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가서스급 강습상륙함 ペガサス級強襲揚陸艦 | Pegasus-Class Assault Landing Ship | |
| |
화이트 베이스 | 그레이 팬텀 |
1. 개요
기동전사 건담에 등장하는 지구연방군의 우주 모함 중 화이트 베이스를 비롯한 '목마 타입'의 강습상륙함을 지칭하는 말. 일반적인 전함의 급수 매기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초도함의 함명이 페가서스였기 때문에 페가서스급이 되었다.2. 상세
MS를 6기 탑재할 수 있는 뛰어난 가성비를 자랑했지만 실제로 운용 동선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었다고 하며,[1][2] 블랑 리발부터는 함재기의 운용 동선이 개량되고 무장을 개편하는 등 원래의 페가서스급이 지니고 있던 성능상의 어중간함을 상당히 개선했다. 하지만 아가마급, 알렉산드리아급, 아이리시급 등과 같이 같은 컨셉을 지니면서도 더욱 범용성이 향상된 전함들이 설계되면서 페가서스급은 알비온을 끝으로 생산종료 처리가 된다.화이트 베이스가 그 유명한 RX-78-2의 모함이었던데다 이후 각종 외전 시리즈에서 형식번호 불명인 페가서스급들이 상당히 많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우주세기계열 2차 창작이나 건담 TRPG 등에서 1년전쟁을 다룰 때 단골로 등장하는 떡밥 소재이기도 하다.
2015년까지 알려진 동형함[3]을 활동 시대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수많은 설정 변경으로 인해 함선 번호와 형식명이 마구 꼬이기 때문에 1번함과 2번함 이외에는 번호를 기록하지 않는다.[4]
건담 오리진에서는 구조가 단순화된 페가서스급의 간이형이 대량 양산돼서 등장. TV판에서 MS 운용용으로 개조되어 등장했던 살라미스급 순양함을 대체해서 등장한다.
3. 자매함
3.1. 형식번호가 알려진 페가서스급
3.1.1. SCV-69 페가서스
- 함적번호: SCV-69 (LMSD-70 or MSC-01)
- 페가서스급 강승상륙함 1번함.
- 기동전사 건담 소설판에서는 2번함인 화이트 베이스의 역할을 대신해 주인공 측 함선으로 등장하였다.
3.1.2. SCV-70 화이트 베이스
| | |
화이트 베이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이트 베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이트 베이스#|]][[화이트 베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적번호: SCV-70 (LMSD-71 or MSC-02)
- 페가서스급 강습상륙함 2번함.
3.1.3. SCV-71 화이트 베이스 II
- 함적번호: SCV-71 (LMSD-72)
- 화이트 베이스 II 혹은 화이트 베이스 Jr.라고도 호칭된다.
3.1.4. SCVA-72 서러브레드
| |
서러브레드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러브레드(기동전사 건담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러브레드(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서러브레드(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적번호: SCVA-72 (LMSD-73)
3.1.5. SCV-73 블랑 리발
| |
블랑 리발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랑 리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랑 리발#|]][[블랑 리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적번호: SCV-73 (LMSD-74)
3.1.6. LMSD-75 트로이 호스
- 함적번호: LMSD-75 (SCVA-73)
- 사실 영문법상으로는 '트로잔 호스(Trojan Horse)'가 맞다. 이즈부치 유타카의 설정화를 재활용하는 김에 MSV를 통해 설정정리를 하는 과정에서 그레이 팬텀과 똑같은 설계도를 가지고 만들어냈다는 설정으로 추가되었다.
3.1.7. LMSD-76 그레이 팬텀
<nopad> |
그레이 팬텀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레이 팬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레이 팬텀#|]][[그레이 팬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8. SCVA-74 스탤리온
- 함적번호: SCVA-74 (MSC-06 or LMSD-77)
3.1.9. MSC-07 알비온
| |
알비온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비온(건담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비온(건담 시리즈)#|]][[알비온(건담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항적번호: MSC-07 (LMSD-78)
3.2. 형식번호가 알려지지 않은 페가서스급
- 페가수스J
토미노 감독의 퍼스트 건담 소설판에서 주인공측의 신형 전함으로 나온다. - 발키리
- 슬레이프닐 - 슬레이프닐改
- 이카로스
- 일 니도
- 켄타우로스
- 트리뷴
- 페가서스 II
아 바오아 쿠 공방전에서 살아남은 뒤 헤비 건담을 탑재한 채로 페즌 공략에 투입되었고, 콘페이토 관함식의 핵바주카 공격에서 살아남아 0087년 시점에서 현역으로 돌아가는 유일한 페가서스급이 되었다. 에우고에 소속되어 활동하면서 아가마급 2번함인 페가서스 III의 네이밍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제1차 네오지온 항쟁에도 투입되어 나름대로의 전과를 올리며 살아남았다. 우주세기 0090에 열린 대규모 관함식에 참가한 직후 박물관에 보존되며 은퇴. - G급 강습상륙함
지온의 재흥에 나오는 준페가서스급 강습상륙함. G급이라는 별개의 설계 급수로 운영된다는 설정만이 나온다. - CVS-18 글로리어스 (GLORIOUS)
- 글리사드 (GLISSADE)
- 그라우제나우 (GRAUZENAU)[5]
- 골콘다 (GOLCONDA)
- 가랜드 (GARLAND)
- 헤카테
코믹스인 기동전사 건담 웨어볼프에 나오는 티탄즈 소속의 페가서스급 강습상륙함이다. 외형으로만 보면 알비온과 같은 계열로 보인다.
