洞)·하동(霞洞)·화평동(化坪洞) | |
| 남산동(南山洞) | 남재동(南齋洞)·대화동(大和洞)·동재동(東齋洞)·서재동(西齋洞)·석상동(石上洞)·석중동(石中洞)·석하동(石下洞) | |
| 마본동(麻本洞) | 남민동(南敏洞)·동마전동(東麻田洞)·마전동(麻田洞)·민포동(敏浦洞)·본부동(本部洞)·서마전동(西麻田洞)·욱동(旭洞) | |
| 상반동(上攀洞) | 상반동1가(上攀洞1街)[4]·상반동2가·상반동3가·상반동4가·상반동5가·상반동6가·상반동7가·상반동8가·상반동9가·연제동(煙諸洞) | 시청 소재지 (상반동4가) |
| 서연동(書煙洞) | 남미륵동(南彌勒洞)·동초동(東草洞)·백사동(白砂洞)·서당동(書堂洞)·성외동(城外洞)·수문동(水門洞)·연대동(煙臺洞)·정심동(正心洞)·토성동(土城洞) | |
| 신탑동(新塔洞) | 동중동(東中洞)·송한동(送鷴洞)·신평동(新坪洞)·유초동(柳草洞)·탑상동(塔上洞)·탑중동(塔中洞)·탑하동(塔下洞) | |
| 약초동(若草洞) | 매지동(梅池洞)·약죽동(若竹洞)·와이동(瓦耳洞)·운정동(雲亭洞)·창동(倉洞)·초음동(草陰洞)·향교동(鄕校洞) | |
| 영빈동(榮濱洞) | 빈동(濱洞)·앵동(櫻洞)·영동1가(榮洞1街)·영동2가·영동3가·영동4가·영동5가·영동6가·영동7가·채하동(彩霞洞) | 도청 소재지 (영빈동) |
| 용서동(龍西洞) | 대석동(大石洞)·서린동(西麟洞)·선상동(仙上洞)·선하동(仙下洞)·용상동(龍上洞)·용연동(龍淵洞)·용하동(龍下洞)·중재동(中齋洞) | |
| 진사동(津沙洞) | 노송동(老松洞)·녹동(麓洞)·압천동(鴨川洞)·진사동1가(津沙洞)[5]·진사동2가·진사동3가·진사동4가·진사동5가·진사동6가·진사동7가 |
위 행정동 관할 목록에는 누락되었는데, 위 지도에도 보이듯이 백석의 시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의 배경이 되는 '유동(柳洞, '유초동'과 다름)'이 별도로 있다.#
연혁
- 조선 말기: 방(坊)을 면(面)으로 개칭하면서 광성면·고읍면·진리면으로 개편
- 광성면: 동초동·마전동·미륵동·민포동·백토동·서당동·성외동·수문동·신의주동·연대동·연상동·와이동·유초동·정심동·토성동·풍서동·풍하동·화평동
- 고읍면: 구장동·남재동·대석동·동린동·동재동·서린동·서재동·연제동·용상동·용연동·용하동·중재동·창동·향교동
- 진리면: 낙원동·낙청동·남미륵동·석상동·석중동·석하동·선상동·선하동·송한동·창포동·탑상동·탑중동·탑하동·토교동
-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
- 광성면 미륵동·민포동·신의주동의 각 일부가 신의주부로 승격, 의주군에서 분리.
- 당시 신의주부: 노송정·녹정·대화정·매지정·본정·빈정·상반정·압천정·앵정·약죽정·영정·욱정·운정정·진사정·초음정·하정
| 녹정 | ||||||||||
| 압천정 | 빈정 | 본정 | 상반정 | 영정 | 진사정 | 노송정 | 매지정 | 약죽정 | 초음정 | 하정 |
| 대화정 | 욱정 | 앵정 | 운정정 | |||||||
- 고읍면과 진리면이 합병되어 고진면 출범, 고읍면 구장동·동린동은 위원면에 편입, 용상동 일부가 남미륵동에 편입.
- 1929년 4월 1일: 광성면 마전동(일부)·미륵동(일부)·민포동(일부)가 신의주부에 편입.
- 1941년 4월 1일: 광성면, 고진면 전체가 신의주부에 편입.
- 광복 직후 본정이 본부동으로, 압천정이 압강리로, 노송정이 청송리로, 매지정이 한매리로, 약죽정이 설죽리로, 진사정이 백사리로, 초음정이 근화리로, 하정이 채하리로, 운정정이 백운동으로 개칭.[6]
2. 군
2.1. 의주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주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주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주내면의 병합 시기와 관련해 견해가 엇갈리는 부분이 있다. 한국어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조선총독부령 297호에 의해 병합되었다고 하는데,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조선총독부령 297호를 찾아보면 조선해운조합령 시행규칙이 나와 실제 기록을 확인해보기가 어렵다. 한편 조선향토대백과에서는 광복 직후 주내면에 병합된 것으로 나온다.
광복 당시 면적 1,677㎢, 1읍 12면이었다. 압록강에 면한 읍면은 *표시한다.
- 의주읍(義州邑)*
- 관할 동: 동부(東部), 서부(西部), 향교(鄕校), 구성(舊城), 남문(南門), 동외(東外), 서호(西湖), 원화(元化), 청전(靑田), 홍북(弘北), 홍서(弘西), 홍남(弘南), 다지(多智), 어적(於赤)
- 군청 소재지는 향교동, 읍소재지는 동부동이다. 원래 의주면과 주내면(州內面)으로 나뉘어 있었다가, 1931년 의주면이 읍으로 승격되고 1943년 주내면이 병합됐다. 광복 직후 면으로 강등되었으나 이북5도에서는 인정되지 않았다.
-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피난했던 곳이며, 1907년~1921년 사이에는 평안북도 도청소재지이기도 했었다. 의주 남대문, 통군정(統軍亭) 등의 고적, 구 양실학교 등의 건물이 남아 있다.
- 압록강의 하중도인 검동도(행정구역상 다지리. 북한명 다지도), 어적도 또한 의주읍 소속으로서 관할하고 있었다.
- 가산면(加山面)*
- 관할 동: 옥강(玉江), 도령(都嶺), 방산(方山), 이송(梨松), 천감(泉甘), 추(楸)
- 고관면(古館面)
- 관할 동: 관(館), 관북(館北), 남산(藍山), 남창(南昌), 노(蘆), 동(東), 동상(東上), 상고(上古), 상단(上端), 서하(西下), 용화(龍化), 이화(梨花), 중고(中古), 중단(中端), 춘곡(春谷), 하단(下端)
- 2000년대 동상동 부근에 삼교천(三橋川, 일명 書狀江)을 막은 댐이 만들어져 그 상류 용화동·상고동 등 일부지역이 수몰되었다.
- 고령삭면(古寧朔面)
- 고성면(古城面)*
- 관할 동: 인하(烟下), 가로(加老), 대산(臺山), 용문(龍門), 용산(龍山), 인상(烟上), 정주(正州)
- 의주읍과 신의주시 사이에 위치한다.
- 광평면(廣坪面)*
- 관할 동 : 청성(淸城), 부평(富坪), 불정(黻汀), 상광(上廣), 판막(板幕), 하광(下廣)
- 북한 행정구역상 한때 존재했던 청성군 소재지.
- 비현면(枇峴面)
- 관할 동: 체마(替馬), 광상(廣上), 광중(廣中), 광하(廣下), 구룡(龜龍), 기봉(岐峰), 노남(蘆南), 노북(蘆北), 노중(蘆中), 당후(堂後), 도봉(道峰), 마산(馬山), 산대(山臺), 영평(永平), 원(院), 장생(長生), 정산(亭山), 홍희(弘希)
- 북한 행정구역상 피현군 소재지.
- 송장면(松長面)
- 관할 동: 금광(金光), 강정(江井), 남산(南山), 대문(大門), 사산(社山), 설매(雪梅), 소수(小水), 송산(松山), 연무(燕武), 영달(永達), 운천(雲川), 창원(昌元)
- 수진면과의 경계에 있는 금강산(524m, 일명 석승산, 석숭산(石崇山))은 의주금강이라 불리며, 건립연대 미상인 금광사(金光寺, 일명 금강사)가 지금도 남아 있다.
- 수진면(水鎭面)*
- 옥상면(玉尙面)
- 관할 동: 당목(棠木), 남사(南社), 내옥(內玉), 북사(北社), 삼상(三上), 삼하(三下), 상경(上庚), 어상(於上), 어중(於中), 좌(佐), 하경(下庚)
- 면 동부 산지에서 발원하는 당목천(棠木川)이 가산면으로 흐른다.
