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0 21:20:06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d914b>
파일:평안남도 휘장(이북5도위원회)_wih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평안남도 평양시 휘장.svg
평양시
파일:진남포시 상징.png
진남포시
파일:평안남도 대동군 휘장.svg
대동군
파일:순천군 상징.png
순천군
파일:맹산군 상징.png
맹산군
파일:양덕군 상징.png
양덕군
파일:덕천군 상징.png
덕천군
파일:성천군 상징.png
성천군
강동군 파일:중화군 상징.png
중화군
파일:용강군 상징.png
용강군
파일:영원군 상징.png
영원군
파일:강서군 상징.png
강서군
파일:평원군 상징.png
평원군
파일:안주군 상징.png
안주군
파일:개천군 상징.png
개천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평양시 }}}}}}}}}

1. 시
1.1. 평양시1.2. 진남포시
2. 군
2.1. 대동군2.2. 순천군
2.2.1. 구 순천군 지역2.2.2. 구 은산군 지역2.2.3. 구 자산군 지역2.2.4. 구 개천군 지역
2.3. 맹산군2.4. 양덕군2.5. 덕천군2.6. 성천군2.7. 강동군2.8. 중화군
2.8.1. 구 중화군 지역2.8.2. 구 상원군 지역
2.9. 용강군
2.9.1. 구 용강군 지역2.9.2. 구 삼화부 지역
2.10. 영원군2.11. 강서군
2.11.1. 구 강서군 지역2.11.2. 구 증산군 지역2.11.3. 구 함종도호부 지역
2.12. 평원군
2.12.1. 구 영유군 지역2.12.2. 구 숙천군 지역2.12.3. 구 순안군 지역2.12.4. 구 평양부 지역2.12.5. 구 증산군 지역
2.13. 안주군2.14. 개천군

1.

1.1. 평양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평양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평양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평양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7474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7474A>
파일:평안남도 평양시 휘장.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기림동 경제리 신창리 아청리 진향리 박구리 육로리 기림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평양시 인민위원회|
시청
]]
남문동
남문동 욱동 [[평양시 인민위원회|
시청
]]
산수동
천동 대화동 수동 향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남산동 동동 남동 죽원동 행동 팔천대동 교구동 남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문수동 의암리 문수리 율리 외신리 불당리 장진리 오야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미산동 미산리 청암리 용흥리 감흥리 내리 오촌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5c6667> 사동 사동리 미림리 빈리 조왕리 토성리 석암리 정백리 신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상수동 경상리 창전리 상수리 설암리 앵동 본동 진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서성동 당산리 서성리 평천리 능라리 동대원리 인흥리 차관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선교동 봉수리 대타령리 서내리 구정리 선리 선교리 양각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수옥동 하수구리 장별리 계리 대찰리 순영리 이향리 수옥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신양동 경창리 신양리 상수구리 관후리 이문리 죽전리 염점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장지동 송신리 장지리 장천리 신동창리 구동창리 칠산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황금동 빈동 암동 서동 약송동 홍매동 황금동 유동 }}}
}}}}}}
평안남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평안남도 평양시 휘장.svg
평양시
平壤市
Pyeongyang City
}}}
<colbgcolor=#37474A><colcolor=#ffffff> 시청 소재지 산수동 ?번지
상위 행정구역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13[1]
면적 270.3㎢[2]
인구 341,654명[3]
인구 밀도 1,263.98명/㎢[4]
시장 [[관선|
관선
]]
고재혁 (제22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평양시_이북5도 행정구역도_일반.jpg파일:평양시_이북5도 행정구역도_흑백.jpg
행정구역도 법정동 정보 : 도시·지리 채널 - 아카라이브

대한민국에서 북한 지역 행정구역은 광복 당시에 건국준비위원회가 일본 잔재를 청산할 목적으로 조선총독부가 설정한 행정구역에서 약간 변경한 행정구역을 기초한 이북5도위원회 체제를 따른다. 그렇기 때문에 시내 지역에 일본인들이 붙인 일본식 지명이 많이 남았다. 일부 지명 옆에 적힌 일본어는 일본인들이 부르던 이름인데, 큰 도시 시가지에 붙은 일본식 지명은 일본인이 직접 지은 지명인지라 정말 일본 국내에서 쓰이는 경우와 똑같이 읽었으며 개중 훈독으로 읽는 지명이 많았다. 1946년에 미군이 만든 지도에서 왼쪽 아래에 있는 범례 칸에 한국식, 일본식 발음이 병기되어 있어 이것으로 일본식 발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본식 지명은 원래 '정'(町, 마치 또는 초)으이 붙은 지명이다. 예를 들면 산수동은 산수정(山手町, 야마테마치)였다.

광복 당시에 24동 67리로 구성되었으며, 시청 소재지는 산수동이었다. 평양에서 일본인 거주 지역을 '정'(町), 조선인 거주 지역을 '리(里)'로 구분했으며, 일제 당국이 리를 정으로 통일하려 하자 반대 의견이 크게 일기도 했다.# 특이하게 국내의 오래 된 도시들이라면 반드시 가지고 있는 '~가(街)', 일제강점기 정목()으로 끝나는 법정동이 하나도 없지만 대구부 행정(幸町)을 태평로1가로, 금정(錦町)1정목을 태평로2가로, 금정2정목을 태평로3가로 바꾸었듯이 정상적으로 평양을 차지했으면 달라졌을 수 있다.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모든 행정동에 월경지가 있다.

이들 법정동의 대부분은 북한 행정구역상 중구역에 몰려 있는 터라, 이들 지역은 중구(서울특별시)/행정 문서에서 하듯이 해당 위치에 무엇이 있는지를 설명하는 게 더 정확할 것이다.(광복 당시 없던 것은 기울여 표기) 평양은 6.25 전쟁으로 한 번 초토화 되고 군면리 대폐합 이후 행정구역이 여러 번 개편되었기 때문에 도로망을 포함한 도시 구조가 광복 당시와 달라져서 대조하기 어렵다.
  • 산수동(山手洞, [ruby(山手町, ruby=ヤマテマチ)]; 야마테마치) - 평안남도청 소재지, 시청 (해방당시 청) 소재지, 현 평양시 인민위원회 소재지다. '산수(山手)'는 '고지대'라는 뜻이다. 40m가 안 되는 언덕인 서기산(瑞氣山, 북한이 해방산으로 개명) 아래 동네여서 그렇게 이름붙였다. 여러 문헌들에서 평안남도청 소재지가 상수리로 되어 있는데, 산수동으로 옮겨갔다. 위 미군 제작 지도에서도 Provincial Office, 즉 도청이 29번(산수동)에 있으며, 1927년 신문기사에서 산수동의 일본인 주택에 불이 났는데 평남도청이 가깝다는 내용 등이 있다.
  • 항동(港洞, [ruby(港町, ruby=ミナトマチ)]; 미나토마치)
  • 수동(壽洞, [ruby(壽町, ruby=コトブキマチ)]; 코토부키마치)
  • 남문동(南門洞, [ruby(南門町, ruby=ナンモンチヤウ)]; 난몬초)
  • 대화동(大和洞, [ruby(大和町, ruby=ヤマトマチ)]; 야마토마치)
  • 욱동(旭洞, [ruby(旭町, ruby=アサヒマチ)]; 아사히마치)
  • 천동(泉洞, [ruby(泉町, ruby=イヅミチヤウ)]; 이즈미초)
  • 남산동(南山洞, [ruby(南山町, ruby=ナムザンマチ)]; 난잔마치) - 인민대학습당
  • 팔천대동(八千代洞, [ruby(八千代町, ruby=ヤチヨマチ)]; 야치요마치)
  • 행동(幸洞, [ruby(幸町, ruby=ミユキマチ)]; 미유키마치) - 위 지도의 한국어가 '행정'이 아닌 '향정'으로 적혀있다. 참고로 '미유키'는 幸의 일반적인 독음이 아니다.
  • 남동(南洞, [ruby(南町, ruby=ミナミマチ)]; 미나미마치) - 조지아백화점 평양점(당창건사적관으로 개조됨),풍경궁
  • 동동(東洞, [ruby(東町, ruby=ヒガシマチ)]; 히가시마치)
  • 죽원동(竹園洞, [ruby(竹園町; ruby=タケゾノチヤウ)]; 타케조노초)
  • 교구동(橋口洞, [ruby(橋口町, ruby=ハシグチマチ)]; 하시구치마치) - 위 지도에 한국어가 '교구정'이 아닌 '교정'으로 적혔다.
  • 홍매동(紅梅洞, [ruby(紅梅町, ruby=コウバイマチ)]; 코바이마치) - 평양역 소재지
  • 약송동(若松洞, [ruby(若松町, ruby=ワカマツチヤウ)]; 와카마츠초) - 위 지도에 한국어가 '약송정'이 아닌 '송정'으로 적혔다.
  • 서동(西洞) (니시마치)
  • 황금동(黃金洞, [ruby(黃金町, ruby=ワウゴムマチ)]; 오곤마치)
  • 암동(巖洞, [ruby(巖町, ruby=イハマチ)]; 이와마치) - 창광산(48.7m) 아래 동네다. 위 지도에 한국어가 '암정'이 아닌 '엄정'으로 잘못 적혔다.
  • 유동(柳洞, [ruby(柳町, ruby=ヤナギマチ)]; 야나기마치)
  • 빈동(濱洞, [ruby(濱町, ruby=ハママチ)]; 하마마치) - 위 지도에 한국어가 '빈정'이 아닌 '함정'(港町)에서 반달표가 빠진 '함종'으로 적혔다. 빈정은 광복 직전 대한민국내 시(당시는 )에 가장 많던 지명 중 하나였다. 심지어 포항시는 이를 분동하여 동빈1가, 동빈2가, 남빈동으로 남아있다.
  • 진동(賑洞, [ruby(賑町, ruby=にぎはひまち)]; 니기와이마치)
  • 본동(本洞, [ruby(本町, ruby=ホンマチ)]; 혼마치) - 미나카이 평양점
  • 앵동(櫻洞, [ruby(櫻町, ruby=サクラマチ)]; 사쿠라마치)
  • 상수리(上需里) - 만수대의사당
  • 설암리(薛巖里)
  • 창전리(倉田里) - 일명 '만수대'라는 언덕이 있다. 창전리 일대가 만수대이고, 상수리는 창전리 남쪽 동네로 만수대의 아랫단이다.
  • 경상리(慶上里)
  • 경제리(鏡齊里) - 옥류관
  • 신창리(新倉里)
  • 기림리(箕林里) - 기림운동장(김일성경기장으로 개칭됨)
  • 박구리(礡九里) -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전구리(塼九里)로 잘못 적혔다.
  • 아청리(衙廳里) - 김일성광장 소재지다. 위 지도에 한국어 발음은 '이위편리'라고 엉뚱하게 적혔지만 일본 발음은 '가쵸리'로 제대로 적혔다.
  • 육로리(陸路里) -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능로리(陵路里)로 잘못 기재되었으나, 당시 신문 기사를 보건대 육로리(路里)가 옳다.
  • 진향리(眞香里)
  • 수옥리(水玉里)
  • 순영리(巡營里)
  • 이향리(履鄕里)
  • 대찰리(大察里)
  • 하수구리(下水口里)
  • 장별리(將別里)
  • 계리(鷄里)
  • 관후리(舘後里)
  • 상수구리(上水口里)
  • 신양리(新陽里) - 보통문, 숭실학당·숭의여학교
  • 경창리(景昌里)
  • 죽전리(竹典里)
  • 염점리(鹽店里) - 감점리(監店里)로 잘못 기재되었다.
  • 이문리(里門里) - 대동문, 평양 종각, 연광정
  • 차관리(釵貫里)
  • 평천리(平川里)
  • 서성리(西城里)
  • 당산리(堂山里)
  • 인흥리(仁興里) - 대동군청 소재지
  • 능라리(綾羅里) - 능라도
  • 동대원리(東大院里)
  • 신리(新里)
  • 선교리(船橋里)
  • 양각리(羊角里) - 양각도
  • 구정리(九井里)
  • 서내리(西內里)
  • 봉수리(鳳岫里)
  • 대타령리(大駞嶺里)
  • 내리(內里)
  • 인흥리(仁興里)
  • 감흥리(坎興里)
  • 용흥리(龍興里)
  • 미산리(嵋山里)
  • 청암리(淸巖里)
  • 오촌리(鰲村里)
  • 의암리(衣巖里)
  • 문수리(紋繡里)
  • 율리(栗里)
  • 대신리(大新里)
  • 불당리(佛堂里)
  • 장진리(將進里)
  • 오야리(梧野里) - 조선방송협회 평양방송국
  • 정백리(貞柏里)
  • 석암리(石巖里)
  • 토성리(土城里)
  • 조왕리(助王里)
  • 사동리(寺洞里)
  • 빈리(蘋里)
  • 미림리(美林里)
  • 송신리(松新里)
  • 장지리(長池里)
  • 신동창리(新東倉里)
  • 장천리(將泉里)
  • 구동창리(舊東倉里)
  • 칠산리(七山里)

1.2. 진남포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남포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포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포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평안남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진남포시 상징.png
진남포시
鎭南浦市
Jinnampo City
}}}
<colbgcolor=#43221D><colcolor=#ffffff> 시청 소재지 욱동
상위 행정구역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7[5]
면적 41.3㎢[6]
인구 77,106명[7]
인구 밀도 ?명/㎢
시장 [[관선|
관선
]]
이종섭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진남포시기.png

파일:진남포시.jpg
▲ 이 지도는 1938년과 1945년의 (진)남포시 확장이 반영되지 않은 지도다. 참조 용강군 문서에 실려있는 지도도 마찬가지.

