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color: #1868D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2px" | | | |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
| | | | |
독일 | 라트비아 | | 루마니아 | |
| | | |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몬테네그로 | |
| | | | |
몰도바 | 몰타 | 벨기에 | 벨라루스 | |
| | |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북아일랜드 | 불가리아 | |
| | | |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
| | | | |
스코틀랜드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
| | | |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
| | | |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오스트리아 | |
| | | | |
우크라이나 | 웨일스 | 이스라엘 | 이탈리아 | |
| | | | |
잉글랜드 | 조지아 | 지브롤터 | 체코 | |
| | | | |
카자흐스탄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
| | | | |
튀르키예 | 페로 제도 | 포르투갈 | 폴란드 | |
| | |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 |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 |
Føroyska fótbóltsmanslandsliðið | |
정식명칭 | Føroyska fótbóltsmanslandsliðið[1] Færøernes fodboldlandshold[2] |
FIFA 코드 | FRO |
협회 | 페로 제도 축구 협회 (FSF) |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UEFA) |
FIFA 랭킹 | 136위[3] |
Elo 랭킹 | 140위[4] |
감독 대행 |
에이둔 클라크스타 (Eyðun Klakstein) |
주장 | 할루르 한손 (Hallur Hansson) |
최다출전자 | 프로디 베냐민센 (Fródi Benjaminsen) - 96경기 |
최다득점자 | 로그비 야콥센 (Rogvi Jacobsen), 클레민트 올센 (Klæmint Olsen) - 10골 |
홈 구장 | 토르뵐루르 (Tórsvøllur, 6,040석), 스방가스카르디 (Svangaskarð, 6,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VS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VS VS VS |
별칭 | Landsliðið (팀)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11 | |
하의 | 9 | |
양말 |
1. 개요
페로 제도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74위[5], 최저 순위는 198위(2008년 9월 3일 ~ 11월 11일)이다.2. 상세
감독은 호칸 에릭손이다. 산사태팀 (Landsliðið)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국제대회는 1993년부터 출전하기 시작했지만 인구 적은 속령 국가대표팀들이 다 그렇듯 월드컵이나 유로에서는 동네북 신세다. 그래서 노르딕컵이라는 바이킹계 지역 축구대회에 주로 나가는데, 여기서 1985년 아이슬란드에게 0:9로 크게 진 게 비공식 기록이긴 하지만 역대 최다 실점패 경기다. 반대로 최다 득점 승리 기록은 2021년과 2024년에 리히텐슈타인을 상대로 기록한 5:1, 4:0 승리이다.
독립국가는 아니지만 FIFA에 가입했고 월드컵과 유로 예선에도 출전하고 있다. 하지만 산마리노, 리히텐슈타인, 지브롤터, 안도라와 함께 유럽 축구계에선 최약체, 승점자판기로 취급받는다. 그러나 앞의 국가들과 비교하면 절대 만만한 동네북은 아닌데, 유로 92 예선이 열리던 1990년 9월 12일 지역예선 4조 첫 경기인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홈에서 1-0으로 이긴 적이 있다.[6] 물론 그 다음은 두들겨 맞았고 오스트리아와 사이좋게 1승 1무 6패로 탈락했으며, 3득점 26실점으로 6득점 14실점인 오스트리아보다 압도적으로 밀려 조 꼴찌를 거뒀다.[7]
이후 2014년 11월 15일에 벌어진 유로 2016 예선에서는 그리스 원정 경기에서 1-0으로 이기는 파란을 연출했다! 불과 몇 달 전 월드컵 본선 16강을 찍은 팀을 상대로 원정에서 이긴 것이며[8], 그야말로 그리스 축구 사상 최대 굴욕이라고 할 수모를 안겨줬다.[9] 이 여파로 당시 그리스 대표팀 감독이던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감독은 경질되었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2015년 6월 14일에 있던 유로 2016 예선 경기 안방전도 그리스를 2-1로 이기며 2승을 챙기면서 7월 FIFA 랭킹에서 28계단 올라 74위까지 오르기도 했다.