3.3. 다른 작품에 등장하는 페가서스급
3.3.1. 스파르탄
스파르탄 Spartan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c4e49><colcolor=#fff> 함종 | 페가서스급 강습상륙함 |
제작 | 지구연방군 | |
운용 | 지구연방군 | |
추진 | 제트/로켓 스러스터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 |
무장 | 580mm 2연장 주포 1문 2연장 메가입자포 2문 대공포 다수 미사일 발사기 다수 | |
MS 탑재량 | 10기 | |
MS 캐터펄트 | 2기 |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에 등장하는 강습상륙함.[6]
1년 전쟁 후에 건조가 되었으며 독자적인 가변구조를 채택하여 기존의 페가서스급과는 이질적인 직선적인 실루엣으로 완성되었는데, 통상 상태인 순항 모드와 대기권 돌입 모드로 나뉜다.
함수 부분 컨테이너는 블록화가 되어 있으며 함선 본체에 분리되어 공기부양정으로서 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소수 병력[7][8]을 탑재해 함이 갈 수가 없는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좌우 양현의 모빌슈트 덱은 18M급 MS의 2배 이상 정도 높이이며, 위의 함수 부분 컨테이너까지 포함하면 3배 정도 높이-MS를 기준으로 3층급 높이가 된다. 단, 그레이 팬텀이나 알비온과는 달리 모빌슈트 덱의 내부 구조는 2층 구조가 아니라, 중간 천장/바닥이 없는 1층 구조이다.
작중에서 지구로 대기권 강하하는 모습으로 첫 등장하며 정예부대를 이끌고 남양동맹를 격퇴 및 리유즈 P 디바이스 데이터 탈환 목표로 투입한다.
3.3.2. 페가서스 / 소돈
<nopad> |
페가서스 / 소돈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돈#|]][[소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에 등장하는 페가서스급 강습상륙함.[9] 샤아 아즈나블에게 노획된 이후, 지온 공국군의 유일한 강습상륙함 소돈으로 개장되었다.
4. 게임에서의 등장
||<-5><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bgcolor=#353535><color=#fff> SD건담 G제네레이션 GENESIS ||
| | | | |
<rowcolor=#fff> 화이트 베이스 | 서러브레드 | 블랑 리발 | 그레이 팬텀 | 알비온 |
형식번호나 설정화가 존재하지 않는 함선이 게임에 등장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서는 주로 아가마 이후의 함선 위주로 등장하지만 윙키 소프트에서 제작하던 초기작에서는 가끔 초기 전함으로 그레이 팬텀이 참전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명칭 변경 전에 발매된 작품일 경우 트로이 호스라는 이름으로 참전했다. 제2차 슈퍼로봇대전 α, 제3차 슈퍼로봇대전 α에서는 알비온이 참전하기도 했다.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에서는 주요 페가서스급이 모두 참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초기 전함으로 크랍급 순양함을 개장한 스페이스 아크급 훈련함 캐리 베이스가 주어지므로 일반적으로는 게스트 유닛으로만 사용한다.
[1] 좌우 격납고에 각각 3기씩의 기체를 탑재하고, 중앙 격납고에는 건페리 수송기를 탑재했는데, 작 중 묘사나 이후 등장한 모형, 설정화 등을 보면 이 격납고들이 각각 독립된 공간으로 되어있어서 다 따로따로 관리해야 했다. WB는 함재기 부족으로 오른쪽 격납고엔 전투기만 운용하고 왼쪽 격납고에서 MS를 운용하는 방식이었다고.[2] 이 때문에 이후로는 화이트 베이스를 포함한 초기형들은 원래 우주전투기 탑재용 강습함 컨셉이었다가 MS의 대두로 설계변경이 이뤄졌기 때문에 동선이 불편했던 것으로 처리하는 듯 하다. 덤으로 화이트 베이스가 건담을 싣게 된 것도 원래 1번함 페가서스가 어느 정도 건조가 진행중에 설계가 변경되어 재개수를 하느라 처음부터 신설계로 건조된 화이트 베이스보다 진수가 늦었기 때문이라고 넘어가는 듯.[3] 사실 서러브레드까지만 같은 골격을 쓰고 있고 블랑 리발 이후로는 계속해서 개량형 설계도를 사용하고 있지만, 지구연방군에서는 같은 페가서스급으로 묶어서 분류하고 있다. 정확하게는 I형 모델부터 IV형 모델까지 총 4가지의 프레임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4] 특히 모빌슈트 건담 디 오리진에선 페가서스가 등장하지 않고 그냥 화이트 베이스가 1번함이다.[5] 그나이제나우를 의도한 것으로 추정된다.[6] 정식 한글판에서는 상륙을 일본식 표현인 양륙으로 직역해서 '강습양륙함'이라고 번역했다.[7] 짐 10기 정도가 만재로 추정.[8] 1번기는 아쿠아 짐 5기, 볼 5기 또다른 캐리어는 건담헤드 5기, 건탱크 3기.[9] 건담과 함께 사이드 7에 반입되었다는 점에서 화이트 베이스와 동일한 함선이라고 오해할 수도 있지만, 함번이 초도함 페가서스와 동일한 LMSD-70이며 작중에서도 페가서스로만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