대한민국에서 광복 당시의 명칭인 진남포시를 그대로 존치하고 있다.

鎭南浦市 / Jinnampo City
국가 대한민국
면적 41.3㎢[8]
행정구역 7동 21리[9]
시간대 UTC+9:00

1938년 용강군 대대면 마사·유사·대두리를 편입하였고, 광복 직전인 1945년 4월에 대대면 어호·해산·고정·영곡리, 양곡면 문애·천교·초유리, 오신면 한학·도학리, 다미면 지울리를 편입하였다.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행정동 법정동·리
대두동 대두리(大頭里)·문애리(文艾里)·어호리(魚湖里)·영곡리(靈谷里)·유사리(柳沙里)·천교리(泉橋里)
도학동 도학리(島鶴里)·지울리(智蔚里)·초유리(抄鍮里)·한학리(寒鶴里)
비석동 비석리(碑石里)·용정리(龍井里)·후포리(後浦里)
신흥동 마산리(馬山里)·신흥리(新興里)·지산리(芝山里)
억량기동 고정리(高井里)·마사리(麻沙里)·억량기리(億兩機里)·해산리(海山里)
원동 명협동(明峽洞)·욱동(旭洞)·원동(元洞)·월견동(月見洞)
항동 삼화동(三和洞)·한두리(漢頭里)·항동(港洞)

1945년 4월 편입된 영곡리 앞바다의 와우도(臥牛島)[10]와 사염진도(獅鹽津島)는 현재 완전히 육지화되었다.

2.

2.1. 대동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대동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동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동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평안남도 대동군 군기.svg

파일:대동군.jpg

군청소재지는 평양시 인흥리에 있다. 면적 949.39㎢. 평양시를 도넛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통합 이전 청원군과 비슷한 사례. 통일이 되면 대부분의 지역이 평양시의 구 지역으로 재편성되거나, 평양이 광역시로 승격된다면 일부 지역은 평양시의 자치구로 편입되고 나머지 지역이 평양광역시 대동군이 될 가능성이 높다.

북한 기준으로 원래의 대동군 서부의 김제면, 남형제산면 일부, 대보면 극히 일부, 재경리면 일부 지역만 대동군으로 남고,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평양시에 편입돼 평양 교외 지역의 여러 구역들로 편제되었고, 대보면 대부분 지역과 용악면 북부, 청룡면 남강 이북 지역 등 일부는 강서구역, 천리마구역, 평성시, 승호군 등 평양시 주변 행정구역으로 편입되었다.
  • 고평면(古平面)
    • 관할 리: 광탄(廣灘), 금천(金泉), 남(南), 내(內), 망일(望日), 상단(上端), 송산(松山), 서송(西松), 시산(匙山), 신흥(新興), 일화(日和), 장광(長光), 중단(中端), 차(車), 추자(楸子), 하단(下端)
    • 1914년 고순화면(古順和面)과 평천면(平川面)을 병합하여 형성되었으며, 이름대로 평천면이었던 평천리(평양역 서편) 또한 원래 고평면 관할이었으나 이후 평양부에 편입됐다. 남리는 조선 초까지 순화현(순안현의 전신)의 읍치가 있던 곳으로[11], 김일성의 고향집으로 성지화된 만경대고향집이 있다. 현재는 거의 도시화되었고,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만경대구역이 되었다. 철도역으로는 평남선 대평역이 있다.
    • 상단·중단·하단리는 하중도(河中島)인 두로도(豆老島)다.
    • 면소재지이자 평남선 대평역이 있는 광탄리 일대는 통칭 '대평'이라 불리는데, 정작 원래 대평이라 불리던 곳은 아래 대보면에 있는 대평내리, 대평외리 일대였다.
  • 김제면(金祭面)
    • 관할 리: 원장(院場), 가정(加井), 노하(路下), 맥산(麥山), 목당(木堂), 부창(孚暢), 산수(山水), 상지(上池), 외제(外祭), 위전(偉磚), 은적(隱跡), 이인(里仁), 정(井), 학림(鶴林), 황각(黃角)
    • 1914년 금려대면(김려대면, 金呂垈面)과 서제산면(西祭山面)을 병합하여 형성되었으며 북한 기준으로 대동군 중부에 해당된다. 원장리는 1961년 이후 현재까지 북한 대동군 군소재지(대동읍)이다.
  • 남관면(南串面)
    • 관할 리: 원암(猿巖), 각금(覺今), 간(間), 남정(南井), 노남(魯南), 대송(大松), 대이도(大耳島), 두단(斗段), 문발(文發), 벽지도(碧只島), 보성(甫城), 석사(石寺), 소이도(小耳島), 이신(鯉新), 용포(龍浦), 월내(月內), 유사(柳寺), 애포(艾浦), 장매(長梅), 조왕(助王), 평호(坪湖), 효남(孝南), 황룡(黃龍)
    • 1914년 남제산면(南祭山面)과 돌곶면(돌관면, 乭串面)을 병합하여 형성되었으며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락랑구역에 해당된다.
  • 남형제산면(南兄弟山面)
    • 관할 리: 내(內), 고산(孤山), 고천(古泉), 남교(南橋), 노포(蘆浦), 당촌(棠村), 마흘(麻屹), 모로(慕魯), 사(寺), 사포(沙浦), 승침(承沉), 시류(柴柳), 시정(柴井), 와우(臥牛), 이계(二溪), 작산(鵲山), 장산(長山), 적갈(摘葛), 천남(川南), 하당(下堂), 학교(鶴橋)
    •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형제산구역 남부 및 대동군 동부에 해당된다. 시정리는 1959년부터 1961년까지 2년간 북한 대동군청 소재지(대동읍)였으며, 이후 시정로동자구로 개편되었다. 철도는 시정선 시정역이 있다.
    • 이름대로 대형제산(또는 형산(兄山), 143m)과 소형제산(또는 제산(弟山), 127m), 승룡산(132m) 등 낮은 산들이 솟아있다.
  • 대보면(大寶面)
    • 관할 리: 대평외(大平外), 대평내(大平內), 문현(文峴), 반천(反川), 서기(西綺), 안정(安靜), 용담(龍潭), 용인(龍仁), 팔청(八淸)
    • 북한 기준으로 강서구역 동부와 천리마구역 북부에 해당된다. 한국지리를 배운다면 많이 듣게 될 대보조산운동의 '대보'가 바로 이곳으로,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지리학자가 이곳의 대보 탄전에서 단층을 발견한 것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고평면과의 경계에 대보산(372m)이 있으며, 대보산 북쪽의 발봉(發峰) 일대에는 전술된 대보 탄전이 있어 일제강점기에 미쓰비시에 의해 탄갱으로 개발되었다.
    • 원래는 이곳의 면소재지인 대평외리, 대평내리 일대가 '대평'이라 불렸으나, 이름과는 달리 평남선 대평역이 위의 고평면 광탄리에 들어서면서 그 쪽이 통칭 '대평'으로 옮겨 불리게 되었다.
  • 부산면(斧山面)
    • 관할 리: 남궁(南宮), 대양(大陽), 범사(凡沙), 삼봉(三峰), 상일(上一), 서산(西山), 서양(西陽), 수산(壽山), 신미(新美), 신안(新安), 신흥(新興), 용궁(龍宮), 용성(龍城), 중(中), 중이(中二), 하삼(下三), 학산(鶴山), 화곡(花谷)
    •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룡성구역 중부와 형제산구역 북부에 해당하며 거의 도시화된 상태다. 고려 인종 때 지은 대화궁의 터가 남아있다 관내에 평라선 중이역룡성선 룡성역이 있다. 또한 이곳 대화궁 부근이기도 한 남궁리 일대[12]에서는 거란의 2차 침입 당시 탁사정법언이 서경에서 요격하여 이곳에서 거란군 3,000 정도를 살해한 전과를 세운 곳이기도 하다.
    • 면의 이름은 이 곳에 있었던 역참(역원)인 '부산원(斧山院)'에서 따왔다.
  • 시족면(柴足面)
    • 관할 리: 노산(魯山), 건지(乾芝), 남경(南京), 내(內), 대천(大泉), 삼산(三山), 삼석(三石), 석삼(石三), 성문(聖文), 성산(聖山), 송학(松鶴), 송화(松花), 연화(蓮花), 지산(芝山), 철봉(鐵峰), 청운(靑雲), 토포(土浦), 호남(湖南)
    •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룡성구역 동부와 삼석구역에 해당된다.
  • 용산면(龍山面)
    • 관할 리: 전촌(全村), 구촌(龜村), 상(上), 상구로(上九老), 소룡(小龍), 오류(五柳), 용봉(龍峰), 용악(龍岳), 원로(元魯), 조전(趙全), 초담(草潭), 하(下), 하구로(下九老)
    • 평양의 금강산이라는 용악산(292 m)이 있고, 용악산을 중심으로 용곡서원, 법문사, 용악사 등 사찰과 서원이 분포한다. 현재는 거의 도시화되어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만경대구역에 편입되었다. 평남선 칠골역(구 조촌역)이 있다.
  • 용악면(龍岳面)
    • 관할 리: 동북(東北), 동남(東南), 마산(馬山), 상(上), 상차(上次), 서(西), 원(元), 하(下), 하차(下次)
    •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룡성구역 북부와 은정구역에 해당된다. 최북단 청룡산 일대는 평안남도 평성시에 편입되었다.
    • 평라선 동북리역배산점역이 있다.
  • 용연면(龍淵面)
    • 관할 리: 검포(檢浦), 가작(加鵲), 냉정(冷井), 당정(堂井), 도제(道濟), 산음(山陰), 삼정(三井), 소(巢), 소신(小新), 양지(陽池), 유(柳), 지양(池陽), 천(泉), 파장(坡長), 한정(寒井), 향목(香木)
    • 면소재지인 검포리는 통칭 '역포(力浦)'라 불렸다.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력포구역 서부와 락랑구역 남동부에 해당된다.
    • 경의선 역포역이 있다.
  • 율리면(栗里面)
    • 관할 리: 무진(戊辰), 남당(藍塘), 답현(畓峴), 대중(大中), 석정(石井), 원북(院北), 유신(柳新), 은송(隱松), 조촌(趙村), 중(中), 추빈(楸斌), 한간(鷳間), 현교(絃橋)
    •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력포구역 동부와 사동구역 서부에 해당된다.
  • 임원면(林原面)
    • 관할 리: 노성(魯聖), 고산(高山), 기암(奇巖), 남사(南四), 동포(東浦), 북사(北四), 상동(上東), 상오(上五), 서룡(西龍), 송암(松巖), 양암(陽巖), 와산(臥山), 운월(雲月), 청계(淸溪), 청호(淸湖), 화성(和盛)
    • 대성산(274 m) 아래 고구려대성산성안학궁 터가 있으며,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대성구역, 룡성구역 남부, 화성구역에 해당된다. 철도로는 경의선평라선이 지나가며 서포역이 있다.
    • 남쪽의 남사리 일대에 있는 고방산(高坊山)은 일제강점기에 탄갱으로 개발되었다.
    • 면의 이름은 이 곳 인근에 있었던 역참(역원)인 '임원역(林原驛)'에서 따왔다.
  • 재경리면(在京里面)
    • 관할 리: 빙장(氷庄), 간(間), 갈산(葛山), 다원(茶院), 망덕(望德), 사당(社堂), 송림(松林), 신중(新中), 오금(梧琴), 중석화(中石花), 천(泉), 천동(川東), 천서(川西), 판교(板橋), 하석화(下石花), 현암(玄巖)
    • 작가 황순원의 고향이다.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순안구역 남부 및 대동군 북부에 해당된다 철도는 경의선평라선 간리역이 있다.
  • 청룡면(靑龍面)
    • 관할 리: 이현(梨峴), 기림(岐林), 내도(萊島), 대수(大水), 대오류(大五柳), 대원(大圓), 모운(茅雲), 법수(法水), 사도(泗島), 산사(山寺), 삼합(三合), 소오류(小五柳), 양지(陽池), 양합(兩合), 이목(梨木), 이천(梨川), 지탄(芝灘), 추미(楸美), 회(晦)
    •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사동구역 동부에 해당된다 철도는 명당선 이현역과 대원역이 있다. 이천리 등 남강 이북지역은 승호군에 편입되었다. 대동군에서 편입되었다.
  • 대동강면(大同江面)
    • 면소재지는 평양부에 편입된 선교리였다. 1938년 면을 폐지하고 능라리·동대원리·불당리·석암리·선교리·신리·양각리·오야리·오촌리·율리·의암리·장진리·정백리·조왕리·토성리를 평양부에, 원북리·칠산리·현교리를 율리면에, 삼정리·소신리를 용연면에, 두단리를 남관면에 편입시켰다. 해방 당시 평양시 대동강 동부 및 남부 지역에 해당되며,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대동강구역, 동대원구역, 선교구역, 락랑구역 북부 일부, 력포구역 북부 일부에 해당된다.
  • 서천면(西川面)
    • 면소재지는 남형제산면에 편입된 하당리였다. 위 지도에는 서천면이 나와 있지만 실제로는 1938년 면을 폐지하고 내리·상흥리·인흥리를 평양부에, 남교리·이계리·천남리·하당리를 남형제산면에, 동포리·상동리·서룡리를 임원면에, 삼봉리를 부산면에 편입시켰다. 해방 당시 평양시 서평양역 일대 및 남형제산면 동남부, 부산면 남부, 임원면 서부에 해당되며,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형제산구역 남부에 해당된다.
  • 추을미면(秋乙美面)
    • 면소재지는 평양부에 편입된 미림리였다. 1940년 초에 미림리·빈리·사동리·신리가 평양부에 편입되어 법수리·이목리·이천리의 3개리로 편제되었고, 1947년에는 면 전체가 중화군 청룡면[13]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보다시피 실제로 면이 폐지된 것은 해방 이후이지만 이북 5도 행정구역상으로는 폐지된 것으로 나와 있다.[14] 해방 당시 평양시 사동, 미림동(미림역) 일대에 해당되며, 북한 기준으로 평양시 사동구역 서부에 해당된다.