여기까지 보면 알겠지만, 페로 제도의 실력은 절대 산마리노나 지브롤터같은 100% 승점자판기가 아니며 유럽 중하위권 팀들이 방심하거나 준비가 미비하면 한방 먹일 수 있는 전력은 된다. 위치가 위치인지라 북유럽 특유의 힘과 체력을 무기로 내세워 경기에 임하는데, 이게 상대팀 입장에서는 한 번 경기가 말리면 꽤나 페로 제도 상대로 고생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유명한 선수로는 한때 분데스리가의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서 뛰었다가 현재 벨기에 챌린저 리그의 SK 베베런에서 뛰고 있는 요안 시문 에드문손, 한 때 맨체스터 시티에서 뛰었다가[10] 아이슬란드 리그에서 7년동안 활약한 골키퍼 군나르 닐센 그리고 현재 팀의 주장이자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소속 미드필더인 할루르 한손이 있다. 이밖에도 폴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 1부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이 꽤 많아 인구 대비 굉장한 선수층을 자랑한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에레아.
3. 현재 선수 명단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영문 성명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클럽 | 비고 |
GK | 1 | 군나르 닐센 | Gunnar Nielsen | 1986년 11월 6일 | 64 | 0 | FH | |
12 | 테이투르 게스트손 [11] | Teitur Gestsson | 1992년 8월 19일 | 19 | 0 | HB 토르스하운 | ||
23 | 마티아스 람하우게 [12] | Mattias Lamhauge | 1999년 8월 2일 | 1 | 0 | B36 토르스하운 | ||
23 | 바두어 아 레이나트뢰드 [13] | Bárður á Reynatrøð | 2001년 1월 8일 | 1 | 0 | 비킹구르 괴타 | ||
DF | 2 | 헤리 모르 [14] | Heri Mohr | 1997년 5월 13일 | 4 | 0 | HB 토르스하운 | |
3 | 빌요르무르 다비트센 [15] | Viljormur Davidsen | 1991년 7월 19일 | 56 | 2 | 헬싱보리 IF | ||
4 | 다니엘 요한센 | Daniel Johansen | 1998년 7월 9일 | 4 | 0 | HB 토르스하운 | ||
5 | 손니 나테스타드 | Sonni Nattestad | 1994년 8월 5일 | 41 | 3 | B36 토르스하운 | ||
13 | 회르뒤르 아스캄 [16] | Hørður Askham | 1994년 9월 22일 | 7 | 0 | HB 토르스하운 | ||
14 | 로에그비 발트빈손 [17] | Rógvi Baldvinsson | 1989년 12월 6일 | 49 | 4 | 브뤼네 FK | ||
15 | 오드마르 패뢰 [18] | Odmar Færø | 1989년 11월 1일 | 45 | 1 |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 ||
46 | 아리 모르 욘손 [19] | Ári Mohr Jónsson | 1994년 7월 22일 | 17 | 1 | HB 토르스하운 | ||
34 | 조안네스 다니엘센 [20] | Jóannes Danielsen | 1997년 9월 10일 | 9 | 0 |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 ||
하이니 바튼슈탈 [21] | Heini Vatnsdal | 1991년 10월 18일 | 35 | 1 |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 |||
14 | 안드리아스 에드문드손 [22] | Andrias Edmundsson | 2000년 12월 18일 | 5 | 0 | 호이니찬카 | ||
MF | 6 | 할루르 한손 | Hallur Hansson | 1992년 7월 8일 | 69 | 5 | KR | 주장 |
7 | 요안네스 비아르탈리드 | Jóannes Bjartalíð | 1996년 7월 10일 | 19 | 0 |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 ||
8 | 마인하르트 올센 [23] | Meinhard Olsen | 1997년 4월 10일 | 19 | 1 | 미엔달렌 IF | ||
9 | 길리 로엘란트손 쇠렌센 | Gilli Rólantsson Sørensen | 1992년 8월 11일 | 52 | 1 | 오드 BK | ||
10 | 쇨비 바튼하마르 [24] | Sølvi Vatnhamar | 1986년 5월 5일 | 57 | 2 | 비킹구르 괴타 | ||
16 | 군나르 바튼하마르[25] | Gunnar Vatnhamar | 1995년 3월 29일 | 20 | 2 | 비킹구르 괴타 | ||
헤딘 한센 [26] | Heðin Hansen | 1993년 7월 30일 | 6 | 0 | HB 토르스하운 | |||
20 | 레네 샤키 요엔센 [27] | René Shaki Joensen | 1993년 2월 8일 | 33 | 3 | HB 토르스하운 | ||
22 | 야쿠프 안드레아센 [28] | Jákup Andreasen | 1998년 5월 31일 | 9 | 0 |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 ||
