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1 22:06:22

패트릭 코빈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278><colcolor=#fff> 투수 17 이볼디IL-15 · 22 그레이IL-60 · 23 켈리 · 30 처치40인 · 35 라이터 · 41 밀너 · 43 암스트롱 · 46 코빈 · 48 디그롬 · 51 말리IL-60 · 54 쿨롬 · 55 마틴 · 57 커벨로40인 · 58 에드워즈 Jr. · 60 · 61 브래드포드IL-60 · 62 R.가르시아 · 66 스보즈IL-60 · 67 라츠 · 71 · 80 라커40인 · 82 테오도40인 · 84 산토스40인 · 87 코니엘40인 · 88 메이튼
포수 11 히가시오카 · 28 하임
내야수 2 시미언IL-10 · 4 피더슨 · 5 시거IL-10 · 6 · 8 스미스 · 20 듀란 · 21 버거 · 25 무어 · 39 프리먼 · 44 텔레즈 · 56 포스큐40인
외야수 0 해거티IL-10 · 19 오수나 · 24 헬먼 · 32 카터IL-60 · 36 랭포드 · 38 해리스40인 · 53 A.가르시아
''' 파일:미국 국기.svg 브루스 보치'''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루이스 우루에타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비엘 · 파일:미국 국기.svg 브렛 분
파일:미국 국기.svg 세스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매덕스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브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락스데일 ·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비슬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던 티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렛 헤이스 파일:미국 국기.svg 바비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체이스 카살리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알레한드로 마르티네즈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라운드 락 익스프레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6번
브록 버크
(2022~2024)
패트릭 코빈
(2025~)
현역
파일:패트릭코빈_레인저스.jpg
<colbgcolor=#003278><colcolor=#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No.46
패트릭 코빈
Patrick Corbin
본명 패트릭 앨런 코빈
Patrick Alan Corbin
출생 1989년 7월 16일 ([age(1989-07-16)]세)
뉴욕 주 클레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시세로-노스 시라큐스 고등학교 - 모호크 밸리 커뮤니티 칼리지 - 치폴라 대학교
신체 190cm | 95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2009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80번, LAA)
소속팀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12~2018)
워싱턴 내셔널스 (2019~2024)
텍사스 레인저스 (2025~)
계약 1yr / $1,000,000
연봉 2025 / $1,000,000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수상 내역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패트릭 코빈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패트릭 코빈/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3. 피칭 스타일


평균 구속이 91~2마일의 포심과 80마일 초반대의 슬라이더가 구종구사율에 90%에 달하는 투피치 투수이다. 그 외에도 체인지업과 싱커를 던지긴 하지만 보여주기 용으로 간간히 던지는 수준이다. 슬라이더는 매이저리그를 대표하는 마구인데, 2018년에는 슬라이더 구종가치 27.0으로 메이저리그 전체 투수 가운데 1위를 찍었다.[1] 통산 K/9은 8.9개로 준수한 편이고[2] 통산 BB/9도 2.67개일 정도로 제구력이 안정적인 투수이다.
파일:patrick-corbin-nationals-rotation-nl-east.jpg
또한 비교적 건강한 축에 들어가는 선발 투수 중 한 명으로, 비록 토미 존 수술을 받긴 했지만 이외에는 부상을 비교적 덜 당하는 편인 데다가 데뷔하고 8시즌 동안 200이닝을 넘긴 시즌이 3번으로 이닝 소화력이 매우 뛰어나며, 부진하기 시작한 2020년부터도 이닝은 잘 먹는 모습을 보인다.

단점은 투피치의 한계와 꾸준히 낮아지고 있는 구속. 게다가 클레이튼 커쇼처럼 패스트볼의 무브먼트가 뛰어난 것도 아니다.[3] 따라서 구속이 저하될 시 코빈에게는 더욱 타격이 큰데, 특히, 코빈의 플레이 스타일이 리그 최고 수준의 슬라이더를 통해 삼진을 쌓는 유형인 만큼 그를 받쳐주는 패스트볼이 망가지면 성적이 안 나올 수밖에 없다.

실제로 2020 시즌에서 낮아진 평균 구속의 여파로 평균자책점이 4.66으로 올라갔다. 구종간 하모니를 이루지 못하고 피칭 디자인 자체가 망가져 버린 케이스로 슬라이더가 전성기에 비해 크게 고장난것도 아닌데 그것 말고는 쓸 만한 게 아무것도 없어진 상태.