2.2. 순천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북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천시(북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천시(북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6070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60705>
파일:순천군 상징.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순천읍
선소면 신창면 북창면 은산면
자산면 사인면 후탄면 내남면
}}}}}}}}} ||


파일:순천군기.png

파일:순천군.jpg

1읍 8면을 관할했다.

2.2.1. 구 순천군 지역

  • 순천읍(順川面)
    • 관할 리 : 관상(館上), 강포(江浦), 관하(館下), 마상(馬上), 상(上), 서변(西邊), 성암(城巖), 송포(松浦), 용소(龍沼), 원별(元別), 운봉(雲峰), 전산(錢山), 중(中), 창(倉), 초송(初松), 추(楸), 평(坪), 하(下)
    • 읍사무소 및 군청소재지는 관상리. 원래 군내면(郡內面)이었으나 1917년 순천면으로 개칭되었고, 1929년 오운면(梧雲面)을 흡수하였다. 1936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순천 시가지의 대동강(정융강) 서쪽.
    • 평라선 순천역이 있다.
  • 선소면(仙沼面)
    • 관할 리 : 연당(蓮塘), 간동(間洞), 남포(藍浦), 답동(畓洞), 도흥(桃興), 동림(東林), 모학(慕鶴), 용암(龍巖), 오천(梧泉), 장평(長坪), 증산(甑山)
    • 1914년 소상면(沼上面), 소하면(沼下面), 선원면(仙院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이 중 선원면(도흥리·모학리·장평리)은 구 은산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순천 시가지의 대동강(정융강) 동쪽. 북한 치하에서 순천 시가지의 확장으로 거의 도시화됐다. 철도는 평라선대건선, 모학선이 지나가며 신연포역(구 봉하역), 대건역, 모학역이 있다.
  • 신창면(新倉面)
    • 관할 리 : 신창(新倉), 구정(九井), 귀천(貴泉), 마동(馬洞), 망일(望日), 삼중(三中), 수원(水源), 숭덕(崇德), 숭산(崇山), 신사(新四), 신삼(新三), 신이(新二), 연합(延合), 영대(靈坮), 용승(龍昇), 용암(龍巖), 용화(龍化), 용흥(龍興), 유상(柳上), 원창(院倉), 월포(月浦), 은천(隱泉), 재동(梓洞), 청계(淸溪)
    • 1929년에 구 은산군 지역이었던 용화면(龍化面)을 흡수하였고, 1935년에는 밀전면(密田面)을 흡수하였다. 숭산리·연합리·용승리·용암리·용화리는 구 용화면, 구정리·영대리·원창리·월포리·유상리·은천리·재동리는 구 밀전면에 해당한다. 북한 행정구역상 1952년부터 1954년까지 2년간 은산군 소재지였다.
    • 철도로는 평라선평덕선 신창역수덕역, 원창역이 있다.

2.2.2.은산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은산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은산군은 1908년 순천군에 흡수되었다. 이외에도 선소면(도흥리·모학리·장평리), 신창면(숭산리·연합리·용승리·용암리·용화리)가 구 은산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 북창면(北倉面)
    • 관할 리 : 북창(北倉), 구상(舊上), 부윤(富潤), 오상(鰲上), 용악(龍岳), 용하(龍下), 인산(仁山), 중상(中上), 중하(中下), 중흥(中興), 한령(汗嶺)
    • 철도는 산업철도인 대건선직동선 초평역 용악역 부산리역 직동역이 있다.
  • 은산면(殷山面)
    • 관할 리 : 은산(殷山), 금창(錦窓), 남옥(南玉), 마산(馬山), 명덕(明德), 모성(慕聖), 문창(文昌), 서남(西南), 석교(石橋), 송현(松峴), 숭화(崇化), 안평(安平), 원정(元井), 이화(伊華), 인상(仁上), 임강(臨江), 정산(丁山), 진산(鎭山), 창흥(昌興), 천성(天聖), 추평(楸坪), 태평(泰坪), 학천(鶴泉)
    • 1929년 제현면(濟賢面)을 흡수하였다. 북한 행정구역상 은산군 소재지.
    • 평라선 은산역이 있다.

2.2.3. 구 자산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자산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자산군은 1908년 순천군에 흡수되었다.
  • 사인면(舍人面)
    • 관할 리 : 사인(舍人), 군신(君臣), 덕산(德山), 반송(盤松), 봉학(鳳鶴), 사창(社倉), 삼화(三花), 석우(石隅), 송령(松嶺), 안국(安國), 옥전(玉田), 청옥(靑玉)
    • 원래 인곡면(麟谷面)이었나 1929년 사인면으로 개칭되었다.
    • 북한 행정구역 상 평성시 소재지이며 평라선 평성역(구 사인장역)과 봉학역이 있다.
  • 자산면(慈山面)
    • 관할 리 : 자산(慈山), 고읍(古邑), 기탄(岐灘), 덕반(德盤), 백전(栢田), 부용(芙蓉), 생지(栍池), 성남(城南), 송림(松林), 신암(新巖), 신평(申坪), 신풍(新豊), 용문(龍文), 용암(龍巖), 용연(龍淵), 운곡(雲谷), 운흥(雲興), 융덕(隆德), 인풍(仁豊), 자로(慈老), 중평(中坪), 제일(第一), 청룡(靑龍), 청송(靑松), 풍덕(豊德), 향봉(香峰)
    • 1935년 풍산면(豊山面)을 흡수하였다.
    • 평라선 자산역이 있다.
  • 후탄면(厚灘面)
    • 관할 리 : 후탄(厚灘), 고삼(庫三), 득룡(得龍), 반룡(盤龍), 석정(石井), 양포(兩浦), 오탄(五灘), 용흥(龍興), 월탄(月灘), 입석(立石), 학림(鶴林), 합포(合浦), 현룡(見龍), 화오(和五)
    • 사인면과 마찬가지로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성시에 속해 있다.

2.2.4. 구 개천군 지역

아래 지역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개천군에서 편입한 곳이다.
  • 내남면(內南面)
    • 관할 리 : 중평(中坪), 각암(閣巖), 금곡(金谷), 금평(金坪), 매남(梅南), 사평(沙坪), 신(新), 용천(龍泉), 원봉(元峰), 지상(支上), 지하(支下)
    • 만포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중평역각암역이 있다.

2.3. 맹산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맹산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맹산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맹산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평안남도미수복지역(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맹산군 상징.png
맹산군
孟山郡
Maengsan County
}}}
파일:맹산군.jpg
<colbgcolor=#008c44><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맹산면 수정리
광역자치단체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8 85
면적 1,101㎢
인구 50,136명[15]
인구밀도 45.54명/㎢
명예읍·면장 8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맹산군 소개
파일:맹산군기.png

(광복 당시 8면)
  • 맹산면(孟山面)
    • 관할 리 : 수정(水晶), 다흥(多興), 당포(堂浦), 동매(東梅), 문로(文蘆), 상창(上倉), 송계(松溪), 학무(鶴舞), 향내(香內), 홍문(紅門), 화(花)
    • 면소재지 및 군청소재지는 수정리. 원래 군내면(郡內面)이었으나 1914년 내남면을 편입하고 1917년에 개칭되었다.
    • 당포리 미륵산(彌勒山)에 위치한 향교림(鄕校林)은 한반도 내 희귀종인 맹산의만주흑송수림이 면적 2.2㎢의 일대 숲을 이루고 있다. 300여 년 전에 옮겨심었다고 하며 만주흑송수림은 한반도에서는 이곳에만 있다고 한다. 향교림은 1962년 천연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었으나, 미수복지구인 탓에 지정과 동시에 해제되었다. 북한에서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 동면(東面)
    • 관할 리 : 노전(蘆田), 대흥(大興), 방평(芳坪), 소요(逍遙), 송수(松水), 신중(新中), 평지(坪地)
    • 면 북쪽에 함경남도 영흥군땅거스러미(횡천면 중흥리)가 있으며, 북한 행정구역상 맹산군에 편입됐다.
  • 봉인면(封仁面)
    • 관할 리 : 가창(假倉), 남양(南陽), 남천(南泉), 덕상(德上), 덕중(德中), 송남(松南), 안하(安下), 유내(柳內), 은천(銀泉), 정광(正廣), 청수(淸水), 팔봉(八峰)
    • 본래 순천군 뇌봉면(雷封面)과 인화면(仁化面) 지역으로 1908년 맹산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봉인면으로 병합되었다. 평덕선 송남역가창역이 있다.
    • 옥천면과 서로 빠르게 오가려면 덕천군 잠도면을 거쳐야 한다.
  • 애전면(藹田面)
    • 관할 리 : 창(倉), 광(廣), 맹주(孟州), 문곡(文谷), 성제(城濟), 영운(嶺雲), 초평(草坪), 풍림(豊林), 함온(咸溫)
    • 면 남동쪽 풍림리에는 명승지인 두미산(頭尾山)이 있다.
  • 옥천면(玉泉面)
    • 관할 리 : 북창(北倉), 남양(南陽), 매현(梅峴), 삼(三), 송사(松寺), 수(水), 신석(新石), 안학(安鶴), 연(蓮), 용덕(龍德), 용하(龍下), 잉포(芿浦), 회안(檜安)
    • 본래 순천군 옥정면(玉井面)과 광천면(廣泉面) 지역으로 1908년 맹산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옥천면으로 병합되었다.
    • 북한 행정구역상 북창군 옛 소재지. 북창군 현 소재지는 이웃한 덕천군 잠도면 대평리다. 철도는 평덕선 북창역옥천역 구현역, 회안역 잉포선 잉포역이 있다.
  • 원남면(元南面)
    • 관할 리 : 향평(香坪), 기양(岐陽), 남흥(南興), 달천(達泉), 문와(文瓦), 상계(上界), 수남(水南), 시억(柴億), 신계(新界), 인안(仁安), 정인(貞仁), 주포(朱浦), 중추(中楸), 행산(杏山)
  • 지덕면(智德面)
    • 관할 리 : 용덕(龍德), 덕화(德化), 두암(頭巖), 상화(上和), 송암(松巖), 송흥(松興), 양성(陽城), 와요(臥堯), 용산(龍山), 학포(鶴浦), 효(孝)
    • 1914년 지성면(智成面)과 덕림면(德林面)이 병합되어 신설되었다.
  • 학천면(鶴泉面)
    • 관할 리 : 소창(召倉), 가(加), 고상(古上), 고하(古下), 소하(召下), 오봉(五峰), 원정(遠井), 함박(咸朴)
    • 본래 순천군 소속으로 1908년 순천군에서 편입하였다. 남쪽 끝 산골짜기에 있다.

2.4. 양덕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양덕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덕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덕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양덕군기.png

파일:양덕군.jpg

광복 당시 1읍 6면. 이후 7면.
  • 양덕읍(陽德邑)
    • 관할 리 : 용계(龍溪), 봉계(鳳溪), 세동(細洞), 수덕(樹德), 용흥(龍興), 운니(雲泥), 인평(仁平), 지수(智水), 창(倉), 청송(靑松), 태평(太平), 풍전(豊田)
    • 군청 및 읍소재지는 용계리이며, 면적 322.2㎢로 이북 5도 행정구역상 전국에서 두번째로 넓은 읍이다.[16] 원래 구룡면(九龍面)이었으나 1929년 낙천면(洛川面)을 흡수하면서 군청소재지가 되었고 1941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리하여 '신읍(新邑)'이라고 한다. 양덕온천이 있다.
  • 대륜면(大倫面)
    • 관할 리 : 사기(士基), 공진(孔眞), 괘송(掛松), 구룡(九龍), 수주(水注), 인흥(仁興), 통동(通洞)
    • 아호비령을 통해 함경남도 문천군와 통하는 지역이다.
  • 동양면(東陽面)
    • 관할 리 : 하석(下石), 상석(上石), 성북(城北), 수암(水巖), 신흥(新興), 용산(龍山), 지경(地境), 흘평(屹坪)
    • 원래 군내면(郡內面)이었다가 1917년 양덕면으로 개칭되고, 1921년 군청이 구룡면(양덕읍)으로 이전하면서 다시 동양면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군청이 4차례나 바뀌다가 1929년에 구룡면(현 양덕읍)으로 정착하였다. 이리하여 '구읍(舊邑)'이라고 한다.
  • 쌍룡면(雙龍面)
    • 관할 리 : 평창(平倉), 관봉(冠峰), 반성(盤城), 북창(北倉), 용반(龍盤), 용봉(龍峰), 용전(龍田), 정옥(丁玉), 중(仲), 화락(化樂)
    • 1929년 상룡면(上龍面)과 하룡면(下龍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신양군 옛 소재지. 신양군 현 소재지는 이웃한 성천군 대구면에 해당된다.
  • 오강면(吳江面)
    • 관할 리 : 창(倉), 등암(鄧巖), 봉암(鳳巖), 신봉(新峰), 신흥(新興), 쌍룡(雙龍), 연봉(蓮峰), 용담(龍潭), 월명(月明)
  • 온천면(溫泉面)
    • 관할 리 : 온정(溫井), 거차(巨次), 상국(上菊), 상신(上信), 상청(上淸), 은우(隱牛), 일양(日陽), 진석(眞石), 창(倉), 평암(平巖), 하국(下菊), 하청(河淸)
    • 거차령을 통해 고원군과 이어진다. '온천'면이라는 이름답게 석탕온천이 있으며 이 자리에 김정은이 양덕온천문화휴양지를 세웠다.
  • 화촌면(化村面)
    • 관할 리 : 백석(白石), 문암(文巖), 문흥(文興), 쌍평(雙坪), 여의(如意), 용흥(龍興), 장성(長星), 창개(昌介), 평곡(平谷), 풍계(楓溪), 화암(花巖)

2.5. 덕천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덕천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덕천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덕천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덕천군기.png

파일:덕천군.jpg

성양면과 풍덕면은 북한에서 영원군과의 사이에 인공호수인 금성호(金城湖)를 건설해서 수몰된 곳이 많다.