- 월화면(月華面)
- 관할 동: 취봉(鷲峰), 마룡(馬龍), 마흥(麻興), 우천(牛川), 운천(雲川), 월하(月下), 장무(長武), 정산(亭山), 주음(奏音), 추(楸), 화하(化下), 화합상(化合上), 화합하(化合下), 회상(檜上), 회하(檜下)
- 위원면(威遠面)
- 위화면(威化面)
고진면(古津面)- 관할 동: 낙원(樂元), 낙청(樂淸), 남재(南齎), 대석(大石), 동재(東齋), 미륵(彌勒), 서린(西麟), 서재(西齎), 석상(石上), 석중(石中), 석하(石下), 선상(仙上), 선하(仙下), 송한(松鷳), 연저(煙渚), 용상(龍上), 용연(龍淵), 용하(龍下), 유(柳), 중재(中齎), 탑상(塔上), 탑중(塔中), 탑하(塔下), 토교(土橋), 창(倉), 창포(倉浦), 향교(鄕校)
- 신의주부 동부에 있던 면으로, 1941년 신의주부로 흡수되면서 폐지됐다.
광성면(光城面)
2.2. 용천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룡천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룡천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용암포읍 용암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1읍 11면 | ||
| 면적 | 270.24km² | ||
| 인구 | 135,634명(2008년) | ||
| 인구밀도 | 270.24/㎢(2008년) | ||
| 명예 군수 | 장경운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12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용천군 소개 | ||
- 용암포읍(龍巖浦邑)
- 관할 동 : 용암(龍巖), 덕봉(德峰), 서호(西湖), 석성(石城), 소의(昭義), 소흥(昭興), 신전(新田), 신흥(新興)[9], 운흥(雲興), 중흥(中興), 진곶(辰串)
- 압록강 하구에 해당한다. 군청과 읍사무소가 용암동에 있었다. 구한말 용암포가 개항하고 용천부(龍川府)로 승격되면서 관아가 동상면(구읍)에서 이곳으로 옮겨오고, 이후 부내면(府內面), 용천면(龍川面)을 거쳐 1941년 용암포읍으로 승격되었다. 1903년부터 러일전쟁까지 한때 일시적으로 러시아 제국의 조차지가 되었다. 다사도선이 지나며 관내에 용암포역이 있다. 이외에도 룡암포역에서 서쪽으로 6.6km 지점의 선화동 바닷가까지 지선이 더 뻗어 있는데 용암포항의 인입선으로 추측된다.
- 매로리도 등 광복 당시 용암포읍 앞바다에 있던 작은 섬들에 대해서는 '신도면' 부분을 볼 것.
- 내중면(內中面)
- 동상면(東上面)
- 관할 동 : 동부(東部), 건룡(乾龍), 대평(臺坪), 동산(銅山), 봉곡(鳳谷), 사악(沙岳), 상북(上北), 서부(西部), 성동(城東), 쌍송(雙松), 양책(良策), 입석(立石), 태흥(泰興)
- 원래 읍동면(邑東面)이었다가 광복 직후 용암포읍의 면 강등과 함께 개칭됐다. 구한말 용암포 개항 전까지 전통적인 용천군의 중심지였으며, '구읍(舊邑)'이라 불렸다.
- 용천평야 지대치고는 고지대인 아후산(衙後山, 238m), 남산(南山, 241m)을 배경으로 동부동에 구읍이 발달하였다. 동부동에는 한반도에 두 개 밖에 없는 다라니석당[10]이 있었는데 현재는 묘향산 보현사 경내로 이전했다.
- 그 외에 태흥동과 내중면과의 경계지점에 군내 최고봉인 용골산(龍骨山, 476m)이 있으며, 용골산성이 있다.
- 백마선 철도가 면의 동쪽 끄트머리를 지나며 관내에 양책역이 있다.
- 동하면(東下面)
- 부라면(府羅面)
- 북중면(北中面)
- 관할 동 : 북현(北峴), 가성(加省), 동송(東松), 동양(東陽), 매장(梅長), 백암(白巖), 서룡(西龍), 수봉(秀峰), 쌍성(雙城), 용주(龍洲), 원봉(元峰), 원송(元松), 인고(仁古), 중성(中城), 진흥(眞興), 추정(楸亭), 하장(下長)
- 최고봉은 대산(大山, 59m)이며 그 외에는 대부분 용천평야 지대이다. 다사도선 철도가 면의 북서부를 지나며 관내에 북중역이 있다.
- 일제 때부터 트랙터·농기구 제조 공장과 항공기 부속품을 제작하는 '동양경금속회사'가 있었으며, 원송동에 용암포제련소가 있었다. 위성사진으로 보면 지금도 북중역 동북쪽에 거대한 공장 단지가 보인다.
- 신도면(薪島面)
- 관할 동 : 동주(東洲), 남주(南洲)
- 우리나라 최서단 지역으로, 신도와 황금평 등의 압록강 하구 삼각주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마안도는 우리나라 서쪽 끝 지역으로 등대가 있다.
- 북한 정권 치하에서 1950년대 간척사업으로 신도(薪島)를 중심으로 마안도 등 주변 섬, 그리고 신도 북쪽에 있던 매로리도(每路里島)·조룡도(潮龍島)·창암도(昌巖島) 등 조그만 섬들과 신주평(信周坪), 영문강(迎門崗) 등 밀물 때는 바닷물에 잠겼다가 썰물 때는 섬의 형태로 드러나던 곳들을 모두 합쳐 비단섬을 만들었다. 현재 신도군 소재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등의 서술에는 광복 당시 지형을 그대로 인용해 매로리도·조룡도·창암도 등의 도서가 용암포읍 소속인 것처럼 나오나, 이들 도서는 현재 간척으로 비단섬에 완전히 들어간 상태다. 1965년 8월 11일 대한민국 농림부에서 외교부에 회신한 트롤 및 기선저인망 어업 금지구역 관련 공한에 따르면 매로리도의 좌표는 '북위 39도 54분 00초, 동경 124도 15분 30초'로 구글 어스에서 찾아보면 비단섬로동자구 근방 평지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양광면(楊光面)
- 관할 동 : 충렬(忠烈), 망양(望洋), 미륵(彌勒), 봉덕(鳳德), 산두(山斗), 선화(善和), 송정(松亭), 용계(龍溪), 용덕(龍德), 용유(龍遊), 충무(忠武), 학현(鶴峴), 현가(絃歌)
- 군의 동북쪽 끝에 위치한 면. 면 한가운데에 대유산(大遊山, 149m), 동덕산(東德山, 148m), 구연대봉(舊煙臺峰, 136m) 등의 낮은 산들이 이어진다.
- 백마선 철도가 면의 북동쪽 삼교천(三橋川) 자락을 따라가며 관내에 피현역, 용계리역이 있다. 피현역은 의주군 비현면이 아니라 이곳에 있다. 룡계리역에서 남신의주역 방향으로 동쪽으로 분기하여 선화동 방향으로 약 2.6km 방향으로 지선이 나 있는데 어떤 시설물에서 종착한다.
- 양서면(楊西面)
- 관할 동 : 용연(龍淵), 견일(見一), 동망(東望), 동상(東上), 동평(東坪), 북성(北城), 북평(北坪), 서망(西望), 신성(新城), 용봉(龍峰), 팽량(彭梁)
- 양하면(楊下面)
- 외상면(外上面)
- 관할 동 : 정차(停車), 남시(南市), 동발(東鉢), 동석(東石), 백하(栢下), 봉황(鳳凰), 서발(西鉢), 서석(西石), 송하(松下), 신룡(新龍), 안평(安平), 학무(鶴舞), 학소(鶴巢), 해현(海峴)
- 광복 당시에는 외상면의 면소재지를 남시(南市)라고 불렀다. 북한 행정구역상 염주군 소재지.
- 앞바다에는 선도, 와도 등의 섬이 있으나 북한의 간척지 조성으로 현재는 제방 안에 갇혀 육지화되었다.
- 외하면(外下面)
- 관할 동 : 율곡(栗谷), 고의(做義), 남기(南機), 남압(南鴨), 반궁(盤弓), 상호(上虎), 송흥(松興), 순천(順川), 쌍기(雙機), 인봉(仁峰), 중호(中虎), 청룡(靑龍), 하호(下虎)
- 두웅산(杜雄山, 84m) 등 일부 언덕을 빼고는 거의 전 지역이 용천평야 지대이다.