22 | 안드라스 요한센 [29] | Andrass Johansen | 2001년 11월 16일 | 1 | 0 |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 ||
마즈 보에 미켈센 | Mads Boe Mikkelsen | 1999년 12월 11일 | 0 | 0 |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 |||
스테판 라도사블리예비치 | Stefan Radosavljevic | 2000년 9월 8일 | 4 | 1 | 슬라이고 로버스 FC | |||
22 | 브란두르 올센 | Brandur Hendriksson Olsen | 1995년 12월 19일 | 50 | 6 | 프레드릭스타드 FK | ||
FW | 11 | 클래민트 올센 [30] | Klæmint Olsen | 1990년 7월 17일 | 44 | 10 | NSÍ 루나비크 | |
18 | 페투르 크누드센 | Petur Knudsen | 1998년 4월 21일 | 9 | 0 | 륑뷔 BK | ||
18 | 페투르 페테르센 | Pætur Petersen | 1998년 3월 29일 | 3 | 0 | 크나츠피르드뉘피엘라흐 아퀴레이라르 | ||
19 | 아드리안 유스티누센 [31] | Adrian Justinussen | 1998년 7월 21일 | 1 | 0 | HB 토르스하운 | ||
21 | 파트리크 요하네센 | Patrik Johannesen | 1995년 9월 7일 | 14 | 1 | 크나츠피르드뉘데일드 케플라비퀴르 | ||
팔 클레트스카르드 [32] | Páll Klettskarð | 1990년 5월 17일 | 14 | 0 |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 |||
요안 시문 에드문손 | Jóan Símun Edmundsson | 1991년 7월 26일 | 79 | 8 | 크나츠피르드뉘피엘라흐 아퀴레이라르 | |||
하네스 아그나르손 [33] | Hannes Agnarsson | 1999년 2월 26일 | 3 | 0 | B36 토르스하운 | |||
카이 바르탈스토부 [34] | Kaj Leo í Bartalsstovu | 1991년 6월 23일 | 28 | 1 | UMF 니아르드비크 |
4. 역대전적
4.1. FIFA 월드컵
<rowcolor=#fff> 연도 | 라운드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30 우루과이 |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
1958 스웨덴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1970 멕시코 | |||||||||
1974 서독 | |||||||||
1978 아르헨티나 | |||||||||
1982 스페인 | FIFA 비회원국 | ||||||||
1986 멕시코 | |||||||||
1990 이탈리아 | 불참 | ||||||||
1994 미국 | 예선 탈락 | ||||||||
1998 프랑스 | 예선 탈락 | ||||||||
2002 한일 | 예선 탈락 | ||||||||
2006 독일 | 예선 탈락 | ||||||||
2010 남아공 | 예선 탈락 | ||||||||
2014 브라질 | 예선 탈락 | ||||||||
2018 러시아 | 예선 탈락 | ||||||||
2022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26 북미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2. UEFA 유로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60년 프랑스 |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1964년 스페인 | |||||||||
1968년 이탈리아 | |||||||||
1972년 벨기에 | |||||||||
1976년 유고슬라비아 | |||||||||
1980년 이탈리아 | UEFA 비회원국 | ||||||||
1984년 프랑스 | |||||||||
1988년 서독 | |||||||||
1992년 스웨덴 | 예선 탈락 | ||||||||
1996년 잉글랜드 | |||||||||
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 |||||||||
2004년 포르투갈 | |||||||||
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 |||||||||
2012 폴란드/우크라이나 | |||||||||
2016년 프랑스 | |||||||||
2020 분산개최 | |||||||||
2024 독일 | |||||||||
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유로에서는 처음 나간 유로 92 예선에서는 위에 나오듯이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1승을 거뒀고, 유로 96예선에서는 더 약체인 산마리노를 3-1, 3-0으로 이기며 2승을 거뒀지만 나머지는 죄다 참패하며 2승 8패로 탈락했다. 유로 2000에서는 3무 7패, 유로 2004에서는 1무 7패, 유로 2008에서는 12전전패, 유로 2012에서는 에스토니아를 안방에서 2-0으로 이기며 1승 1무 8패를 기록했고, 유로 2016은 2승 8패, 유로 92부터 2016 예선까지 모두 6승 6무 54패를 거뒀다.