잠도면 전지역과 잠상면 상당 지역은 북한에서 북창군득장지구로 편입시켰다.
  • 덕천면(德川面)
    • 관할 리 : 읍북(邑北), 덕동(德洞), 무릉(武陵), 산양(山陽), 안동(安洞), 운송(雲松), 읍남(邑南), 읍동(邑東), 장안(長安), 제남(濟南), 청룡(靑龍), 향원(鄕元)
    • 원래 군무면(郡武面)[17]이었으나 1917년에 개칭되었다. 1935년 덕안면(德安面) 덕동리·안동리·향원리를 편입했다. 덕안면은 덕천면과 일하면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덕천면 서쪽에 해발 404m의 '승리산'이 고고학적으로 중요한데, 원래 이름은 신산(申山)으로 김일성이 자칭 조국해방전쟁의 승리를 기념한답시고 멋대로 이름을 바꾸었다.
  • 성양면(城陽面)
    • 관할 리 : 수하(水下), 금성(金城), 남상(南上), 남중(南中), 남하(南下), 삼도관(三都官), 연당(蓮塘), 연풍(淵豊), 운탄(雲灘), 좌양(左陽)
    • 1914년 금성면(金城面)과 좌양면(左陽面)을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면소재지인 수하리는 금성호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 일하면(日下面)
    • 관할 리 : 운평(雲坪), 구정(九政), 귀상(貴上), 달하(達下), 상신(上新), 상심(尙深), 운곡(雲谷), 장상(長上), 전성(錢城), 회둔(檜屯), 흥덕(興德)
    • 1935년 덕안면 구정리·귀상리·장상리를 편입하였다. 덕천에서 개천 방면으로 가는 길에 있다.
  • 잠도면(蠶島面)
    • 관할 리 : 대평(大坪), 삼동암(三童巖), 송림(松林), 양촌(陽村), 용상(龍上), 원동(院洞), 잠평(蠶坪)
    • 조선시대 순천군 잠하면(蠶下面)과 용도면(龍島面)이었으나 1906년에 덕천군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에 합병되었다. 맹산군 옥천면과 봉인면을 서로 빠르게 오가려면 이곳을 거쳐야 한다. 북한 행정구역상 북창군 소재지로, 북창군 옛 소재지는 이웃한 맹산군 옥천면 북창리였다.
  • 잠상면(蠶上面)
    • 관할 리 : 도령(陶令), 길상(吉祥), 내포(內浦), 동평(洞坪), 번석(番石), 서학(棲鶴), 선가(船街), 용소(龍沼)
    • 조선시대 순천군 지역이었으나 1906년 덕천군으로 편입되었다.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인 개천 제14호 관리소가 바로 옆 개천군 봉명면 지역에 걸쳐 들어서 있다.
  • 풍덕면(豊德面)
    • 관할 리 : 송정(松亭), 신덕(新德), 신평(新坪), 신풍(新豊), 신흥(新興), 옥유(玉楡), 율곡(栗谷), 임하(林下), 척장(尺長), 추동(楸洞), 풍덕(豊德)
    • 1914년 신덕면(新德面)과 신풍면(新豊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면소재지인 송정리는 금성호에 의해 수몰되었다. 덕천에서 영원으로 가는 중간에 있다.

2.6. 성천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성천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천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천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평안남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성천군
成川郡
Seoungchun County
}}}
<colbgcolor=#3A1A25><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성천면 상부리
상위 행정구역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12
면적 1,554㎢
인구 99,874명[18]
인구밀도 64.27/㎢
명예군수 정창호
명예읍·면장 12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성천군 소개

파일:성천군기.png


파일:성천군.jpg

광복 당시 12면, 면적 1,554㎢.
  • 성천면(成川面)
    • 관할 리 : 상부(上部), 대부(大富), 마전(麻田), 순덕(順德), 영목(永睦), 용선(龍仙), 하부(下部), 흥덕(興德)
    • 면소재지 및 군청소재지는 상부리. 원래 성도면이었으나 1917년에 개칭되었다. 대동강의 지류인 비류강(沸流江) 가에 있다. 동명관 강선루(東明館降仙樓)는 관서팔경의 하나인 명물이었지만, 6.25 전쟁 중 소실되었다.
  • 구룡면(九龍面)
    • 관할 리 : 가평(佳坪), 고척(高尺), 용연(龍淵), 운전(雲田), 운흥(雲興), 회춘(回春)
  • 능중면(陵中面)
    • 관할 리 : 남양(南陽), 고익(高益), 광덕(廣德), 대흥(大興), 덕련(德連), 명덕(明德), 문창(文昌), 삼고(三顧), 소남(召南), 송산(松山), 숭덕(崇德), 양춘(陽春), 융중(隆中), 이동(梨洞), 창의(昌義)
  • 대곡면(大谷面)
    • 관할 리 : 대곡(大谷), 문어(文語), 심진(尋眞), 지동(芝洞), 화평(花坪)
    • 면소재지인 대곡리는 남강발전소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 대구면(大邱面)
    • 관할 리 : 별창(別倉), 광산(匡山), 신장(信長), 원평(元坪), 지동(支洞), 천동(泉洞), 화인(化仁)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양덕군에서 편입한 곳이다. 북한 행정구역상 신양군 소재지. 신양군은 '새로운 양덕'이라는 뜻임에도 소재지가 여기에 있는 이유는, 1953년 원래 위치[19]에서 현 위치로 이전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곳 지명의 한자 표기가 대구광역시의 표기와 같다.
  • 사가면(四佳面)
    • 관할 리 : 장림(長林), 거흥(巨興), 맥전(麥田), 석우(石隅), 성림(成林), 쌍계(雙溪), 용흥(龍興), 은수(銀水), 입석(立石), 지석(支石), 천성(天成), 회덕(懷德), 회원(檜源)
  • 삼덕면(三德面)
    • 관할 리 : 신덕(新德), 노동(蘆洞), 대동(大洞), 문원(文源), 삼덕(三德), 쌍림(雙林), 운봉(雲峰), 원덕(元德), 장상(長上)
    • 평원선평덕선이 만나는 신성천역이 위치한 교통취락이다.
  • 삼흥면(三興面)
    • 관할 리 : 난산(卵山), 광탄(廣灘), 구빈(九賓), 일청(一靑), 창평(昌平), 행단(杏壇)
  • 숭인면(崇仁面)
    • 관할 리 : 창인(昌仁), 거인(居仁), 귀인(歸仁), 삼인(三仁), 숭인(崇仁), 흥인(興仁)
    • 일제강점기 시절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20]한자 표기가 같다.[21]
    • 북한 행정구역상 회창군 소재지로 군명인 '회창(檜倉)'은 면소재지인 창인리의 별칭이다.
  • 쌍룡면(雙龍面)
    • 관할 리 : 석전(石田), 금성(錦城), 삭창(朔倉), 상평(上坪), 오동(梧洞), 용문(龍門), 용현(龍峴), 풍평(豊坪), 하(下)
  • 영천면(靈泉面)
    • 관할 리 : 요파(了波), 노동(蘆洞), 대요파(大了波), 대평(大坪), 송강(松江), 용봉(龍鳳), 용암(龍巖), 용택(龍澤), 유동(柳洞), 조양(朝陽)
  • 통선면(通仙面)
    • 관할 리 : 덕암(德巖), 군자(君子), 남산(南山), 남원(南源), 문흥(文興), 백원(百源), 상(上), 안택(安宅), 옥정(玉井), 용담(龍潭), 하(下)
    • 평덕선 성천역이 소재하고 있으며, 백원역 인근에는 조선인민군 전략군 지휘부가 소재하고 있다.

2.7. 강동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강동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동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동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평안남도 강동군 깃발.png

파일:강동군.jpg

광복 당시 1읍 5면이었다.
  • 승호읍(勝湖邑)
    • 관할 리 : 승호(勝湖), 광청(廣淸), 괴음(槐陰), 금옥(金玉), 대성(大成), 동서(東西), 신장(新壯), 운학(雲鶴), 응암(鷹巖), 인흥(仁興), 입석(立石), 파릉(巴陵), 화천(貨泉)
    • 읍사무소와 군청이 승호리에 있었다. 원래 만달면(晩達面)이었으나 1941년 읍으로 승격되면서 개칭되었다. 승호리는 시멘트 생산의 중심지이다. 교통은 평덕선 입석리역, 승호리역, 만달리역, 화천역, 금옥역이 있다.
  • 강동면(江東面)
    • 관할 리 : 아달(阿達), 명례(明禮), 명의(明義), 문평(文坪), 문흥(文興), 상(上), 송학(松鶴), 숭의(崇義), 와룡(臥龍), 용복(龍伏), 용흥(龍興), 원효(源孝), 지(芝), 지례(知禮), 칠포(漆浦), 하(下), 화강(花岡), 효덕(孝德)
    • 1914년 현내면과 성천군 문헌면을 통합하여 신설되었다. 평덕선 강동역이 소재한다.
    • 면소재지인 아달리와 문흥리 부근의 대박산(大朴山)은 경승지로 이름이 있고, 중턱에는 종유동굴인 청계동굴(淸溪洞窟)이 있다. 특히 산 서쪽 칠포리[22]에는 단군릉이 있다. 해당 항목 참조.
  • 고천면(高泉面)
    • 관할 리 : 열파(閱波), 고성(古城), 관학(冠鶴), 광덕(廣德), 구암(龜巖), 도덕(道德), 동서(東西), 마학(馬鶴), 맥전(麥田), 명(明), 반석(盤石), 삼성(三成), 선광(先光), 수(壽), 용천(龍泉), 천답(泉畓), 향교(鄕校)
    • 1929년 폐지된 고읍면 고성리·맥전리·명리·향교리를 편입하였다.
  • 봉진면(鳳津面)
    • 관할 리 : 한왕(漢王), 건천(乾泉), 고성(姑城), 금곡(金谷), 동(東), 동삼(東三), 문왕(文旺), 변희(卞希), 봉당(鳳塘), 봉호(鳳湖), 북삼(北三), 상단(上端), 신(新), 연(蓮), 외단(外端), 용연(龍淵), 운룡(雲龍), 중단(中端), 하단(下端), 향목(香木)
    • 1929년 구지면, 마산면과 고읍면 동삼리·북삼리를 조합하여 신설하였다.
    • 면소재지인 한왕리에는 일명 한왕묘(漢王墓)라는 고분이 있다.
  • 삼등면(三登面)
    • 관할 리 : 봉의(鳳儀), 고류(古柳), 문명(文明), 고봉(古鳳), 대(垈), 명학(鳴鶴), 반룡(攀龍), 봉래(鳳來), 봉서(鳳瑞), 봉오(鳳梧), 사단(社壇), 사탄(沙灘), 상동(上東), 생금(生金), 석름(石凜), 석문(石門), 속추(束芻), 송가(松街), 송석(松石), 영대(靈臺), 옥정(玉井), 용연(龍淵), 자양(紫陽), 제령(祭靈), 청탄(淸灘), 태잠(太岑)
    • 조선시대에는 삼등현이라는 독립된 고을이었으나 1908년(융희 2) 강동군에 흡수되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영주면(靈宙面)을 편입하였다. 삼등탄광에서 무연탄을 채굴하였으며, 철도는 평덕선 삼등역삼등탄광선 대리역이 있다.
    • 황해도 수안군과 맞닿은 동남쪽 남강 중 일부 구간은 삼십육동천(三十六洞川)이라는 기암절벽의 경승지다.
  • 원탄면(元灘面)
    • 관할 리 : 상(上), 고비(高飛), 남경(南京), 내(內), 마산(馬山), 문우(文隅), 봉도(鳳島), 삼청(三靑), 송오(松塢), 신룡(新龍), 원신(元新), 원흥(圓興), 탑하(塔下), 표대(表垈), 하(下), 훈암(壎巖), 흑룡(黑龍)
    • 1929년 폐지된 고읍면 고비리·훈암리를 편입하였다. 교통은 고비선 고비역, 독골역이 있다.

2.8. 중화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중화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화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화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평안남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중화군 상징.png
중화군
中和郡
Junghwa County
}}}
<colbgcolor=#107885><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중화면 낙민리
상위 행정구역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11
면적 909㎢
인구 95,150명 (1944년 인구총조사)
인구밀도 104.68/㎢
명예군수 김남처
명예읍·면장 11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중화군 소개

파일:중화군기.png

파일:중화군.jpg

면적 909㎢. 북한 행정구역상 중화군은 중화면·동두면, 강남군은 당정면·신흥면·양정면·해압면, 상원군은 간동면·상원면·수산면·천곡면·풍동면에 해당한다.