2.3. 철산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산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산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철산면 중부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읍 6면 | ||
| 면적 | 455.5km² | ||
| 인구 | 85,525명(2008년) | ||
| 인구밀도 | 1,996.37/㎢(2008년) | ||
| 명예 군수 | 전성덕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6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철산군 소개 | ||
- 철산면(鐵山面)
- 백량면(柏梁面)
- 관할 동: 근천(根川), 가도(椵島), 검암(儉巖), 기봉(起鳳), 내암(內巖), 대화(大和), 도암(道巖), 동문(東門), 동창(東倉), 명암(明巖), 보산(保山), 삼금(三錦), 산대(山垈), 선암(仙巖), 수부(壽富), 신암(新巖), 영(嶺), 용암(龍巖), 자작(自作), 장야(長野), 장평(長平), 풍천(豊川)
- 1934년 운산면(雲山面)이 병합됐다. 동창동에는 그 유명한 서해위성발사장이 있다. 동창동을 비롯하여 보산동, 자작동 등에는 그 악명높은 철산 탄광, 일명 모나즈 광산이 있다.
- 부서면과 같이 해안지역에 위치하며, 철산군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지형상 곶(串)의 형태를 띠고 있다. 첨단부는 신암동. 백량면 소속 부속도서로는 육지 인근의 월은도, 대가차도, 소가차도와, 좀더 멀리 떨어진 철산군에서 가장 큰 섬인 가도를 비롯하여 탄도, 대화도, 소화도, 회도, 부운도, 삼차도, 우리도, 악도 등이 있다.
- 부서면(扶西面)
- 관할 동: 고암(高巖), 강하(江河), 등곶(登串), 부평(富平), 석산(石山), 선리(善里), 성암(星巖), 수유(水踰), 신곶(薪串), 어산(於山), 오봉(梧峰), 월암(月巖), 육성(六星), 이복(梨福), 인송(仁松), 인평(仁平) 인흥(仁興), 장송(長松), 장좌(長佐), 탑현(塔峴), 학산(鶴山), 학암(鶴巖)
- 1934년 정혜면(丁惠面)이 병합됐다. 백량면과 같이 해안지역에 위치한다. 인근 바다에는 대계도, 소대계도, 월도, 수운도, 장도, 책도, 원도, 어영도, 정도 등 여러 섬이 있다. 이 중 육지와 가까운 대계도, 소대계도, 월도 등은 북한 당국의 간척사업으로 인해 육지와 제방으로 연결되었다.
- 서림면(西林面)
- 관할 동: 회당(檜塘), 강암(江巖), 광봉(光峰), 내산(內山), 다정(多井), 사송(四松), 서림(西林), 연산(蓮山), 원옥(元玉), 인송(仁松), 인수(仁水), 일신(日新), 작현(柞峴), 천석(川石), 향봉(香峰), 화탄(化炭)
- 여한면(餘閑面)
- 관할 동: 가산(佳山), 가봉(加峰), 덕산(德山), 덕화(德化), 도덕(道德), 동덕(東德), 문봉(文峰), 상석(常石), 서봉(西峰), 쌍신(雙新), 연수(蓮水) 원세평(元世平), 임천(林川), 조양(朝陽), 추남(秋南), 추암(秋巖)
- 참면(站面)
2.4. 선천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천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천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선천읍 창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1읍 9면 | ||
| 면적 | 672.88km² | ||
| 인구 | 126,350명(2008년) | ||
| 인구밀도 | 570.24/㎢(1945년) | ||
| 명예 군수 | 김진수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10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선천군 소개 | ||
- 선천읍(宣川邑)
- 군산면(郡山面)
- 관할 동 : 사교(沙橋), 고부(古府), 대목(大睦), 봉산(蓬山), 연봉(延峰), 용(龍), 장공(長公), 진석(眞石)
- 경의선 철도가 면의 북동부를 지나가나 관내에 역이 없다.
- 남면(南面)
- 동면(東面)
- 수청면(水淸面)
- 관할 동 : 가물남(嘉物南), 고읍(古邑), 목사대(牧使臺), 안산(雁山), 학현(鶴峴)
- 남쪽으로 황해와 접한다. 북한 치하에서 간척이 상당히 이루어져 현재의 해안선은 위 지도보다 멀리 밀려난 상태.
- 신부면(新府面)
- 심천면(深川面)
- 용연면(龍淵面)
- 관할 동 : 색담(色淡), 보암(保巖), 상단(上端), 성적(聖蹟), 신풍(新豊), 용경(龍耕), 은봉(殷峰), 응봉(鷹峰), 인봉(仁峰), 하단(下端), 향산(香山)
- 원래 산면(山面)이었으나 해방 직후 개칭됐다. 내륙에 위치하며 매봉저수지가 있다. 향산령을 통해 구성시 서부지역과 통한다.
- 태산면(台山面)
- 관할 동 : 원봉(圓峰), 길성(吉星), 오성(五星), 인암(仁巖), 칠성(七星)
- 남쪽으로 황해와 접한다. 바다 건너 접도(蝶島)를 관할한다. 북한 치하에서 간척이 상당히 이루어져 현재의 해안선은 위 지도보다 멀리 밀려난 상태이며, 접도 또한 본토 및 신미도와 제방으로 연결되었다.
- 운종면(雲從面)
- 관할 동 : 신미(身彌), 동담(東潭), 문사(文泗)
- 이북 5도청에서는 선천군 운종면 명예면장을 임명하고 있어서 기재한다. 신미도에서 가장 높은 산의 이름이 운종산(633m)인 것으로 보아 운종면은 신미도 일대로 추정되는 바, 신미도에 속하는 남면의 3개 동(신미동, 동담동, 문사동)을 분리하여 만든 행정구역으로 보인다. 한국어 위키백과 평안북도(대한민국) 문서에서는 '광복 직후 건국준비위원회의 건국 준비 과정에서 승격된 운종면을 선천군의 행정구역으로 인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15] 하지만 문제는 이북5도상 행정구역이 표시된 지도에는 100이면 100 운종면이 나와 있지 않고(...) 신미도가 남면의 일부로 되어 있다. 당장 위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선천군 읍면지도부터 그렇다. 면소재지는 알 수 없으나 신미동으로 추정된다.
- 참고로 신미도는 북한 지역에서 비단섬 다음으로 2번째로 큰 섬이었으나 북한 치하에서 농지 확보를 위한 간척으로 인해 본토와 연륙화되면서 반도화된 상태다. 신미도 남쪽에 있는 무인도인 납도(臘島)는 천연기념물로서 괭이갈매기 등 바다새의 서식처이다.
2.5. 강계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계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계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강계군 江界郡 Ganggye County | }}} | |||
|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강계읍 강서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2읍 15면 | ||
| 면적 | 263.67km² | ||
| 인구 | 251,971명(2008년) | ||
| 인구밀도 | 956/㎢(2008년) | ||
| 명예 군수 | 공석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17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강계군 소개 | ||
해방 당시에 강계군이었으며 2읍(강계·만포) 15면을 관할하는 면적 5,403.63㎢에 달하는 함경북도 무산군 다음으로 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넓은 군이었으나, 중심지던 강계읍이 강계시로, 만포읍이 만포군으로 분리된 후 만포시로 승격되고 나머지 지역은 군을 신설하면서 이리저리 찢어졌다. 북한 행정구역으로 7개 시군으로 쪼개진 것이다. 1944년 광복 직전의 강계군 인구는 21만여 명이었으며 2008년 기준으로 쪼개진 7개 시군의 인구를 합치면 모두 69만 7천명(!)이 된다.
- 강계읍(江界邑)
- 관할 동: 본(本), 고당(古堂), 궁하(宮下), 금(錦), 남산(南山), 대화(大和), 동부(東部), 북천(北川), 성산(城山), 소화(昭和), 수(壽), 영(榮), 유(柳), 일출(日出), 천석(千石), 학견(鶴見), 행(幸), 화천(和泉), 황금(黃金)
- 조선 후기인 1839년에 성안방(城安坊)에서 읍동방(邑東坊)과 읍서방(邑西坊)으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에 강계면으로 통합되었다. 1931년에 강계면과 공서면(公西面) 고당동, 회룡동(回龍洞)이 병합돼 읍으로 승격되었고, 이후에 동부동 일부, 서부동(西部洞), 고당동 일부, 회룡동을 정, 정목으로 분할했다. 일제강점기 때 크게 발달돼, 동명에 일본식 지명이 많다. 1946년에 일본식 동명을 청산했다.
- 만포선 철도가 이곳을 지나가며 관내에 강계역이 있다. 협궤철도인 강계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신강계역, 남문역, 동부역이 있다.
- 동쪽에서 흘러오는 남천강, 북천강이 강계읍내에서 독로강에 합류, 고산진 방면으로 흘러 압록강에 합류한다. 고적으로 강계읍성, 인풍루, 거연정, 망미정 등이 있다.