4.3. UEFA 네이션스 리그
연도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2018-19 시즌 | D | 3 | 6 | 1 | 2 | 3 | 5 | 10 |
2020-21 시즌 | D | 1 | 6 | 3 | 3 | 0 | 9 | 5 |
2022-23 | C | 2 | 6 | 2 | 2 | 2 | 7 | 10 |
2024-25 | C | 3 | 6 | 1 | 3 | 2 | 5 | 6 |
2번째 시즌인 2020-21 시즌에는 몰타, 라트비아, 안도라와 한 조가 되었다. 첫경기 상대는 지난시즌 유일한 승리 상대국인 몰타이다. 2-1로 패배 위기에 놓였다가 88분과 90+1분에 극적인 골로 승리했다.
2024-25시즌엔 개막전부터 1포트 북마케도니아를 상대로 1:1 무승부를 거뒀다. 이후 5차전에선 직전시즌 리그 B에서 강등된 아르메니아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뒀으나, 최종적으로 1승 3무 2패를 당해 잔류에 성공한다.
[1] 페로어[2] 덴마크어[3] 2025년 9월 18일 기준[4] 2025년 9월 16일 기준[5] 2015년 7월 9일 ~ 8월 5일(1차, 1개월), 2016년 10월 20일 ~ 11월 23일(2차, 1개월), 총합 약 2개월[6] 이게 페로 제도의 유로 예선 첫 승리다. 다만 당시 오스트리아는 역시 동네북 신세로 페로 제도와 같은 1승 1무 6패를 기록할 정도로 유럽 약체급으로 떨어졌던 시절이었던 것을 감안해야 한다.[7] 오스트리아 원정은 0-3으로 설욕패를 당했다.[8] 참고로 2014년 10월 당시 페로 제도의 FIFA 랭킹은 187위로 세계적인 최약체이며 그리스는 FIFA 랭킹이 18위였다.[9] 한국 대표팀이 당한 몰디브 쇼크나 오만 쇼크가 원정경기임을 감안하면 가히 차원이 다르다. 여담으로 유로 96 예선경기에서 (유로 예선사상) 처음이자 딱 1번 만난 그리스에게 원정 0-5, 안방 1-5로 패했던 페로 제도였는데 역대 그리스전 유로 예선 성적은 이로서 1승 2패가 되었다.[10] 다만 리저브팀에서만 주로 뛰었으며 1군으로 출전한 경우는 단 한 경기 뿐이라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11] 선생님[12] 판매직원[13] 학생[14] 자동차 딜러[15] 자동차 딜러[16] 건축업자[17] 프로그램 관리자 겸 컨설팅 회사 CEO[18] 보트 수리회사[19] 금융 컨설턴트[20] 전기 기사[21] 전자 공학 기술자[22] 폴란드 3부리거[23] 학생[24] 건축업자[25] 개인 트레이너[26] 물고기 요새와 가면 작업장에서 근무[27] 전기 기사[28] 선원[29] 학교 동아리 조교[30] 학교 수위[31] 전기 기사[32] 건축가 인턴[33] 목수[34] 이발사[35] 2022년 4월 15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