2.8.1. 구 중화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중화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 중화면(中和面)
    • 관할 리 : 낙민(樂民), 갈매(葛梅), 강로(江老), 관(館), 금수정(金水井), 당밀(唐密), 독산(獨山), 묵성(墨成), 빙장(氷莊), 사룡(寺龍), 산개(山開), 석박(石礡), 신우(新牛), 신유(新楡), 어부산(魚鳧山), 운봉(雲峰), 장산(長山), 장원(長院), 정척(正陟), 진율(眞栗), 청학(靑鶴), 초현(草峴), 추당(楸唐), 충의(忠義), 치산(峙山), 하명월(下明月), 회유(回楡)
    • 읍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낙민리. 경의선 철도가 지나간다. 1939년에 고생양면(古生陽面) 묵성리·빙장리·사룡리·어부산리·장원리·충의리를 편입하였다. 고생양면은 중화면과 동두면에 분할 편입되어 사라졌다. 석박리는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때 금수정리·치산리와 함께 금산리가 신설되어 폐지되었다.[23]
    • 읍의 진산인 청량산(淸涼山, 188m)에는 길상사라는 절이 있었다. 분단 전에는 군내의 한약재 집산지로, 중화역에서 서울·대전·대구 등 주로 남한 각지로 연간 6만 톤이나 출하되었다고 한다. #
  • 간동면(看東面)
    • 관할 리 : 상하(上下), 간동장(看東場), 간지정(干支井), 광제원(廣濟院), 내동(內洞), 노년(老年), 명구(名區), 부원(府院), 사기(沙器), 수재(秀才), 오리(梧梨), 유(柳), 일연(日淵), 조치(棗峙), 중(中), 지석(支石)
    • 1929년 배화면을 흡수하였다(내동리·명구리·부원리·오리리·일연리·중리). 배화면은 구 상원군 지역이었다.
  • 당정면(唐井面)
    • 관할 리 : 당곡(唐谷), 간(間), 건산교(乾山橋), 검암(儉巖), 당촌(唐村), 동산(東山), 두정(斗井), 석교(石橋), 송오(松塢), 수구(水龜), 양라(陽羅), 애간(艾間), 적선(積善), 화문(和文), 후장교(後長橋)
    • 곤양강을 경계로 대동군과 맞닿는다.
  • 동두면(東頭面)
    • 관할 리 : 협계(峽溪), 고정(古井), 다기장(多奇障), 대류(大柳), 대선(大仙), 무진장(戊辰場), 서가(書加) 서옥(書玉), 설매(雪梅), 신봉(新鳳), 용산(龍山), 장룡(張龍), 조양(朝陽), 죽월(竹月), 진파(眞坡), 채송(蔡松), 흑(黑)
    • 1939년 고생양면(古生陽面)의 다기장리·대류리·서가리·서옥리·조양리를 편입하였다.
    • 정릉사동명왕릉이 진파리에 있다.
  • 신흥면(新興面)
    • 관할 리 : 상삼(上三), 경목(鏡睦), 고산(古山), 광산(廣山), 대기암(大奇巖), 백리(百梨), 삼응(三鷹), 성천(城川), 신포(新浦), 신한(新寒), 심방(沈防), 심촌(沈村), 용하(龍下), 용흥(龍興), 운산(雲山), 윤산(潤山), 윤암(尹巖), 진산(眞山), 칭우(秤隅), 칭정(秤井)
  • 양정면(楊井面)
    • 관할 리 : 석양(石陽), 간성(澗星), 고잔(古棧), 당정(唐井), 대내(大內), 문정(文井), 삼합(三合), 석정(石井), 성현(城峴), 신대(新大), 신리(新梨), 신허(新許), 양지(陽地), 용해(龍海), 음양(陰陽), 입석(立石), 정암(亭巖), 한교(寒橋)
    • 1914년 양무대면(楊武垈面)과 신제면(新濟面), 동정면(東井面)을 병합하여 만들어졌다.
    • 북쪽 곤양강을 경계로 대동군과 맞닿고, 면 북서쪽 끄트머리의 삼합리는 대동강에 접한다. 북한 행정구역 상 강남군 소재지.
  • 해압면(海鴨面)
    • 관할 리 : 요포(瑤浦), 간곡(間谷), 광석(廣石), 광성(廣城), 동곡(東谷), 동천(東川), 매현(梅峴), 목제(睦濟), 삼가(三街), 삼성(三姓), 상신흥(上新興), 성하련(城下蓮), 신갈(新葛), 신안포(新安浦), 안현(鞍峴), 애곡(崖谷), 영삼(永三), 용산(龍山), 유양(柳陽), 이안(二安), 인암(印巖), 죽산(竹山), 포류(浦柳), 하석담(下石潭), 하신흥(下新興), 화호(花虎), 황산(黃山), 황촌(黃村), 흥문(興文)
    • 서쪽으로 대동강을 접하고 있다. 부근에서는 손꼽히게 높은 해압산(332m)이 솟아있다.

2.8.2. 구 상원군 지역

  • 상원면(祥原面)
    • 관할 리 : 신읍(新邑), 구거비(求去非), 금충(金忠), 내입암(內立巖), 대정(大井), 덕령(德嶺), 문산(文山), 법화(法樺), 상귀동(上貴洞), 성산(城山), 외입암(外立巖), 장전(長田), 장항(獐項), 중귀동(中貴洞), 직현(直峴), 초귀동(初貴洞), 화봉(樺峰), 흑우(黑隅), 흥천(興天)
    • 1929년 하도면을 편입하였다(금충리·대정리·문산리·법화리·성산리·장전리·흥천리).
    • 북한 행정구역상 상원군 소재지. 면소재지에서 3km 떨어진 흑우리에 검은모루동굴 구석기 유적지가 있다.
  • 수산면(水山面)
    • 관할 리 : 노전(蘆田), 건천(乾川), 다목(多木), 동구(洞口), 병운(竝雲), 성재(成才), 용천(龍泉), 은구(銀口), 화전(花田)
  • 천곡면(天谷面)
    • 관할 리 : 용곡(龍谷), 각금(覺今), 개금(開金), 귀일(貴逸), 대흥(大興), 덕현(德峴), 번동(繁洞), 이봉(二峰), 이암(鯉巖), 전산(錢山), 초봉(草峰), 토교(土橋), 화암(禾巖), 휴암(鵂巖)
  • 풍동면(楓洞面)
    • 관할 리 : 능성(綾城), 가수(佳水), 가암(加巖), 고령(高靈), 고암(古巖), 구읍(舊邑), 남양(南陽), 내동(內洞), 노동(蘆洞), 대동(大同), 덕동(德洞), 덕암(德巖), 벽하(碧下), 복정(福井), 영천(靈泉), 용강(龍江), 이현(泥峴), 지동(智洞), 풍정(楓井)
    • 1929년 상도면을 편입하였다(가수리·고암리·구읍리·내동리·대동리·덕수리·벽하리·용강리·이현리·지동리).

2.9. 용강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룡강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룡강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룡강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평안남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용강군 상징.png
용강군
龍岡郡
Yonggang County
}}}
<colbgcolor=#902E3B><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용강면 옥도리
상위 행정구역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13
면적 744.8㎢
인구 134,466명[24]
인구밀도 180.4/㎢
명예군수 박상철
명예읍·면장 13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용강군 소개
파일:용강군기.png

파일:용강군.jpg
[25]

2.9.1. 구 용강군 지역

파일:황룡산성.jpg
황룡산성
  • 용강면(龍岡面)
    • 관할 리 : 옥도(玉桃), 난산(卵山), 반추(盤楸), 방어(芳漁), 서부(西部), 오작(烏鵲), 의산(義山), 장암(長巖), 초산(草山), 후산(後山)
    • 면소재지 및 군청소재지는 옥도리다. 하지만 위성사진을 보면 북한 치하 군소재지인 지운면에 비해 많이 쇠락했다.
    • 서쪽 오석산(烏石山, 565m)은 군내 최고봉인 명산으로 화강암의 산지이며, 황룡산성이 있다. 오작리에는 용강저수지가 있고, 동쪽 강서군과의 경계에는 인공호수인 대성호(大成湖)[26]가 있다. 철도는 용강선 용호역과 후산역이 있어 용월면 방면으로 통한다.
  • 다미면(多美面)
    • 관할 리 : 오화(五花), 난마(蘭麻), 대안(大安), 동전(東箭), 보명(普明), 서적(瑞赤), 소안(小安), 오정(梧井), 우안(牛安), 장미(長尾), 지사동(芝沙洞), 치의(幟衣), 한전(閑田)
    • 동, 서, 남 3면이 대동강에 둘러싸여 있으며, 대동강 동쪽 너머 황해도 송림시·황주군, 서남쪽으로는 안악군과 마주한다. 1945년 지울리가 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 홍경래의 출신 지역이다.
  • 서화면(瑞和面)
    • 관할 리 : 자복(自福), 동상(同相), 석치(石峙), 설암(雪巖), 신안(新安), 암현(巖峴), 죽본(竹本), 한현(漢峴)
    • 서북쪽 해안 지대에 있으며, 연대봉(55m)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20m 이하의 평지이다.
  • 양곡면(陽谷面)
    • 관할 리 : 마명(馬明), 갈천(葛川), 남동(南桐), 두보(杜寶), 신류(新柳), 정화(亭花), 주흥(周興), 회용(洄湧)
    • 1945년 천교리·문애리·초유리가 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 평남선 갈천역이 있다. 면내 서북단 남동리에 김경서(金景瑞)[27]의 사당인 충렬사(忠烈祠)가 있다.[28]
  • 오신면(吾新面)
    • 관할 리 : 가룡(佳龍), 가양(葭陽), 구룡(九龍), 내덕(內德), 덕해(德海), 도대(桃垈), 석정(石井), 송성(松城), 월매(月梅), 유동(楡洞), 인산(麟山), 직매(直梅)
    • 1945년 한학리·도학리가 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 용월면(龍月面)
    • 관할 리 : 갈현(葛峴), 계명(桂明), 광덕(廣德), 국안(國安), 대영(大永), 마동(麻洞), 송석(松石), 주달(周達)
    • 면 동남부, 용강면과의 경계에 군내 최고봉인 오석산(565m)이 있다. 용강선 용월역, 종점인 마영역이 있다.
  • 지운면(池雲面)
    • 관할 리 : 진지(眞池), 대성(大城), 두륵(頭勒), 만하(晩荷), 문성(文城), 신촌(新村), 안성(安性), 양원(兩院), 양화(陽和), 유보(柳保), 인포(仁浦), 입성(立城), 현암(絃巖)
    • 북한 치하에서 용강읍 소재지이다. 시가지 북쪽에 용강대총·쌍영총을 비롯한 고구려 고분군이 위치한다. 용강면과의 경계에 있는 석천산(石泉山)은 봄에 진달래꽃이 유명하며, 남쪽 기슭에 고인돌이 다수 있다.
    • 용강역(구 진지동역)이 있고, 평남선용강선이 분기하여 용강선은 용강면 방면으로 이어진다. 대성역도 있었으나 현재는 폐역.
    • 수질이 좋아 진로소주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29]
  • 해운면(海雲面)
    • 관할 리 : 온정(溫井), 갈성(葛城), 궁산(弓山), 성현(城峴), 연봉(延鳳), 용반(龍磻), 용정(龍井), 월지(月池), 이현(里峴), 일병(日屛)
    • 북한 행정구역상 온천군 소재지이다. 용강온천이 위치하며, 평남선의 종점인 온정역(평남온천역)이 있다. 동부 성현리에는 점제현 신사비가 소재한다.

2.9.2. 구 삼화부 지역

아래 지역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편입된 구 삼화부에 해당한다. 진남포시도 구 삼화부 지역이었다.
  • 귀성면(貴城面)
    • 관할 리 : 노상(路上), 감박(甘朴), 금정(金井), 노하(路下), 대령(大嶺), 석성(石城), 석찬(石贊), 용도(龍島), 원읍(元邑), 증악(甑岳), 최광(最廣), 향곶(香串)
    • 원래 '귀'림면(貴林面, 향곶리 등 남부)과 토'성'면(土城面, 대령리 등 북부)의 2개 면이었다가 1929년 통합되었다.
    • 광량만(廣梁灣)을 중심으로 염전이 많다. 평남선 로상역·귀성역이 있다.
    • 연안에는 화도(禾島)·초도(草島)·대매도(大梅島)·소매도(小梅島)·덕도(德島)·상취라도(上吹螺島)·하취라도(下吹螺島)[30] 등 크고 작은 섬들이 있으나, 현재는 육지와 가까운 화도(禾島)·초도(草島) 등은 간척되어 육지와 연결됐다.
    • 고구려의 장수 강이식 장군의 고향이라고 전해진다. 고구려 멸망 이전에는 고구려 강씨(진주 강씨) 일족이 이곳에 씨족을 이루고 살았다고 한다.
  • 금곡면(金谷面)
    • 관할 리 : 우등(牛登), 경전(耕田), 금수(金水), 남상(南上), 남하(南下), 내성(內城), 담부(擔釜), 석포(石浦), 유동(乳洞), 화도(華島)
    • 귀성면과 함께 광량만을 중심으로 염전이 많다. 평남선 동광량역·서광량역·화도역이 있다.
    • 물이 좋은 고장인지 금수리의 맹자우물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며, 해운면·삼화면과 경계한 면 북쪽 신덕산(新德山)에서는 북한이 자랑하는 생수인 '신덕샘물'이 산출된다.[31]
  • 대대면(大代面)
    • 관할 리 : 덕동(德洞), 매산(梅山), 사천(沙川), 산동(山洞), 오산(梧山), 월곡(月谷), 화도(花島)
    • 진남포시의 바로 바깥 지역으로, 1938년 마사리·유사리·대두리가, 1945년 어호리·해산리·고정리·영곡리[32]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평남선 덕동역이 있다.
    • 매산리 287-2번지#에는 고구려 고분군의 하나인 수렵총(狩獵塚)이 있다. 북쪽 삼화면과의 경계에 있는 우산(牛山, 507m) 남안에는 옥천대유원지(玉泉臺遊園地)가 있었다.
  • 삼화면(三和面)
    • 관할 리 : 옥정(玉井), 내교(內校), 마점(馬岾), 서정(西亭), 용문(龍門), 율상(栗上), 율하(栗下), 주림(舟林), 충흥(忠興), 학당(學堂)
    • 진남포 개항 전까지 옛 삼화군의 중심지였다. 대부분의 지역이 구릉성 산지로, 사동천(砂洞川)이 면내를 북서에서 남동으로 남포시 방향으로 흘러 북쪽에는 충흥리저수지, 남쪽에는 주림저수지(삼화저수지)를 형성했다. 우산 북쪽 기슭에는 주림저수지를 내다보며 휴양지로 이름 높았던 우산장(牛山莊)이 있다.
  • 신녕면(新寧面)
    • 관할 리 : 신덕(新德), 광암(廣巖), 마염(馬鹽), 소강(蘇江), 송산(松山), 수일(水日), 신암(新巖), 연송(延松), 오학(梧鶴)
    • 서해갑문의 북쪽 끝이 이 지역에 닿는다. 서해갑문은 인근 섬인 피도(皮島)와 이어져 있다. 평남선 평남신덕역이 있다.
    • 서쪽에 광량만이 있다. 임우산(霖雨山)~연대산(燃臺山)을 잇는 산줄기 사이에 학령이 있고, 산줄기 북쪽을 영북(嶺北)지방, 남쪽을 영남(嶺南)지방이라 한다. 광암·마염·수일·오학 4개리가 영남, 신덕·소강·송산·신암·연송 5개리가 영북이다.