- 만포읍(滿浦邑)
- 간북면(干北面)
- 관할 동: 남(南), 북(北)
- 고산면(高山面)
- 관할 동: 포상(浦上), 남상(南上), 미타(美他), 연상(延上), 연하(延下), 춘산(春山)
- 압록강변에 있는 면으로 독로강이 여기서 압록강에 합류한다.
- 곡하면(曲河面)
- 공북면(公北面)
- 성간면(城干面)
- 시중면(時中面)
- 어뢰면(漁雷面)[19]
- 관할 동: 풍룡(豊龍), 종인(從仁), 천성(天城), 풍청(豊淸)
- 외귀면(外貴面)
- 용림면(龍林面)
- 관할 동: 신창(新昌), 광성(廣城), 남흥(南興), 용림(龍林), 용운(龍雲), 후지(厚地)
- 강계군의 최남단 3면(화경면·입관면·용림면) 중 하나. 군 남동쪽에 있으며 희천군 쪽으로 파고들어가 있는 광성동은 강계군의 최남단이다. 1895년 광성, 남상, 남하, 운상, 운하 5개 동으로 광성면을 분리했으나 1914년 다시 편입되었다. 1913년 운상동과 운하동을 합병해 용운동을 신설하였고, 1930년대에 남상동과 남하동을 합병해 남흥동을 신설하였다.
- 북한 행정구역상 옛 룡림군 소재지로 면소재지인 신창동 일대는 희천발전소 건설의 일환인 룡림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 이서면(吏西面)
- 관할 동: 송학(松鶴), 등공(登公), 송하(松下), 함부(咸富)
- 군 북쪽에 있는 면.
- 입관면(立館面)
- 전천면(前川面)
- 종서면(從西面)
- 관할 동: 신성(新城), 종포(從浦), 황청(黃淸)
- 군 북쪽에 있는 면.
- 화경면(化京面)
2.6. 정주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주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주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정주군 定州郡 Jeongju County | }}} | |||
|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정주읍 성내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1읍 12면 | |||||
| 면적 | 827.71km² | |||||
| 인구 | 189,742명(2008년) | |||||
| 인구밀도 | 1,996.37/㎢(2008년) | |||||
| 명예 군수 | 승인호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13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정주군 소개 | |||||
2.6.1. 옛 정주목(정주군) 지역
- 정주읍(定州邑)
- 관할 동: 성내(城內), 덕산(德山), 서주(西州), 성외(城外)
- 1914년 동부면(東部面)과 서부면(西部面)을 병합하여 읍부면(邑部面)을 신설하였고, 1918년에 정주면으로 개칭되었다가, 1931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읍의 배후지인 산에는 정주읍성이 아직도 군데군데 남아있다. 철도로는 경의선 정주역이 있다.
- 갈산면(葛山面)
- 관할 동: 정양(鼎陽), 광동(光東), 서남(瑞南), 용흥(龍興), 익성(益城), 일해(逸海), 흥록(興麓), 애도(艾島)
- 1914년 갈지면(葛池面)과 오산면(五山面), 가산군 군내면 애도리로 신설되었다.경의선 고읍역[21]이 있으며, 해안 평야지대로 그 앞바다엔 애도, 윤소리도, 붕배도, 운무도 등의 섬이 있다. 애도는 북한 치하에서 노동자구로 승격되다 정주시가지에 포함되며 애도동으로 격하(로동자구 참조)될 정도로, 위성사진으로 보아도 민가가 많다.
- 제석산, 자성산 등 5개의 산(국민일보 정철훈 기자에 따르면 독장산, 봉명산, 묘두산, 임해산 등이 있다고...)이 있으며 지금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오산중학교/오산고등학교의 발상지다.
- 익성동은 독립운동가 이승훈과 시인 백석의 고향이다.
- 고덕면(古德面)
- 관할 동: 월훈(月暈), 갈현(葛峴), 관해(觀海), 덕원(德元), 운평(雲坪), 일신(日新)
- 본래 고읍면(古邑面)으로 조선 초 정주읍 지역으로 관아가 이동하기 전까지 정주의 중심지였던 곳이다. 1914년 덕암면(德巖面)을 병합하였고 1931년 고덕면으로 개칭되었다.
- 고안면(高案面)
- 관할 동: 소암(小巖), 대양(大陽), 독장(獨將), 봉명(鳳鳴), 송정(松亭), 송포(松浦), 심천(深川), 안흥(安興), 어호(漁湖), 연봉(延鳳), 용포(龍浦), 탄우(灘隅)
- 1931년 고현면(高峴面), 신안면(新安面), 동주면(東州面)을 병합하여 고안면이 되었다. 군의 북동쪽 끝에 있으며 평북선 철도와 국도로 구성군으로 통한다. 명승지로 봉명동의 심원사, 봉명저수지가 있다.
- 남서면(南西面)
- 관할 동: 남양(南陽), 남호(南湖), 보산(寶山), 상단(上端), 서호(西湖), 하단(下端), 화산(華山)
- 1931년 남면(南面)과 서면(西面)을 병합하여 남서면이 되었다. 남쪽으로 황해와 접한다. 철도는 경의선 하단역이 있다.
- 대전면(大田面)
- 관할 동: 운전(雲田), 강서(江西), 대흥(大興), 운산(雲山), 운학(雲鶴), 운흥(雲興)
- 1914년 대명면(大明面)과 운전면(雲田面)을 병합하여 대전면이 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운전군 옛 소재지.[22] 박천군 방면으로 경의선이 통한다. 참고로 한자가 대전광역시와 같다.
- 덕언면(德彦面)
- 관할 동: 대성(大成), 대산(大山), 덕성(德星), 방천(防川), 석산(石山), 신창(新倉), 원봉(圓峰), 육성(六星), 증봉(甑峰), 침향(沈香)
- 1931년 덕달면(德達面), 이언면(伊彦面), 아이포면(阿耳浦面)을 병합하여 덕언면이 되었다. 서남쪽 일부 지역은 황해와 접한다.
- 마산면(馬山面)
- 관할 동: 청정(淸亭), 동창(東倉), 신오(新五), 옥야(玉野), 원동(院東), 원서(院西), 춘산(春山)
- 1914년 서원면(西院面)을 편입하였다. 면소재지 청정동에 있는 납청(納淸)시장이 유명했는데, 방짜 유기(鍮器)로 유명했고 한편으로 이곳 국수는 잘 쳐서 질겼다고 한다. 그래서 되게 얻어맞거나 눌려 납작해진 사람이나 물건을 납청장으로 비유하기도 했으며 국어사전에까지 올랐다.
2.6.2. 옛 곽산군 지역
- 곽산면(郭山面)
- 관할 동 : 염호(鹽湖), 남단(南端), 석(石), 조산(造山)
- 본래 곽산군 군면(郡面)으로 1914년 정주군 편입 당시 곽산면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시대 및 북한 행정구역상 곽산군 소재지. 명승지로 능한산(421m)[23] 기슭에 있는 능한산성이 있다.
- 관주면(觀舟面)
- 관할 동 : 초장(草庄), 관삽(觀揷), 근담(近潭), 주학(舟鶴)
- 본래 곽산군 관면(館面)과 우면(雩面)으로 1914년 정주군 편입 당시 관주면이 되었다
- 안흥면(安興面)
- 관할 동 : 안의(安義), 삼단(三端), 암죽(巖竹), 임암(林巖), 호현(好峴)
- 군의 서쪽 끝이며 동래강을 경계로 선천군과 접한다. 본래 곽산군 남면과 서면 지역이었다.
- 옥천면(玉泉面)
- 관할 동 : 문인(文仁), 군산(君山), 당하(堂下), 상단(上端), 월옥(月玉)
- 본래 곽산군 북면으로 1914년 정주군 편입 당시 옥천면으로 개칭되었다. 군의 서북쪽에 있다. 동래강을 경계로 선천군과 접한다. 면의 가운데에 있는 지령산에 의해 서쪽의 문인동, 군산동, 월옥동과 동쪽의 상단동, 당하동이 가로막혀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 임포면(臨浦面)
- 관할 동 : 원단(元端), 고성(古盛), 동로(東路), 염호(濂湖), 원포(遠浦), 원하(元下), 천태(天台), 장도(獐島)
- 1931년 임해면(臨海面)과 해산면(海山面)을 병합하여 임포면이 되었다. 남쪽으로 황해가 있는 해안 평야 지대이며 이후 해안을 간척하였다.