그리하여 2021년에는 그야말로 폭망했고 2022년에는 성적이 더 낮아지며 아예 20패를 노리는 등 리그 최악의 투수로 전락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탈 한번 나지 않고 건강하게 로테이션을 돌고 있다. 거의 제 2의 배리 지토 수준.[4]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2019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2019)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2회 (2013, 2018)
파일:MLB 로고.svg 워렌 스판 상 (2019)

5. 여담

  • 팀 동료였던 폴 골드슈미트의 말에 따르면 그는 매우 겸손한 선수라고 한다. 그가 사이닝 보너스를 받았을 때 비싼 차를 사지않고 중고차를 구입했으며 빅 리그에 데뷔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큰 집을 사기보단 잠시동안 부모님에게 신세를 졌다고 한다. 또한 코빈은 유소년 농구 경기도 자주 보러간다고 한다.
  • 그는 3명의 자매가 있는데 그의 자매 중 한 명은 대학 농구 팀에서 활동한다고 한다. 참고로 코빈은 그의 여자 친구를 N-CS에서 활동할 당시에 만났다고 한다.
  • 2019년 유명을 달리한 타일러 스캑스와 절친인데, 스캑스가 7월 1일 유명을 달리하자 다음날 선발등판을 하여 그의 등번호 46번 대신 스캑스의 등번호 45번을 달고 경기에 임했다.[5] 친구에 대한 추모의 의미로 경기 이후 눈물을 흘리기까지 했다. 코빈은 이날 7이닝 1실점으로 호투했으나 답이 없는 워싱턴의 불펜이 승리를 날려먹으면서 친구의 영전에 승리를 바치지 못했다.
  • 2020년부터 이닝은 잘 먹지만 구속 감소로 부진하자 탱킹장군이라는 별명이 붙었으며, 먹튀가 사실상 확정된 2023년 들어서는 탱킹 대원수라는 멸칭까지 붙어버렸다.
  • 정민철, 이영미기자에 의하면 류현진의 슬라이더 롤모델이였다함.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71930>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98 1999~2004 2005 2006~2009 2010
앤디 베네스 랜디 존슨 하비에르 바스케스 브랜든 웹 댄 해런
<rowcolor=#e3d4ad> 2011~2013 2014 2015 2016~2017 2018
이안 케네디 웨이드 마일리 조시 콜멘터 잭 그레인키 패트릭 코빈
2019 2020~2022 <rowcolor=#3ec1cd> 2023~2025
잭 그레인키 매디슨 범가너 잭 갤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ab0003>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svg워싱턴 내셔널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69 1970 1971 1972 1973
머드캣 그랜트 조 스파마 칼 모튼 빌 스톤맨 마이크 토레스
<rowcolor=#ffffff> 1974 1975 1976~1983 1984 1985
스티브 렌코 데이브 맥널리 스티브 로저스 찰리 레이 스티브 로저스
<rowcolor=#ffffff> 1986 1987 1988~1993 1994~1996 1997
브린 스미스 플로이드 유먼스 데니스 마르티네즈 제프 파세로 짐 벌린저
<rowcolor=#ffffff> 1998 1999~2000 2001~2002 2003 2004~2006
카를로스 페레즈 저스틴 허만슨 하비에르 바스케스 토니 아미스 주니어 리반 에르난데스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2010 2011 2012~2014
존 패터슨 오달리스 페레즈 존 레난 리반 에르난데스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rowcolor=#ffffff> 2015~2016 2017 2018~2021 2022~2023 2024
맥스 슈어저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맥스 슈어저 패트릭 코빈 조시아 그레이
<rowcolor=#ffffff> 2025
맥켄지 고어
}}}}}}}}} ||
패트릭 코빈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WSH_2019_WSChampion.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19

파일:2013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3 2018

파일:MLB 로고.svg 2019년 메이저 리그 워렌 스판 상
블레이크 스넬
(탬파베이 레이스)
패트릭 코빈
(워싱턴 내셔널스)
류현진
(토론토 블루제이스)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46번
후안 미란다
(2011)
<colcolor=#fff> 패트릭 코빈
(2012~2018)
라일리 스미스
(2020~2021)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46번
토미 마일론
(2018)
패트릭 코빈
(2019~2024)
결번
}}} ||
[1] 토드 헬튼이 본인이 봤던 슬라이더 가운데 가장 뛰어난 슬라이더로 코빈의 슬라이더를 꼽았다.[2] 커리어하이 시즌인 2018년에는 K/9이 11.07개였다.[3] 특히나 커쇼 역시 극심한 구속 저하를 겪으며 성적이 하락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그 최고의 수직 무브먼트 덕에 현재까지도 리그에서 준수한 좌완 선발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4] 리그 최고의 변화구를 가진 좌완 투수라는 점, 원래 느렸던 구속이 더욱 느려져서 배팅볼화 되었다는 점, FA로 거액을 받고 팀을 옮겨 월드시리즈 우승까지 했지만 먹튀로 전락했다는 점까지 비슷하다.[5] 사실 45번의 주인이 있으면 불가능했을 지 모르지만 다행히 이 당시 워싱턴의 45번은 빈 번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