2.10. 영원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녕원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녕원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녕원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평안남도 영원군기.png

파일:영원군.jpg
  • 영원면(寧遠面)
    • 관할 리 : 영녕(永寧), 기대(箕垈), 남산(南山), 대룡(大龍), 덕암(德巖), 도평(都坪), 마근담(麻槿潭), 마상(馬上), 문곡(文谷), 방산(方山), 봉덕(鳳德), 석막(石幕), 성장(城壯), 신(新), 신율(新栗), 임탄(荏灘), 직(直)
    • 면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영녕리. 1914년 영녕면(永寧面), 풍서면(豐瑞面), 문곡면(文谷面)의 3개 면을 병합해 읍내면(邑內面)이라 하였으며 1917년 영원면으로 개칭되었다.
  • 대흥면(大興面)
    • 관할 리 : 사창(社倉), 광통(廣通), 덕(德), 복녕(福寧), 용수(龍水), 용암(龍巖), 월평(月坪), 인처(仁處), 입석(立石), 중흥(中興), 흑수(黑水)
    • 1914년 태백면(太白面)과 장흥면(長興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대흥군 소재지로 검산령을 통해 함경남도 정평군과 연결된다.
  • 덕화면(德化面)
    • 관할 리 : 교관(敎館), 성(城), 신덕(新德), 신흥(新興), 중흥(中興), 횡천(橫川)
    • 1914년 신덕면(新德面)과 신화면(新化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 성룡면(成龍面)
    • 관할 리 : 구창(舊倉), 길대(吉垈), 만평(萬坪), 성진(城眞), 장산(長山), 청막(淸幕), 평대(坪垈)
  • 소백면(小白面)
    • 관할 리 : 와룡(臥龍), 감덕(甘德), 경수(鯨水), 동향(東香), 사양(士養), 상남(上南), 신덕(新德), 직(直)
    • 신덕리는 대동강의 발원지다.
  • 신성면(新城面)
    • 관할 리 : 창의(昌義), 구억(舊億), 길현(吉峴), 대흥(大興), 도흥(都興), 동창(東昌), 문흥(文興), 신안(新安), 신흥(新興), 여운(如雲), 장임(壯壬), 진작(陳作), 하삼(下三)
    • 1922년 신창면(新昌面)과 금성면(錦城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 영락면(永樂面)
    • 관할 리 : 중흥(中興), 낙창(樂倉), 낙포(樂浦), 문암(門巖), 산막(山幕) 삼포(三浦), 송평(松坪), 신흥(新興), 양성(陽城), 용삼(龍三), 창(倉), 초대(草大), 태평(泰平)
    • 1917년 영청면(永淸面)과 쾌락면(快樂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면소재지인 중흥리는 북한에서 녕원댐을 건설해 수몰됐다.[33]
  • 온화면(溫和面)
    • 관할 리 : 온양(溫陽), 수하(水下), 신답(新沓), 용덕(龍德), 회양(回陽)
    • 온양리에 온화온천이 있다.
  • 태극면(太極面)
    • 관할 리 : 태극(太極), 송산(松山), 영창(永昌), 율지(栗枝), 풍전(豊田), 화순(和順)
    • 원래 덕천군 태극내면, 태극외면이었으나 1917년 태극면으로 합병되었고, 1935년 영원군에 편입되었다.

2.11. 강서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강서구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서구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서구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강서군기.png

파일:강서군.jpg

2.11.1. 구 강서군 지역

  • 강서면(江西面)
    • 관할 리 : 덕흥(德興), 거장(巨庄), 광향(廣鄕), 삼묘(三墓), 암저(巖底), 염전(鹽田)[34], 정화(靜和), 학천(鶴泉), 현봉(賢鳳)
    • 읍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덕흥리다. 삼묘리에 고구려시대의 벽화고분 3기(강서삼묘)가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읍의 진산인 무학산(舞鶴山, 346m)이 유명하다.
  • 동진면(東津面)
    • 관할 리 : 기양(岐陽), 고일(古逸), 다필(多必), 덕봉(德鳳), 석현(石峴), 신교(新橋), 심정(心貞), 어은(於隱), 용정(龍井), 청산(靑山), 추죽(推竹), 탄포(灘浦), 태성(台城), 학송(鶴松)
    • 면소재지인 "기양(岐陽)"이라고 부른다. 일제강점기 조선경금속주식회사가 위치해 금속공업이 발달해 있던 곳이다. 기양리를 중심으로 거의 도시화되었으며,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여기가 강서읍 소재지다. 면 서쪽에는 태성호(台城湖)[35] 저수지가 있다. 북한에서 (아마도) 유일한 골프장이 있다. 북한에서 선전하는 '청산리 방법'의 청산리가 이곳에 있다.
  • 보림면(普林面)
    • 관할 리 : 화학(和鶴), 간성(肝城), 관포(觀浦), 광포(廣浦), 남삼(南三), 대화(大和), 문천(聞天), 서학(棲鶴), 우산(羽山), 유현(柳峴), 학남(鶴南)
    • 간성리에는 고구려 벽화고분인 연화총(蓮華塚)이 있고, 서학리에 있는 서학산(棲鶴山, 272m)은 일명 구룡산이라고도 하며, 산세가 웅대하고 경관이 뛰어나 ‘강서 금강’이라고도 한다.
  • 성암면(城巖面)
    • 관할 리 : 남양(南陽), 금산(金山), 대안(大安), 대정(大井), 세죽(細竹), 영평(永平), 입송(立松), 주산(舟山), 죽마(竹馬), 차제(車堤)
    • 북한 행정구역상 대안군이 소재하고 있다. 대안군(대안구역)은 과거 대안시(大安市)로 승격된 적도 있다.
  • 수산면(水山面)
    • 관할 리 : 오이(烏耳), 가생(可生), 가현(可峴), 가흥(佳興), 고학(古鶴), 금천(金泉), 백운(白雲), 신정(新井), 쌍송(雙松), 어경(於京), 운남(雲南), 운북(雲北), 천도(千渡)
    • 명학제(鳴鶴堤)라는 저수지가 있다.
  • 잉차면(芿次面)
    • 관할 리 : 오(五), 삼(三), 이(二), 일(一), 조양(朝陽), 토산(兎山), 팔(八), 화석(花石)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강서군에 편입됐다.
  • 초리면(草里面)
    • 관할 리 : 강선(降仙), 남호(南湖), 보봉(寶鳳), 사(沙), 송호(松湖), 이로(伊老), 포(浦)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강서군에 편입됐다. 면소재지인 "강선(降仙)"으로 잘 알려진 곳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제강공업이 발달해 동진면과 함께 일찍이 도시화된 지역이다. 북한 행정구역상 천리마군이 소재하고 있다.

2.11.2. 구 증산군 지역

아래 지역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편입된 구 증산군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같은날 신설된 평원군에 편입된 한천면도 구 증산군의 영역이었다.
  • 반석면(班石面)
    • 관할 리 : 상사(上四), 하사(下四), 반일(班一), 반이(班二), 반삼(班三), 반사(班四), 반오(班五), 반육(班六)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증산군에 편입됐다.
  • 성태면(星台面)
    • 관할 리 : 원당(元塘), 가장(可庄), 금송(金宋), 대마(大馬), 성사(星四), 성삼(星三), 성오(星五), 성육(星六), 성이(星二), 성일(星一), 성칠(星七), 연곡(硯谷), 태사(台四), 태일(台一)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증산군에 편입됐다.
  • 쌍룡면(雙龍面)
    • 관할 리 : 다족(多足), 기(基), 봉오(鳳梧), 산경(山慶), 신경(新慶), 운포(雲浦), 유명(柳明), 임성(林城), 창포(菖蒲)
  • 적송면(赤松面)
    • 관할 리 : 석삼(石三), 곡신(穀新), 삼부(三府), 석사(石四), 석오(石五), 석육(石六), 석이(石二), 석일(石一), 석칠(石七), 청령(淸嶺)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증산군에 편입됐다. 고구려 명장 을지문덕의 출생지다.
  • 증산면(甑山面)
    • 관할 리 : 취룡(聚龍), 가풍(歌豊), 광제(廣濟), 낙생(樂生), 두만(斗滿), 무본(務本), 미회(美會), 반룡(蟠龍), 부암(釜巖), 사과(四科), 승영(升楹), 영천(靈泉), 오화(五和), 오흥(吳興), 용덕(龍德), 이안(利安), 자봉(紫鳳), 저명(杵鳴), 정실(鼎實), 정양(正養), 화선(化善)
    • 북한 행정구역상 증산군 증산읍이 위치한다. 강서군에 병합된 구 증산군의 중심지였다.

2.11.3. 구 함종도호부 지역

아래 지역은 1908년에 편입된 구 함종도호부에 해당한다.
  • 신정면(薪井面)
    • 관할 리 : 구련(龜蓮), 대흥(大興), 사(四), 삼(三), 신(新), 연하(烟霞), 이(二), 진사(進士), 탄현(炭峴), 하청(河淸), 화산(花山), 후현(後縣)
    • 1929년 풍정면(豊井面)과 신흥면(新興面, 발산리 제외)을 조합하여 신설하였다.
  • 함종면(咸從面)
    • 관할 리 : 함종(咸從), 계산(鷄山), 계양(桂陽), 고경(古京), 달상(達上), 미석(美石), 발산(鉢山), 범오(範五), 봉황(鳳凰), 석교(石橋), 송경(松坰), 안석(安石), 여오개(汝吾介), 일중(一中), 홍범(洪範)
    • 1929년 장안면(長安面)과 신흥면 발산리를 편입하였다. 어씨의 가장 대본인 함종 어씨의 본관인 함종이 바로 이 곳이다.

2.12. 평원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평원군(북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평원군(북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평원군(북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평원군기.png

파일:평원군.jpg

해방 당시 16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12.1. 구 영유군 지역

  • 평원면(平原面)
    • 관할 리 : 이화(梨花), 괴천(槐泉), 대부(大夫), 부용(芙蓉), 송석(松石), 어은(漁隱), 어파(漁坡), 영덕(永德), 원류(元柳), 월정(月晶), 월평(月坪), 자일(紫逸), 장림(長林), 화림(華林)
    • 면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이화리. 본래 영유군 동부면(東部面), 중부면(中部面), 서부면(西部面)으로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영유면(永柔面)이 통합되었고, 1929년 평원면으로 개칭되었다. 부군면 통폐합 이전 영유군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일명 '영유(永柔)'라고 불렸다. 이화리에 조선 선조가 임진왜란 때 100일간 머물렀던 영유행궁이 있었고, 조선시대의 사열대인 훈련정(訓鍊亭)이 아직 남아 있다. 영덕리에 있던 삼충사는 제갈량(諸葛亮)·악비(岳飛)·문천상(文天祥)을 모신 사당이었다.
    • 철도 교통은 산 넘어 이웃 공덕면에 있는 경의선 어파역을 이용해야 한다.
  • 노지면(鷺池面)
    • 관할 리 : 용정(龍井), 대송(大松), 대주(大洲), 문명(文明), 석소(石蘇), 쌍암(雙巖), 용당(龍堂), 용암(龍巖), 정림(旌林), 추흥(楸興)
    • 1914년 덕지면(德池面), 백로면(白鷺面), 상계면(上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동암면(東巖面)
    • 관할 리 : 산음(山陰), 도전(都田), 동석암(東石巖), 둔전(屯田), 문암(門巖), 반송(盤松), 부백(孚白), 산양(山陽), 상탄(上灘), 서문(西門), 서석암(西石巖), 송석(松石), 신평(新坪), 신흥(新興), 암적(巖赤), 어중(御重), 용산(龍山), 용우(龍隅), 용이(龍二), 원화(元和), 율일(栗一), 율화(栗花), 조산(造山)
    • 1917년 용흥면(龍興面)이 석암면(石巖面)으로 개칭되었고, 1929년 구 순안군 지역이었던 동두면(東頭面)과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좌우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면소재지 부근에 경의선 석암역이 있다.
  • 용호면(龍湖面)
    • 관할 리 : 연교(蓮橋), 관성(館城), 남양(南陽), 뇌송(雷松), 당우(堂隅), 매전(梅田), 안연(安淵), 약전(藥田), 어당(魚塘), 용강(龍岡), 운봉(雲鳳), 응오(鷹烏), 장평(獐坪), 중항(中巷), 청운(靑雲), 판교(板橋)
    • 1914년 용흥면(龍興面), 갈하면(葛下面), 연하면(蓮下面), 통호면(通湖面)의 4개 면을 통합해 신설한 면이다. 서해와 면하는 지역으로 남양리에는 남양염전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북한에서는 이 염전에서 평남 소금의 1/3이 생산된다고 한다. 아울러 염전 부근 와룡산(73m)의 봉수대 터도 있다.
  • 청산면(靑山面)
    • 관할 리 : 구원(舊院), 개수(价水), 계산(桂山), 교산(橋山), 금봉(金峰), 남흥(南興), 보방(寶坊), 송현(松峴), 용암(龍巖), 운송(雲松), 운탑(雲塔)
    • 1914년 청지면(靑池面)과 화산면(禾山面), 수남면(水南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노지면·덕산면과의 경계에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된 대원산(大圓山, 205m)이 있으며, 산정에 기암괴석으로 된 경승지 낙가굴(洛迦窟)이 있다.
  • 해소면(海蘇面)
    • 관할 리 : 금학(金鶴), 난산(爛山), 내덕(內德), 송정(松井), 용교(龍橋), 용현(龍峴), 월현(月峴), 종률(種栗)
    • 1914년 소호면(蘇湖面)과 해율면(海栗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바다 海가 들어가 있지만 서쪽 끄트머리를 제외하고는 바다에 접해 있지 않다.