- 앞바다에는 내장도, 외장도, 장도, 관도, 달양도, 대간도 등등의 섬이 많았다. 광복 당시와 해안선이 상당히 달라져 현재 구글 어스 위성사진으로 보면 내장도와 외장도는 하나의 섬이 되었고, 내·외장도와 달양도를 잇는 선 이북의 섬들은 모두 육지와 방파제로 연결되어 있다. 지금도 섬인 것은 대간도 이남의 섬들.
2.7. 박천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천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천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박천읍 북부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1읍 7면 | ||
| 면적 | 528.9km² | ||
| 인구 | 98,128명(2008년) | ||
| 인구밀도 | 1,996.37/㎢(2008년) | ||
| 명예 군수 | 김상을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13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박천군 소개 | ||
2.7.1. 구 박천군 지역
아래 면은 부군면 통폐합 이전부터 박천군에 속했던 곳이다. 아래의 가산군을 흡수하면서 박천읍은 북동쪽으로 쏠리게 되었다.- 박천읍(博川邑)
- 관할 동 : 미력(未力), 남부(南部), 남하(南下), 남호(南湖), 동부(東部), 등산(燈山), 병천(丙川), 봉상(鳳上), 봉하(鳳下), 북부(北部), 사직(社稷), 삼안(三安), 서부(西部), 송덕(松德), 용흥(龍興), 원남(元南), 추호(楸湖)
- 읍소재지는 미력동, 군청소재지는 북부동이다.
- 덕안면(德安面)
- 동남면(東南面)
- 관할 동 : 맹중(孟中), 남송(南松), 당상(堂上), 대양(大楊), 도남(都南), 동남(東南), 동이(東二), 동하(東下), 상강(上講), 서송(西松), 석화(石花), 송봉(松峰), 일원(一院), 진석(眞石), 학등(鶴登)
- 1935년 동면(東面)과 남면(南面)이 동남면으로 통합되었다.
2.7.2. 구 가산군 지역
아래 면은 부군면 통폐합 이전 가산군에 속했던 곳이다.- 가산면(嘉山面)
- 관할 동 : 동문(東門), 남신(南新), 대성(大成), 봉서(鳳西), 봉소(鳳巢), 신사(新沙), 용탄(龍灘)
- 서면(西面)
- 관할 동 : 송담(松潭), 근장(芹場), 금계(金鷄), 성산(聖山), 와현(瓦峴), 용진(龍津), 운포(雲浦), 하양(河陽)
- 양가면(兩嘉面)
- 관할 동 : 영미(嶺美), 구정(九井), 덕달(德達), 덕인(德仁), 보석(寶石), 봉산(鳳山), 서동(瑞東), 선사(善士), 심태(深台), 어의(於義), 연담(蓮潭), 연지(蓮池), 자하(紫下)
- 1935년 가동면(嘉東面)과 가남면(嘉南面)이 양가면으로 통합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운전군 소재지.
- 용계면(龍溪面)
- 관할 동 : 오룡(五龍), 고창(古倉), 삼광(三光), 원산(元山), 은봉(隱鳳), 인봉(仁峰), 하단(下端)
- 청룡면(靑龍面)
2.8. 태천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천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천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태천면 북부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읍 9면 | ||
| 면적 | 730km² | ||
| 인구 | 108,894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이희석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9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태천군 소개 | ||
- 태천면(泰川面)
- 관할 동 : 북부(北部), 남부(南部), 남흥(南興), 동부(東部), 북안(北安), 서부(西部), 왕정(旺井)
- 읍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북부동이다. 1918년 동읍내면(東邑內面)에서 개칭됐다. 팔원선 태천역이 위치하며, 시가지 남쪽 남흥동에 태천비행장이 있다. 대령강이 감싸도는 태천면 일대를 내평(內坪)이라고 부른다.
- 강동면(江東面)
- 관할 동 : 용성(龍城), 구성(舊城), 덕산(德山), 덕화(德化), 송남(松南), 송북(松北), 신봉(新峰), 약성(若城), 천계(天溪), 풍림(豊林)
- 아래 강서면과 마찬가지로 1980년대 조성된 태천저수지로 인해 면 소재지이던 용성동을 포함한 면 대부분이 수몰되었다.
- 강서면(江西面)
- 관할 동 : 마장(馬場), 덕림(德林), 덕평(德坪), 봉천(鳳川), 상평(上坪), 용봉(龍鳳), 은창(銀倉)
- 면소재지인 마장동을 비롯해서 면내의 상당수가 태천저수지로 인해 수몰되었다.
- 남면(南面)
- 관할 동 : 송우(松隅), 가덕(加德), 대흥(大興), 부흥(富興), 삼봉(三峰), 선암(仙巖), 신암(新巖), 용두(龍頭), 은곡(銀谷), 학림(鶴林)
- 동면(東面)
- 서면(西面)
- 관할 동 : 내하(來賀), 관봉(觀鳳), 대흥(垈興), 덕상(德上), 덕흥(德興), 신송(新松), 운룡(雲龍), 월봉(月峯), 임천(林泉), 청계(淸溪)
- 덕상저수지가 있다.
- 서성면(西城面)
- 관할 동 : 송귀(松貴), 강북(江北), 관룡(觀龍), 산성(山城), 송곡(松谷), 용상(龍祥)
- 1939년 서읍내면(西邑內面)에서 개칭됐다. 면 이름은 고구려 시대의 산성인 농오리산성(籠吾里山城)에서 유래한다. 팔원선 산성역이 위치한다.
- 원면(院面)
- 관할 동 : 안심(安心), 덕산(德山), 속흥(俗興), 송백(松栢), 신흥(新興), 원풍(院豊), 임광(林光)
- 장림면(長林面)
- 관할 동 : 환현(還峴), 마평(馬坪), 신상(新上), 운석(雲石), 장흥(長興), 진남(鎭南), 첩남(帖南), 취흥(取興), 태흥(泰興), 환하(還賀)
2.9. 영변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녕변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녕변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영변군 寧邊郡 Yeongbyeon County | }}} | |||
|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영변면 동부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읍 14면 | ||
| 면적 | 1,709.1km² | ||
| 인구 | 113,852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박창식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14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영변군 소개 | ||
영변산성 남문에서 바라본 영변읍내이다.
- 영변면(寧邊面)
- 고성면(古城面)
- 남송면(南松面)
- 관할 동: 천수(天水), 구두(龜頭), 마상(馬尙), 봉지(鳳至), 불무(佛舞), 사천(沙川), 입석(立石)
- 남신현면(南薪峴面)
- 관할 동: 도관(都館), 귀상(貴祥), 상구(上九), 상이(上耳), 상장(上長), 운룡(雲龍), 하구(下九), 하장(下長)
- 독산면(獨山面)
- 백령면(白嶺面)
- 관할 동: 대풍(大豊), 개화(開華), 상초(上草), 용연(龍淵), 우현(牛峴), 조산(造山), 중초(中草), 하초(下草)
- 백령대굴이라는 동굴이 위치한다.
- 봉산면(鳳山面)
- 관할 동: 고성(古城), 관하(館下), 구산(龜山), 망일(望日), 수유(水踰), 양지(陽地), 용흥(龍興), 조양(朝陽)
- 조선 초까지 무산현(무주)이 있던 곳이다.
- 북신현면(北薪峴面)[28]
- 소림면(少林面)
- 관할 동: 남등(南燈), 각추(角秋), 등산(燈山), 상추(上秋), 서위(西位), 용강(龍江), 용추(龍秋), 원등(元燈)
- 소림면에도 녕변 핵시설이 있다. 영변면에 있는 것과 별개의 것은 아니고 구룡강을 사이에 둔 채 지리적으로 이어져 있다.
- 연산면(延山面)
- 관할 동: 화연(花硯), 대성(大成), 문봉(文峰), 신천(新泉), 언무(偃武), 용연(龍淵), 입석(立石), 화천(花川)
- 조선 초까지 연산부(연주)가 있던 곳이다.
- 용산면(龍山面)
- 관할 동: 구장(球場), 노(蘆), 봉무(鳳舞), 소민(蘇民), 수구(水口), 신흥(新興), 요성(耀城), 용등(龍登), 용문(龍門), 용암(龍巖), 용연(龍淵), 용현(龍峴), 운봉(雲峯)
- 면소재지인 "구장(球場)"으로 잘 알려진 곳으로, 북한 행정구역상 구장군 소재지이다. 용등탄광과 용문탄광 등 평남 북부 탄전의 개발로 인한 탄광업의 성황으로 일제강점기 당시에는 군청 소재지인 영변면보다 크고 번화한 곳이었다. 6.25 전쟁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과의 구장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해 있어 '지하 금강'이라고 일컬어지는 동룡굴(蝀龍窟), 용문대굴(龍門大窟) 등 석회동굴이 많다.