2.12.2. 구 숙천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숙천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 검산면(檢山面)
    • 관할 리 : 검흥(檢興), 검서(檢西), 검양(檢陽), 송양(松陽), 신성(新成), 신지(薪枝), 용포(龍浦), 터산(攄山), 학산(鶴山)
    • 1914년 숙천군 상검면(上檢面), 하검면(下檢面), 법리면(法里面), 애산면(艾山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검산(194m) 부근 검흥리와 터산리 사이에 위치한 검산약수가 유명하다.
  • 동송면(東松面)
    • 관할 리 : 월봉(月峰), 군자(君子), 백석(白石), 백운(白雲), 송현(松峴), 수암(壽巖), 용담(龍潭), 운룡(雲龍), 운평(雲平), 청룡(靑龍)
    • 1914년 숙천군 동산면(東山面)과 송리면(松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청룡리에 청룡사(靑龍寺)가 있었다. 한자 이름이 철원군 동송읍(東松邑)과 동일하다.
  • 서해면(西海面)
    • 관할 리 : 사산(蛇山), 광천(廣川), 남포(南浦), 당오(唐塢), 보덕(補德), 보원(補元), 신덕(新德), 연풍(延豊), 용산(龍山), 원흥(元興), 중흥(中興)
    • 1914년 숙천군 고리면(高里面), 당리면(唐里面), 보민면(補民面), 평리면(坪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평원군의 서북쪽 끝에 있는 면으로, 이름대로 서쪽은 황해와 접한다. 철도는 남동선이 지나가며 염전역, 남동역이 있다.
  • 숙천면(肅川面)
    • 관할 리 : 관전(官前), 관동(館東), 내동(內洞), 당하(堂下), 덕수(德水), 도덕(道德), 만흥(晩興), 미남(嵋南), 백로(白鷺), 사직(社稷), 성남(城南), 송저(松底), 신남(新南), 신흥(新興), 심정(深井), 통덕(通德)
    • 1914년 숙천군 동부면(東部面), 서부면(西部面)과 영유군 우상면(右上面), 우하면(右下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구 숙천군의 중심지. 경의선 숙천역이 있다.
  • 조운면(朝雲面)
    • 관할 리 : 갈산(葛山), 성덕(聖德), 송천(松千), 순정(順井), 응암(鷹巖), 재정(財井), 조운(朝雲), 태평(太平)
    • 1914년 숙천군 삼리면(三里面), 성상면(聖上面), 취리면(吹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숙천면 바로 서쪽에 있던 면으로 화가 이중섭이 이곳 송천리 출신이다.

2.12.3. 구 순안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순안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동암면 둔전리·문암리·반송리·부백리·산음리·서문리·어중리·용우리·용이리·율일리·율화리(구 동두면)가 구 순안군 영역이었다.
  • 공덕면(公德面)
    • 관할 리 : 흥운(興雲), 간(間), 괴전(槐田), 법흥(法興), 병상(竝上), 산송(傘松), 상이(上二), 성교(城橋), 송매(松梅), 신교(新郊), 신화(新和), 양수(兩水), 용암(龍巖), 용흥(龍興), 원(院), 장재(長財), 적암(積巖), 퇴남(退南), 퇴상(退上), 퇴현(退峴), 향암(香巖)
    • 군의 동쪽에 있는 면. 1914년 순안군 공전면(公田面)과 평천면(平川面)을 통폐합해 공평면(公平面)이 신설되었고 1929년 자덕면(自德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1929년 축조된 평안저수지[36]가 있으며, 31본산 중 하나였던 법흥사가 남아있다.
    • 관내에 경의선 어파역이 있다.
  • 순안면(順安面)
    • 관할 리 : 남창(南昌), 관북(館北), 구교(舊校), 구서(九瑞), 군상(郡上), 남산(南山), 담화(曇華), 사직(社稷), 상양(上陽), 성이(星二), 성일(星一), 수우(水隅), 신상(新上), 신안(新安), 안암(安庵), 안흥(安興), 양학(陽鶴), 연산(延山), 오산(梧山), 원일(元一), 포정(蒲井)
    • 1914년 순안군 군내면(郡內面)과 송현면(松峴面), 정방면(定坊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구 순안군의 중심지로 평원군의 남동쪽 끝에 있으며 대동군과 접한다. 북한 치하에서는 순안구역으로 평양시에 편입되었으며 경의선 순안역과 함께 북한의 관문인 평양국제비행장이 있다. 그런데 북쪽 활주로는 동암면과 걸쳐 있고, 남쪽 활주로는 보통강 건너 양화면에 있다.
    • 동쪽 담화산(431m)에는 동금강암(東金剛庵)이라고도 불리는 금강암(金剛庵)이 있다.
  • 양화면(兩花面)
    • 관할 리 : 요화(蓼花), 금강(金剛), 내송(內松), 상서(上西), 상송(上松), 신(新), 신성(新成), 신정(新井), 옥정(玉井), 용복(龍伏), 중흥(中興), 평(坪)
    • 1914년 순안군 동화면(冬花面)과 연화면(蓮花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순안면 바로 서쪽 지역으로, 남쪽으로 대동군과 접한다.

2.12.4.평양부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평양부의 영역에 해당하며 1914년 평원군 신설 당시 평원군으로 이관되었다.
  • 덕산면(德山面)
    • 관할 리 : 삼정(三井), 검암(劒巖), 경하(坰下), 귤(橘), 대포(大浦), 덕수(德水), 봉도(蜂島), 원오(元五), 유촌(兪村), 제(齊), 주촌(朱村), 탑(榻), 호여(浩呂), 화산(華山)

2.12.5.증산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증산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증산군은 1914년 한천면은 평원군에, 한천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강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 한천면(漢川面)
    • 관할 리 : 감팔(甘八), 감사(甘四), 감삼(甘三), 감오(甘五), 감육(甘六), 감이(甘二), 감일(甘一), 감칠(甘七), 신성(信成), 예지(禮智), 인의(仁義)
    • 1914년 증산군 진방면(鎭坊面)과 초곡면(草谷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서쪽으로 황해와 접한다.

2.13. 안주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안주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주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주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평안남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안주군 상징.png
안주군
安州郡
Anju County
}}}
<colbgcolor=#63161C><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안주읍 북문리
상위 행정구역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1 7
면적 692.2㎢
인구 90,621명[37]
인구밀도 130.92/㎢
명예군수 최태연
명예읍·면장 8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안주군 소개
파일:안주군기.png

파일:안주군.jpg

이전 문서에서 2읍(안주, 신안주) 6면(대니, 동, 용화, 연호, 운곡, 입석)으로 설명하고 있었으나, 신안주면은 읍으로 승격된 적이 없다. 안주군의 행정구역은 광복 당시 1읍 7면이었으며, 1949년 북한 치하에서 안주읍이 안주면으로 격하되었던 것으로 인해 조선향토대백과에서는 8면이었던 것으로 서술하고 있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북한지역정보넷에서는 안주군이 원래 1읍 7면이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북5도위원회 평안남도 기본현황에서도 광복 당시 평안남도의 읍이 5개였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안주읍, 승호읍, 순천읍, 양덕읍, 개천읍에 해당한다.

1읍 7면
  • 안주읍(安州邑)
    • 관할 리 : 칠성(七星), 건인(建仁), 고성(古城), 금성(金城), 남천(南川), 도회(都會), 문봉(文峰), 미상(彌上), 봉서(鳳棲), 북문(北門), 북송(北松), 서산(西山), 선흥(船興), 신성(新城), 신의(信義), 용서(龍西), 용연(龍淵), 용현(龍峴), 용흥(龍興), 원풍(元豊), 율산(栗山), 장상(長上), 장천(長川), 장흥(長興), 차장(差壯), 청교(淸橋), 화양(華陽)
    • 1914년 읍북면(邑北面)과 주북면(州北面)이 주내면(州內面)으로 합쳐졌고, 1931년 읍으로 승격되면서 안주읍으로 개칭되었다. 읍소재지는 칠성리, 군청소재지는 북문리. 개천선 철도가 면의 북쪽 청천강 자락을 지나가며 관내에 안주역, 북송리역이 있다.
  • 대니면(大尼面)
    • 관할 리 : 협흥(協興), 계림(桂林), 금계(金溪), 남계(南溪), 남상계(南上溪), 만흥(萬興), 문남(文南), 문천(文川), 발남(鉢南), 발북(鉢北), 백학(白鶴), 봉명(鳳鳴), 봉학(鳳鶴), 소니(小尼), 쌍계(雙溪), 어룡(漁龍), 용남(龍南), 용봉(龍峰), 용포(龍浦), 용호(龍湖), 용흥(龍興), 이서(尼西)
    • 1914년 대대면(大代面)과 이산면(尼山面)이 합병되어 신설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문덕군 소재지. 경의선 철도가 면의 남서부를 지나가며, 관내에 이서역이 있다.
  • 동면(東面)
    • 관할 리 : 용흥(龍興), 금서(錦西), 금천(錦川), 동맹(東孟), 맹주(孟州), 명학(鳴鶴), 봉덕(鳳德), 봉명(鳳鳴), 봉상(鳳上), 상서(祥瑞), 연풍(延豊), 용계(龍溪), 운흥(雲興), 평률(平栗)
    • 개천선 철도가 면의 북쪽 청천강 자락을 지나가며 관내에 연풍역, 운흥리역이 있다.
  • 신안주(新安州面)
    • 관할 리 : 원흥(元興), 낙만(樂萬), 남칠(南七), 동칠(東七), 명암(明巖), 봉림(鳳林), 상팔(上八), 소학(巢鶴), 송죽(松竹), 송학(松鶴), 신(新), 신성(新成), 신원(新院), 오(五), 용계(龍溪), 용운(龍雲), 운송(雲松), 운학(雲鶴), 운흥(雲興), 원일(元一), 증암(甑巖), 창송(蒼松), 청송(靑松)
    • 1914년 청산면(靑山面)과 문곡면(文谷面)이 합병되어 신안주면으로 개칭되었다. 경의선개천선신안주청년역에서 분기하며, 이외에도 대교역(평의선)이 있다.
  • 연호면(燕湖面)
    • 관할 리 : 용흥(龍興), 남사(南四), 남이(南二), 남일(南一), 남흥(南興), 내삼(內三), 노안(老安), 동림(東林), 동서(東西), 박비(朴飛), 북흥(北興), 상팔(上八), 서흥(西興), 신설(新設), 신양(新陽), 용삼(龍三), 용오(龍五), 인흥(仁興), 중흥(中興)
    • 1914년 연경면(燕坰面)과 평호면(平湖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 용화면(龍花面)
    • 관할 리 : 용연(龍淵), 마산(馬山), 봉학(鳳鶴), 삼산(三山), 상북동(上北洞), 약천(藥川), 용남(龍南), 용담(龍潭), 용반(龍盤), 용운(龍雲), 용전(龍田), 용중(龍中), 용흥(龍興), 운천(雲川), 응암(鷹巖)
    • 1914년 용두면(龍頭面)과 갈화면(葛花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경의선안주탄광선이 면의 남쪽인 문덕역(구 만성역)에서 분기한다.
  • 운곡면(雲谷面)
    • 관할 리 : 용복(龍伏), 구룡(九龍), 반룡(反龍), 어룡(漁龍), 온상(溫上), 온흥(溫興), 용담(龍潭), 용림(龍林), 용서(龍西), 용전(龍田), 용천(龍川), 용택(龍澤), 용학(龍鶴), 용흥(龍興), 운룡(雲龍), 원룡(元龍), 원흥(元興), 입석(立石), 재전(在田), 중흥(中興)
    • 북한 행정구역상 운곡지구 소재지. 운곡목장이 있다.
  • 입석면(立石面)
    • 관할 리 : 용주(龍珠), 기산(岐山), 남단(南端), 남상(南上), 남조(南造), 내동(內洞), 동호(銅壺), 상공삼(上公三), 서호(西湖), 성법(聖法), 송산(松山), 신(新), 신명(新明), 연흥(蓮興), 왕산(王山), 용담(龍潭), 용림(龍林), 용북(龍北), 용운(龍雲), 용정(龍井), 용지(龍池), 용흥(龍興), 원북(元北), 인풍(仁豊), 입석(立石), 중흥(中興), 해서(海西), 호남(湖南)
    • 1914년 누천면(漏泉面), 남송면(南松面), 남면(南面), 서면(西面)의 4개 면을 통폐합하여 신설되었다. 안주탄광선과 그 지선인 청남선이 면내를 훑고 지나간다. 북한 행정구역상 한때 존재했던 청남군 소재지.

2.14. 개천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개천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개천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개천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C83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FC83F>
파일:개천군 상징.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개천읍
봉동면 북면 조양면 중남면 중서면
}}}}}}}}} ||

평안남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개천군 상징.png
개천군
介川郡
Geachun County
}}}
<colbgcolor=#FFC8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개천읍 군우리
상위 행정구역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1 5
면적 679.19㎢
인구 67,000명[38]
인구밀도 98.65/㎢
명예군수 김인준
명예읍·면장 5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개천군 소개
파일:개천군 상징.png

파일:개천군.jpg
1읍 5면
  • 개천읍(介川邑)
    • 관할 리 : 군우(軍隅), 마장(馬場), 삼포(三浦), 송학(松鶴), 신송(新松), 연당(蓮塘), 용성(龍城), 운포(雲浦), 중흥(中興), 현룡(見龍)
    • 원래 이곳이 개천의 중심지는 아니었으나 1925년 개천면(조양면)에 있던 군청이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1929년 외서면(外西面)에서 개칭되었고, 1941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북한 치하에서 1949년 면으로 강등된다. 철도는 만포선개천선이 지나가며 개천역이 있다.
  • 봉동면(鳳東面)
    • 관할 리 : 봉창(鳳倉), 금평(金坪), 기양(岐陽), 봉하(鳳下), 상(上), 신흥(新興), 오봉(五峰), 중(中)
    • 1935년 외동면(外東面)과 평안남도 순천군 봉명면(鳳鳴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참고로 봉명면은 원래 은산군 봉명방이었으나 1907년에 순천군으로 이관되었고, 1935년에 개천군에 흡수되었다. 대동강 남부의 금평리·기양리·봉창리·상리·신흥리가 구 봉명면의 영역에 해당한다. 전술한 개천 제14호 관리소가 있다. 철도는 대건선이 지나가며 무진대역외동역, 봉창역이 있다.
  • 북면(北面)
    • 관할 리 : 원(院), 남전(藍田), 봉천(鳳泉), 삼봉(三峰), 용담(龍潭), 용등(龍登), 용연(龍淵), 인흥(仁興)
    • 만포선 원리역남전역, 봉천역이 있다.
  • 조양면(朝陽面)
    • 관할 리 : 봉명(鳳鳴), 당아(堂牙), 동림(桐林), 승창(承昌), 신립(新立), 쌍룡(雙龍), 용복(龍伏), 용봉(龍峰), 용현(龍峴), 운양(雲陽), 운흥(雲興), 저(苧)
    • 개천군의 역사적인 중심지였던 곳이다. 1917년 군내면(郡內面)에서 개천면(介川面)으로 개칭되었으나 1925년에 군청이 외서면(개천읍)으로 이전하면서 중심지 지위를 잃었다. 1929년 내동면(內東面)과 합병되어 조양면이 출범하였다. '구읍(舊邑)'이라 불리며 구읍역이 있다. 옛 내동면 지역인 용복리에는 조양 탄광(조양탄광역)이 있다.
  • 중남면(中南面)
    • 관할 리 : 삼소(三所), 광덕(光德), 남양(南陽), 답도(畓島), 용원(龍源), 인곡(仁谷), 잠계(岑溪), 청곡(靑谷)
  • 중서면(中西面)
    • 관할 리 : 용전(龍田), 신현(新峴), 용탄(龍灘), 용호(龍湖), 용화(龍和), 용흥(龍興), 운룡(雲龍), 전암(傳巖), 평원(平院)
    • 안주군과의 사이에 연풍호(延豊湖)가 있다.


[1] 하위 24법정동 67법정리[2] 1945년 8월 15일 당시 면적#[3] 1944년 5월 1일 조선총독부 간이국세조사[4] 1944년 5월 1일 기준[5] 하위 27법정동 · 법정리[6] 1945년 8월 15일 당시 면적#[7] 1941년 인구조사[8] 광복 당시 기준 면적. 광복 당시 면적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진남포시' 항목에는 413㎢로 나와있지만, 훨씬 넓었던 용강군이 744.8㎢였던 걸 보면 413㎢는 절대 아니다. 41.3㎢의 오기로 보인다.[9] 광복 당시 기준의 경우 6동 14리. 동의 경우 일제강점기 시기 명칭이었던 정(町, 마치)를 기준으로 한다.[10] 북한 행정구역상 와우도구역의 유래. 섬이었던 것 동쪽에 현재는 와우도호텔이 있다.[11] 원래 면 이름인 '고순화면'의 뜻이 바로 이것. 1398년(태조 5년) 순안현으로 개칭되고 읍치도 지금의 순안구역 일대로 옮겨갔다.[12] 고려시대에는 임원역(林原驛)이라고 불렸으며, 아래에 있는 임원면의 이름 유래가 되었다.[13] 동 시기에 대동군 대동강 이남 지역인 남관면, 율리면, 용연면, 청룡면이 중화군에 편입되었다.[14] 기본적으로 이북 5도의 행정구역은 1945년 8월 15일 해방 당시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하나 해방 이후 이루어진 행정구역 개편이 일부 반영된 사례가 있는데 사리원시, 송림시, 선천군 운종면, 안변군 석왕사면, 신고산면 등이 해당된다.[15] 1944년 호구조사[16] 가장 넓은 읍은 면적 772㎢의 경성군 주을읍. 세번째는 면적 316㎢의 인제군 인제읍으로 남한에서 가장 넓은 읍이다.[17] 1914년 군내면(郡內面)과 무릉면(武陵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18] 1944년 인구총조사[19] 평안남도 양덕군 쌍룡면에 해당.[20]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일대.[21]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경상남도 창원시 숭인동 또한 같은 한자 표기를 사용한다.[22] #[23] 참고로 석박리의 박(礡)은 널리 덮힐 박이라는 벽자로, 한글 윈도의 확장한자에서도 한참을 검색해야 겨우 찾을 수 있다.[24] 1944년 인구총조사[25] 위 지도는 광복 당시가 아닌 1937년 당시의 지도로, 그 이후 이루어진 진남포부 확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1938년 대대면 마사·유사·대두리가, 1945년 대대면 어호·해산·고정·영곡리, 양곡면 문애·천교·초유리, 오신면 한학·도학리, 다미면 지울리가 진남포부로 편입되었다. # 덤으로 광복 이후 간척으로 해안선이 많이 바뀐다.[26] 일명 태성호(台星湖)[27] 독립운동가 김경서(金敬瑞)가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 활약한 장군이다.[28] 좌표 북위 38º50'15", 동경 125º21'00". 믿거나 말거나지만 전설에 따르면 정려문 앞에 일본인이 가면 피를 토하고 즉사한다고 전해진다. 2005년 보도에 따르면 16대 후손인 김광철(당시 30세)이 관리인으로 있다.#[29] 진로의 '진'이 바로 공장이 있던 진지리에서 유래한 것이다. 6.25 전쟁 때 창업주 일가가 월남하여 다시 소주 사업을 시작하면서 현재의 진로소주가 만들어졌고 북한은 여기 남겨진 공장에서 진지리소주를 생산한다고 한다.[30] 육지에서 먼 덕도 및 상하취라도는 1951~53년 국군 부대가 주둔 내지 활동하였다.[31] 김정일신덕샘물을 그것도 전용 취수구에서 따로 받아낸 것만 마셨다.[32] 북한 남포시 산하 구역인 와우도구역의 유래가 된 '와우도(臥牛島)'라는 섬이 영곡리에 있다.[33] 참고로 해당 구간을 지나던 64번 국도 또한 수몰된 상태이다.[34] 위 지도에는 ‘감전리’로 되어 있다. ‘감’ 음의 한자 중 鹽(염)과 자형이 비슷한 監이 있으므로 둘 중 하나는 잘못일 것이다.[35] 일명 台星湖, 大成湖[36] 또는 석암저수지라고도 하는데, 현재 북한에서는 견룡저수지라고 한다.[37] 1944년 인구총조사[38] 1944년 인구총조사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평양시|평양시]]}}}{{{#!if external != "o"
[[평양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평양시?uuid=cf990415-a8aa-4aab-a205-d51d3a2ff406|r227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평양시?uuid=cf990415-a8aa-4aab-a205-d51d3a2ff406#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평양시?from=2279|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평양시|평양시]]}}}{{{#!if external != "o"
[[평양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평양시?uuid=cf990415-a8aa-4aab-a205-d51d3a2ff406|r227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평양시?uuid=cf990415-a8aa-4aab-a205-d51d3a2ff40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평양시?from=2279|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남포시|남포시]]}}}{{{#!if external != "o"
[[남포시]]}}}}}}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남포시?uuid=8f3adba3-2045-438b-a9d8-1a4824953ea1|r357]]}}}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남포시?uuid=8f3adba3-2045-438b-a9d8-1a4824953ea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남포시?from=357|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동군|대동군]]}}}{{{#!if external != "o"
[[대동군]]}}}}}}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대동군?uuid=eb6b2487-1d14-4c9c-b330-f1a87272ee27|r138]]}}}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대동군?uuid=eb6b2487-1d14-4c9c-b330-f1a87272ee2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대동군?from=138|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맹산군|맹산군]]}}}{{{#!if external != "o"
[[맹산군]]}}}}}}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맹산군?uuid=83e927f6-77ef-46ff-a2f0-913523d67ece|r73]]}}}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맹산군?uuid=83e927f6-77ef-46ff-a2f0-913523d67ece#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맹산군?from=73|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개천시|개천시]]}}}{{{#!if external != "o"
[[개천시]]}}}}}}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개천시?uuid=8f8d6240-bec6-4c93-9dc1-0188303e77e0|r101]]}}}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개천시?uuid=8f8d6240-bec6-4c93-9dc1-0188303e77e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개천시?from=101|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안주시|안주시]]}}}{{{#!if external != "o"
[[안주시]]}}}}}}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안주시?uuid=5dbc75c3-fd66-48f7-8449-dc9864fd660e|r179]]}}}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안주시?uuid=5dbc75c3-fd66-48f7-8449-dc9864fd660e#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안주시?from=179|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평원군(북한)|평원군(북한)]]}}}{{{#!if external != "o"
[[평원군(북한)]]}}}}}}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평원군(북한)?uuid=e0e5fc8a-524a-4c3e-9b79-1dd32c896320|r112]]}}}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평원군(북한)?uuid=e0e5fc8a-524a-4c3e-9b79-1dd32c89632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평원군(북한)?from=112|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순천시(북한)|순천시(북한)]]}}}{{{#!if external != "o"
[[순천시(북한)]]}}}}}}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순천시(북한)?uuid=1e3fda61-01bf-4929-830c-7906e5cdfe71|r159]]}}}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순천시(북한)?uuid=1e3fda61-01bf-4929-830c-7906e5cdfe7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순천시(북한)?from=159|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양덕군|양덕군]]}}}{{{#!if external != "o"
[[양덕군]]}}}}}}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양덕군?uuid=d2cb0891-583f-4f29-8aba-df97e4567e63|r82]]}}}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양덕군?uuid=d2cb0891-583f-4f29-8aba-df97e4567e63#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양덕군?from=82|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성천군|성천군]]}}}{{{#!if external != "o"
[[성천군]]}}}}}}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성천군?uuid=7ef7087f-758c-4a19-8438-0b0d0ac5cc3b|r68]]}}}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성천군?uuid=7ef7087f-758c-4a19-8438-0b0d0ac5cc3b#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성천군?from=68|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강동군|강동군]]}}}{{{#!if external != "o"
[[강동군]]}}}}}}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강동군?uuid=51cecffa-f39a-4928-872a-b5d6bc19ffe0|r99]]}}}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강동군?uuid=51cecffa-f39a-4928-872a-b5d6bc19ffe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강동군?from=99|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중화군|중화군]]}}}{{{#!if external != "o"
[[중화군]]}}}}}}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중화군?uuid=3f6ab73e-114e-4787-b84f-193170404f59|r86]]}}}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중화군?uuid=3f6ab73e-114e-4787-b84f-193170404f59#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중화군?from=86|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덕천시|덕천시]]}}}{{{#!if external != "o"
[[덕천시]]}}}}}}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덕천시?uuid=3421754b-a493-436e-b60e-32ffa7956e28|r83]]}}}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덕천시?uuid=3421754b-a493-436e-b60e-32ffa7956e2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덕천시?from=83|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룡강군|룡강군]]}}}{{{#!if external != "o"
[[룡강군]]}}}}}}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룡강군?uuid=4d2167bc-34c2-4ce2-89fb-d884f0004451|r99]]}}}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룡강군?uuid=4d2167bc-34c2-4ce2-89fb-d884f000445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룡강군?from=99|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녕원군|녕원군]]}}}{{{#!if external != "o"
[[녕원군]]}}}}}}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녕원군?uuid=8c33606c-52a4-42f6-8055-76ef93bad119|r74]]}}}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녕원군?uuid=8c33606c-52a4-42f6-8055-76ef93bad119#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녕원군?from=74|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강서구역|강서구역]]}}}{{{#!if external != "o"
[[강서구역]]}}}}}}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강서구역?uuid=3fb26c25-1e2f-45dc-a4df-9bec150a7160|r84]]}}}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강서구역?uuid=3fb26c25-1e2f-45dc-a4df-9bec150a716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강서구역?from=84|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