- 만포선 구장역과 용암선 용암역(구 용등역)이 있다.
- 태평면(泰平面)
- 관할 동: 관하(館下), 관북(館北), 관상(館上), 상서(上西), 조산(造山), 하서(下西)
- 팔원면(八院面)
2.10. 자성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성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성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자성면 읍내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읍 6면 | ||
| 면적 | 887.40km² | ||
| 인구 | 50,939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전응건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6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자성군 소개 | ||
대한민국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으로는 평안북도 속해 있다. 세종대왕이 개척한 4군 중 3군(자성, 여연, 우예)에 해당되는 곳이다.
광복 당시 면적은 1,806㎢로, 6개 면으로 이루어졌다.
- 자성면(慈城面)
- 삼풍면(三豊面)
- 이평면(梨坪面)
- 자하면(慈下面)
- 관할 동 : 법(法), 서해(西海), 송암(松巖), 연풍(延豊)
- 자성군의 북부 국경지대(1).
- 장토면(長土面)
- 관할 동 : 토성(土城), 벌(伐), 장성(長城), 호상(湖上), 호서(湖西), 호하(湖下)
- 자성군의 북부 국경지대(2). 세종 때 우예군(虞芮)이 설치되었다.
- 중강면(中江面)
2.11. 운산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운산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운산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운산면 읍내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1읍 4면 | ||
| 면적 | 819.67km² | ||
| 인구 | 102,928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최웅이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5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운산군 소개 | ||
- 운산면(雲山面)
- 관할 동 : 읍내(邑內), 계림(桂林), 송현(松峴), 용연(龍淵), 용포(龍浦), 용흥(龍興), 입석상(立石上), 입석하(立石下), 제인상(諸仁上), 제인하(諸仁下), 조양(朝陽), 화옹(化翁)
- 군청 및 면소재지는 읍내동이다. 운산군의 읍면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해 있었다. 북한에서 구읍리라고 불리는 지역이다.
- 북진읍(北鎭邑)
- 동신면(東新面)
- 관할 동 : 이(利), 가(加), 마장(馬場), 성지(聖旨), 용호(龍湖), 이답(泥踏), 좌(佐)
- 용호동에 고구려고분이 있다.
- 성면(城面)
- 관할 동: 초하(草下), 고성상(古城上), 고성하(古城下), 남산상(南山上), 남산하(南山下), 연봉상(延峰上), 연봉하(延峰下), 응봉(鷹峰), 초상(草上)
- 위연면(委延面)
- 관할 동: 답하(畓下), 답상(畓上) 상원(上院), 엄상(嚴上), 엄하(嚴下), 용두(龍頭), 우간(牛間), 우상(牛上), 우중(牛中), 우하(牛下), 풍상(豊上), 풍중(豊中), 풍하(豊下)
- 면소재지인 답하동에는 온정온천이 있으며, 때문에 온정리(溫井里)라고 불린다. 북한 행정구역상 운산군 소재지.
2.12. 구성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성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성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구성군 龜城郡 Guseong County | }}} | |||
|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구성면 좌부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읍 10면 | ||
| 면적 | 652.5km² | ||
| 인구 | 196,515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김승욱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10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구성군 소개 | ||
광복 당시 면적 1,241㎢였으며 10개 면이 있었다.
- 구성면(龜城面)
- 관서면(館西面)
- 관할 동 : 소관(昭關), 대우(大牛), 북남송(北南松), 서고성(西古城), 송림(松林), 신풍(新豊), 어궁(御宮), 조악(造岳)
- 조악동에 삼성금광, 어궁동에 어궁금광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당시까지만 해도 금광으로 번영했던 지역이다.
- 노동면(蘆洞面)
- 관할 동 : 중방(中坊), 내양(內陽), 백석(白石), 상승(上勝), 운계(雲溪), 운흥(雲興), 청룡(靑龍), 풍산(豊山)
- 동산면(東山面)
- 방현면(方峴面)
- 사기면(沙器面)
- 관할 동 : 향산(香山), 구암(九巖), 독송(獨松), 석현(石峴), 송백(松栢), 신시(新市), 왕당(旺堂), 은봉(殷峰), 인곡(寅谷), 지경(地境), 화암(花巖)
- 서산면(西山面)
- 관할 동 : 입석(立石), 남평(南坪), 대성(大星), 신덕(新德), 염잠(廉岑), 옥인(玉仁), 평지(坪地)
- 오봉면(五峰面)
- 관할 동 : 양지(陽地), 남양(南陽), 내양(內陽), 봉덕(鳳德), 사기(士氣), 선모(仙帽), 엄교(嚴橋), 용연(龍淵), 인봉(仁鳳), 조양(朝陽)
- 이현면(梨峴面)
- 관할 동 : 원창(院倉), 길상(吉祥), 대안(大安), 마성(磨星), 용산(龍山), 진조(眞鳥), 택인(擇仁), 하단(下丹)
- 천마면(天摩面)
- 관할 동 : 탑(塔), 관(館), 노곡(蘆谷), 대성(大城), 동암(東巖), 송수(松水), 신두(新頭), 신음(新音), 안창(安倉), 연창(延昌)
- 북한 행정구역상 천마군 소재지.
2.13. 창성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창성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창성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창성면 임산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읍 5면 | ||
| 면적 | 620km² | ||
| 인구 | 26,577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강만순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5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창성군 소개 | ||
5면으로 구성되었다. 전체적으로 길쭉한 형태이며 북부의 창성면, 중부의 신창면, 남부의 동창면·대창면·청산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 중앙을 청북정맥이 관통하고 있으며 따라서 북부는 압록강 유역, 남부는 청천강 유역이 되고, 압록강 유역의 면들은 수풍댐 건설로 수몰되어 1개의 면으로 통폐합되었다. 철도는 전혀 지나지 않는다.
- 창성면(昌城面)
- 대창면(大倉面)
- 관할 동 : 봉룡(鳳龍), 고직(高直), 창서(倉西), 학성(鶴城)
- 동창면(東倉面)
- 관할 동 : 대유(大楡), 대(大), 두룡(頭龍), 이천(梨川)
- 어자령을 통해 운산군과 연결된다. 초산군과도 접하지만 산으로 막혀 있다.
- 면소재지인 대유동에는 1897년 프랑스인과 미국인에 의해 채굴된 대유동 금광이 있으며, 이 금광에서 노다지가 유래되었다. 6.25 전쟁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이 개입을 시작한 직후부터 유엔군을 삼팔선 이남으로 몰아낼 때까지 중국 인민지원군 총사령부가 있던 곳[36]으로 인민지원군으로 참전한 마오쩌둥의 장남 마오안잉도 이곳에서 미 공군의 네이팜탄 폭격을 맞아 전사했다. 대동에는 동창약수가 있다. 북한 행정구역상 동창군 읍소재지.
- 신창면(新倉面)
- 관할 동 : 화풍(和豊), 신안(新安), 연풍(鉛豊), 완풍(完豊), 회덕(檜德)
- 창성면과 남부 3면(동창면,대창면,청산면)을 잇는 길목이다.
- 청산면(靑山面)
- 관할 동 : 학송(鶴松), 금성(錦城), 봉명(鳳鳴), 상수양(上水陽), 양덕(陽德), 용두(龍頭), 용전(龍田), 율곡(栗谷), 청룡(靑龍), 학봉(鶴峰)
- 창성군의 최남단. 지경령을 통해 동쪽 운산군과 연결되며, 창성강 자락을 따라 태천군과 접한다.
2.14. 벽동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벽동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벽동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벽동면 이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읍 7면 | ||
| 면적 | 1,217.14km² | ||
| 인구 | 35,601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김 용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7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벽동군 소개 | ||
7면. 철도가 전혀 지나지 않는다.
- 벽동면(碧潼面)
- 관할 동 : 일(一), 동상(東上), 동하(東下), 상서(上西), 상평(上平), 이(二), 평내(平內), 평외(平外), 하서(下西), 하평(下平)
- 면사무소가 일동, 군청이 이동에 있었다. 벽동군의 중부 국경지대. 1940년 수풍댐 건설로 인해 읍내 주변이 수몰됐으며(읍내 시가지는 수몰을 면했다), 이와 동시에 대평면(大平面 : 상평동, 평내동, 평외동, 하평동)을 흡수하였다.
- 가별면(加別面)
- 관할 동 : 별하(別下), 가상(加上), 가중(加中), 가하(加下), 별상(別上)
- 벽동군의 남부 산악지대(3).
- 권회면(鸛會面)
- 관할 동 : 권하(鸛下), 권상(鸛上), 사상(社上), 사하(社下), 회상(會上), 회하(會下)
- 벽동군의 남부 산악지대(2). 고개 넘어 창성군과 연결된다.
- 성남면(城南面)
- 관할 동 : 남상(南上), 남중(南中), 남하(南下), 성상(城上), 성중(城中), 성하(城下)
- 벽동군의 남부 산악지대(1). 본래 성면(城面)과 남면(南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두 면을 합치면서 성남면으로 개칭되었다.
- 남상동에 김포 공씨 집성촌이 있으며 공병우 박사가 이 곳 출신이다.
- 송서면(松西面)
- 관할 동 : 송일(松一), 남(南), 송사(松四), 송삼(松三), 송이(松二), 연수(連水), 이서(二西)
- 벽동군의 서부 국경지대. 수몰된 북쪽 지역(옛 삼서동, 사서동, 오서동 일대)은 벽동군의 전신인 벽단(碧團) 고을이 있던 곳이며 통칭 '벽단'이라 불렸다. 1940년 수풍댐 건설로 창성군 창주면의 월경지가 된 연수동을 편입하였고, 송사동에 있던 면사무소를 송일동으로 이전하였다. 북한 행정구역상 벽동군 소재지.
- 오북면(吾北面)
- 관할 동 : 북하(北下), 북상(北上), 오상(吾上), 오하(吾下)
- 벽동군의 동부 국경지대. 오상동에 오북광산이 있다.
- 우시면(雩時面)
2.15. 후창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창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창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6. 삭주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삭주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삭주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삭주면 동부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1읍 7면 | ||
| 면적 | 1,151km² | ||
| 인구 | 159,707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김영화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8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삭주군 소개 | ||
- 삭주면(朔州面)
- 청수읍(靑水邑)
- 구곡면(九曲面)
- 남서면(南西面)
- 수동면(水東面)
- 관할 동 : 인풍(仁豊), 덕유(德楡), 봉현(鳳峴), 신상(新上), 안풍(安豊), 양부(兩富), 용성(龍城), 용흥(龍興), 이풍(梨豊)
- 원래 이름은 수풍면(水豊面)이었으나, 1944년 아래의 수풍면이 신설되면서 이름을 뺏기고(…) 개칭됐다.
- 수풍면(水豊面)
- 양산면(兩山面)
- 관할 동 : 원풍(院豊), 금풍(金豊), 답풍(畓風), 덕상(德上), 서흥(書興), 요대(料大), 용산(龍山), 용창(龍昌), 장토(庄土), 장하(庄下)
- 외남면(外南面)
2.17. 초산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초산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초산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초산면 성동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읍 9면 | ||
| 면적 | 2,327.63km² | ||
| 인구 | 43,614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김담태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9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초산군 소개 | ||
광복 당시 하위 행정구역은 9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초산면과 도원면을 제외하고는 면 이름이 모두 외자인 게 특징.[41] 지리적으로는 압록강 연안의 국경지대인 초산면, 충면천 수계의 남면과 동면, 그 아래에는 강면·풍면·고면, 최남단의 판면·송면·도원면이 위치한다.
- 초산면(楚山面)
- 관할 동 : 성서(城西), 모단(慕段), 사기덕(沙器德), 삼상(三上), 성동(城東), 수침(水砧), 안찬(安贊), 앙토(央土), 연무(蓮舞), 와인(瓦仁), 용암(龍巖), 운해천(雲海川), 직(直), 평강(坪江)
- 면사무소가 성서동, 군청이 성동동에 있었다. 와인동에서 10번 국도와 3번 국도가 만나며, 3번 국도의 종점이다. 시가지에서 초산천 건너편 벼랑에 1730년경 지어진 누각인 영호정(暎湖亭)이 있다.
- 1941년 수풍댐 건설로 수몰된 성서면(城西面: 삼상동, 안찬동, 연무동, 용암동)이 폐지되어 초산면으로 편입되었다. 이중 안찬동과 옹암동은 1938년 성서면 통합 이전 성면(통칭 아이진(阿耳鎭)), 삼상동과 연무동은 서면이었다.
- 강면(江面)
- 관할 동 : 동도(東島), 석상(石桑), 신풍(新豊), 용성(龍城), 풍덕(豊德)
- 고면(古面)
- 관할 동 : 부평(富坪), 구아(舊衙), 대수(大水), 문덕(文德), 소수(小水), 영풍(永豊), 월악(月岳)
- 고면과 풍면, 강면이 통합되어 고풍군이 되었다. 조선 초기 이산 고을의 읍치였으며 읍성 터도 여전히 남아있다. 북한 행정구역상 고풍군 소재지.
- 남면(南面)
- 관할 동 : 구평(龜坪), 부평(富坪), 송묘(松廟), 신막(新幕), 용상(龍上), 창평(倉坪), 충상(忠上), 충하(忠下)
- 도원면(桃源面)
- 관할 동 : 관대(館垈), 동창(東倉), 회목(檜木), 희창(熙倉)
- 동면(東面)
- 관할 동 : 구룡(龜龍), 건양(建陽), 신장송(新場松), 양덕(陽德), 화신(花薪), 화풍(化豊)
- 송면(松面)
- 판면(板面)
- 관할 동 : 판평(板坪), 부숭(富崇), 삼거(三巨), 판막(板幕), 판하(板下)
- 면소재지인 판평동을 비롯한 대부분 지역이 송원댐 건설로 인해 수몰된 상태다.
- 풍면(豊面)
- 관할 동 : 용암(龍巖), 용곡(龍谷), 용당(龍塘), 용연(龍淵), 용흥(龍興)
2.18. 위원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위원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위원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위원면 구읍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읍 7면 | ||
| 면적 | 1,234km² | ||
| 인구 | 60,245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이원호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7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위원군 소개 | ||
7면. 철도가 전혀 지나지 않는다.
- 위원면(渭原面)
- 관할 동 : 구읍(舊邑), 고성(古城), 낙민(樂民), 남파(南坡), 덕암(德巖), 도봉(刀峰), 만호(萬戶), 상소(上所), 성내(城內), 송상(松上), 송진(松榛), 월평(越坪)
- 면소재지와 군청이 구읍동에 있었다. 위원군의 중부 국경지대. 위원강이 이곳에서 압록강에 합류한다. 1922년에 밀산면(密山面)을 흡수하였다.
- 대덕면(大德面)
- 관할 동 : 독산(獨山), 광천(廣川), 도원(桃源), 독상(獨上), 어곡(漁谷), 축포(杻浦)
- 위원군의 동부 산악지대. 동쪽 끝 축포동에서 위원강이 발원한다.
- 봉하면(烽下面)
- 관할 동 : 고보(古堡), 개곡(開谷), 용봉(龍鳳), 향양(向陽), 호안(湖安)
- 위원군의 북부 국경지대. 독로강이 이곳에서 압록강과 합류한다.
- 서태면(西泰面)
- 관할 동 : 용문(龍門), 송계(松溪), 신천(新川), 연풍(蓮豊), 이산(梨山), 무현(武鉉), 인덕(仁德)
- 위원군의 서부 국경지대.
- 숭정면(崇正面)
- 관할 동 : 용연(龍淵), 백림(栢林), 부흥(復興), 삼기(三機), 삼락(三樂), 신명(新明), 지산(只山)
- 위원군의 남부 산악지대. 산세가 매우 험해서 교통이 불편하다. 위원강의 지류인 한백천이 이곳에서 발원한다.
- 위송면(渭松面)
- 관할 동 : 용탄(龍灘), 갑령(甲嶺), 개원(開元), 구암(鳩巖), 마평(麻坪), 석포(石浦), 신풍(新豊)
- 화창면(和昌面)
- 관할 동 : 대안(大安), 대야(大野), 문명(文明), 신흥(新興), 양강(兩江), 월현(月峴), 합천(合川)
2.19. 희천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희천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희천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희천읍 읍상동 | ||
| 상위 행정구역 | 평안북도 | ||
| 하위 행정구역 | 1읍 8면 | ||
| 면적 | 2,365.9km² | ||
| 인구 | 60,245명(2008년) | ||
| 인구밀도 | 미정/㎢(2008년) | ||
| 명예 군수 | 강영애 (제22대) | ||
| 명예 읍면장 | 9석 |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희천군 소개 | ||
- 희천읍(熙川邑)
- 관할 동 : 읍상(邑上), 가라지(加羅之), 역평(驛坪), 읍하(邑下)
- 읍소재지 및 군청소재지는 읍상동이다.
- 남면(南面)
- 관할 동 : 소요항(所要項), 부성(富城), 송곶지(宋串之), 원명(圓明)
- 동면(東面)
- 관할 동 : 갈현(葛峴), 어허천(魚許川), 청량(淸凉)
- 동창면(東倉面)
- 관할 동 : 창(倉), 백산(白山), 석포(石浦), 신죽(新竹), 아롱성(我弄城)
- 서면(西面)
- 관할 동 : 극성(克城), 상서(上西), 평원(平院)
- 신풍면(新豊面)
- 관할 동 : 서(西), 남(南), 동(東), 북(北)
- 청천강의 발원지.
- 장동면(長洞面)
- 관할 동 : 관(館), 생(生), 용평(龍坪), 원흥(元興)
- 동신군 신설 당시 동신군 소재지였던 곳으로 면소재지인 관동은 희천발전소 건설로 인해 수몰된 상태다.
- 진면(眞面)
- 관할 동 : 장평(長坪), 마선(馬船), 초(草), 행천(杏川)
[1] ~2019[2] 2019~[3] 과거 문헌을 인용해 9.63㎢이니 10.6㎢ 등으로 서술하는 오류가 여러 곳에서 반복되고 있는데, 위 지도의 축척과 대조해봐도 절대 그 수치가 나올 수 없다. 1941년 확장 이전의 수치를 무비판적으로 인용한 듯하다.[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서는 常盤洞으로 나오며, 유래를 감안하면 이 표기가 더 정확하다.[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서는 眞砂洞으로 표기한다.[6] 이외에 평안북도청 소재지를 근거로 하여 앵정이 신원리로 개칭된 것으로 여겨진다.[7]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8]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9] 한반도 본토 최서단. 위 지도에는 진곶동이 더 왼쪽에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 행정구역 범위로는 신흥동이 최서단 토지를 포함한다.[10] 다라니경을 새겨 기둥처럼 세운 돌구조물. 다른 하나는 해주시에 있다.[11] 바로 옆에 염전이 있다.[12]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13]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14] 현 동림읍은 철산군 참면(차련관)에 해당된다.[15] 여기와 같이 광복 직후 황해도 건준에 의해 시로 승격된 봉산군 사리원읍과 황주군 겸이포읍도 이북5도청에서는 각각 사리원시와 송림시로 인정하고 있다.[16]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17] 중국어 표기법에 의하면 메이지선이지만 明治線으로 오해될 소지가 있어 한국 한자음으로 적음.[18] 공귀리는 1949년 북한이 공인동의 일부를 분리하여 설정한 행정구역이다.[19] 해군 무기 어뢰(魚雷)와는 무관하다.[20]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21] 하지만 원래 고읍은 고덕면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후 일제 때 역사가 갈산면 지역으로 옮겨오면서 갈산면 지역을 '고읍'이라 부르게 되었다.[22] 현 운전읍은 박천군 양가면에 해당된다.[23] 위 지도에는 준한산(...)으로 되어있는데 凌과 浚을 헷갈린듯하다.[24]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25]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26]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27] 미국 백악관 前 관리는 "녕변 원자로의 핵방사능 오염 수준이 심각하며, 미국 기준이라면 당장 폐쇄해야 할 정도"라는 견해를 밝힌 적이 있다.# 또 핵폐기물이 마구 버려지고 있으며 인근 주민들이 기형아를 출산하고 평균수명이 짧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28] 1929년 영변 자동차 추락 사고가 발생했던 곳.[29] 면소재지인 노하동은 아니고 조금 떨어진 하행동이다.[30]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31]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32]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33] 구성시는 광복 당시 군이었으므로 이북 5도 기준에서는 구성의 시 승격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34]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35] 1939년에 남창면(南倉面)이 병합됐다.[36] 이후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평안남도 회창군으로 이동한다.[37]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38] 우면의 우(雩)는 '기우제 우'로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었고, 시면의 시(時)는 '때 시'로 시제를 지내던 곳이라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39]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40]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41] 초산면도 원래 군면(郡面)이었다가 1917년 개칭됐으며, 1941년 초산면에 편입돼 폐지된 성서면도 원래 성면(城面)과 서면(西面)이었다가 1938년에 통합됐다. 즉, 부군면 통폐합 이후 원래부터 두 글자 이상이었던 면은 도원면 하나뿐이다.[42] 현 송원읍은 희천군 북면 개고개동에 해당된다.[43]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44] 2019년까지 쓴 깃발이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신의주시|신의주시]]}}}{{{#!if external != "o"
[[신의주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신의주시?uuid=버전 uuid1|r44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신의주시?uuid=버전 uuid1#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신의주시?from=442|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신의주시|신의주시]]}}}{{{#!if external != "o"
[[신의주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신의주시?uuid=버전 uuid1|r44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신의주시?uuid=버전 uuid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신의주시?from=44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의주군|의주군]]}}}{{{#!if external != "o"
[[의주군]]}}}}}}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의주군?uuid=버전 uuid2|r190]]}}}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의주군?uuid=버전 uuid2#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의주군?from=190|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룡천군|룡천군]]}}}{{{#!if external != "o"
[[룡천군]]}}}}}}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룡천군?uuid=버전 uuid3|r125]]}}}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룡천군?uuid=버전 uuid3#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룡천군?from=125|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철산군|철산군]]}}}{{{#!if external != "o"
[[철산군]]}}}}}}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철산군?uuid=버전 uuid4|r89]]}}}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철산군?uuid=버전 uuid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철산군?from=89|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선천군|선천군]]}}}{{{#!if external != "o"
[[선천군]]}}}}}}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선천군?uuid=버전 uuid5|r100]]}}}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선천군?uuid=버전 uuid5#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선천군?from=100|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강계시|강계시]]}}}{{{#!if external != "o"
[[강계시]]}}}}}}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강계시?uuid=버전 uuid6|r264]]}}}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강계시?uuid=버전 uuid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강계시?from=264|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정주시|정주시]]}}}{{{#!if external != "o"
[[정주시]]}}}}}}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정주시?uuid=버전 uuid7|r187]]}}}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정주시?uuid=버전 uuid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정주시?from=187|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박천군|박천군]]}}}{{{#!if external != "o"
[[박천군]]}}}}}}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박천군?uuid=버전 uuid8|r51]]}}}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박천군?uuid=버전 uuid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박천군?from=51|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태천군|태천군]]}}}{{{#!if external != "o"
[[태천군]]}}}}}}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태천군?uuid=버전 uuid9|r59]]}}}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태천군?uuid=버전 uuid9#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태천군?from=59|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녕변군|녕변군]]}}}{{{#!if external != "o"
[[녕변군]]}}}}}}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녕변군?uuid=버전 uuid10|r272]]}}}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녕변군?uuid=버전 uuid1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녕변군?from=272|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자성군|자성군]]}}}{{{#!if external != "o"
[[자성군]]}}}}}}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자성군?uuid=버전 uuid11|r79]]}}}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자성군?uuid=버전 uuid1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자성군?from=79|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운산군|운산군]]}}}{{{#!if external != "o"
[[운산군]]}}}}}}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운산군?uuid=버전 uuid12|r126]]}}}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운산군?uuid=버전 uuid12#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운산군?from=126|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구성시|구성시]]}}}{{{#!if external != "o"
[[구성시]]}}}}}}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구성시?uuid=버전 uuid13|r102]]}}}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구성시?uuid=버전 uuid13#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구성시?from=102|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창성군|창성군]]}}}{{{#!if external != "o"
[[창성군]]}}}}}}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창성군?uuid=버전 uuid14|r68]]}}}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창성군?uuid=버전 uuid1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창성군?from=68|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벽동군|벽동군]]}}}{{{#!if external != "o"
[[벽동군]]}}}}}}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벽동군?uuid=버전 uuid15|r70]]}}}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벽동군?uuid=버전 uuid15#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벽동군?from=70|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삭주군|삭주군]]}}}{{{#!if external != "o"
[[삭주군]]}}}}}}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삭주군?uuid=버전 uuid16|r78]]}}}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삭주군?uuid=버전 uuid1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삭주군?from=78|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87|87]]}}}{{{#!if external != "o"
[[87]]}}}}}}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87?uuid=버전 uuid17|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87?uuid=버전 uuid1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87?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위원군|위원군]]}}}{{{#!if external != "o"
[[위원군]]}}}}}}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위원군?uuid=버전 uuid18|r39]]}}}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위원군?uuid=버전 uuid1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위원군?from=39|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희천시|희천시]]}}}{{{#!if external != "o"
[[희천시]]}}}}}}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희천시?uuid=버전 uuid19|r121]]}}}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희천시?uuid=버전 uuid19#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희천시?from=121|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