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브루드 워 테프전에서 프로토스의 전략으로, 호칭을 줄여서 '패비터'라고도 불리운다.아비터가 테프전의 명실상부한 주력 테크 유닛이던 시절에는 자원 지대 2개에서 빠르게 앞마당 가스와 아둔을 짓고 아비터 테크를 넘어가는 것에 한해 패스트 아비터라고 부르는 용례도 있었으나, 현재는 3번째 넥서스를 지은 뒤에 테크를 타는 것도 포함하여 하이템플러 생산과 스톰 업그레이드를 찍기 전에 아비터를 찍는 빌드는 모두 패스트 아비터라고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테란의 5팩 타이밍 혹은 공1업 6팩 타이밍 러시는 일반적으로 아비터 테크와 3멀티를 동시에 확보하면서 막을 수 없다는 것이 정론이므로, 테란의 본진을 보기 전에 3번째 넥서스를 지을지 테크를 확보할지를 고르게 된다.
과거에는 옵저버 드라군 체제에서 바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으며 리버 체제 이후에도 선택할 수 있다. 혹은 다크 드랍 이후 어차피 템플러 아카이브를 보유하고 있는 점을 이용해 아비터 테크로 넘어가기도 하는데, 이 경우 다크로 피해를 주지 못하면 타이밍 러시에 취약해진다.
SC Evo Complete에서는 필수적인 전략이 되었다. 스타2 테란은 사이언스 베슬, 마인이 없는 대신 병영 유닛들이 한결같이 관문 유닛(질드라)에 강한데다가 유령과 바이킹에 밤까마귀까지 갖추게 되면 모든 관문 유닛[2]에 셔틀리버까지 봉쇄해 버릴 수 있다. 해방선이 나오기 시작하면 지상 유닛 갈려나가는 건 일도 아니라 후반으로 끌리면 끌릴 수록 스1 프로토스는 페널티만 물게 된다. 대신 초반 디텍터라고는 궤도 사령부와 미사일 터렛 밖에 없는데, 이 때 스캔을 쓰게 되면 지게로봇 쓸 여유가 줄어들고, 최적화 타이밍도 꼬이는 점을 이용해 다크템플러 견제, 패스트 아비터 전략을 시전하는 것이다.[3] 아비터 트리뷰널 올리자마자 스테이시스 필드는 무조건 연구해야 하며[4], 이 때 다크템플러는 아비터와 다크 아칸 마법스킬 연구하는 시간을 버는 용도로 쓰인다. 만약 이 전략이 성공하게 되면 아비터의 은폐장 + 다크 아칸과 하템의 더블스톰으로 중반에 끝내기가 가능하다. 밤까마귀를 뽑는게 보인다면 다크 아칸의 피드백을 쓰면 디텍팅 견제도 된다.[5]
2. 마당 아비터
3멀티를 먹기 까다로운 경우[6] 자주 선택되는 빌드로, 3멀티를 빠르게 가져가는 것을 포기하고 드라군을 수비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물량보다는 테크를 선택하는 빌드의 특성상 아비터의 리콜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빌드이다. 그만큼 첫 리콜의 중요성이 매우 큰 편.
3. 3넥 아비터
3넥서스 워프 이후 적 기지를 정찰하면서 업테란임을 확인하면 아비터 테크를 올리게 된다.4넥서스에서 병력을 짜내 첫 아비터의 스테이시스 필드 타이밍에 인구 200을 채워 메카닉 병력을 소모하는 200뚫기 전략을 선택하거나, 공격이 여의치 않다면 리콜 마나가 차기 전까지 남는 자원으로 타스타팅 멀티와 게이트를 짓고 도망자 토스 운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한계
변현제, 장윤철 등을 필두로 속셔템 메타가 도래하면서, 아비터의 마나가 차야만 교전이 가능한 패비터류 빌드들은 최상위권 전프로들의 대결에서는 거의 사장된 빌드가 되었다. 특히나 옵드라 아비터의 경우, 상대의 3커맨드를 견제하기 너무나도 어렵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이 점이 대표적으로 드러난 것이 과거의 2팩 3컴, 2팩 4컴 메타로, 이렇게 배를 불린 테란이 무난하게 3/2업을 찍고 진출하는 것을 막을 수단이 없어진다. 그리고 템플러가 늦고 적기 때문에 순수 질드라 비중이 늘고 자연스레 중반 한타력도 속셔템에 밀린다.패비터 빌드는 아비터를 빠르게 확보하는 빌드인 만큼 첫 아비터의 스킬에 게임이 좌우되는데, 전프로 테란 수준에서는 느리고 숫자도 적은 아비터의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3커맨드를 무난하게 주게 되면 1스테이시스 200뚫기 타이밍에 테란이 충분한 인구수를 채우고 건물 탱킹 등을 동원해 큰 피해를 주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리콜 역시나 각종 지역에 마인을 매설하고, 아비터가 올 만한 동선에 베슬을 배치하는 등의 플레이로 테란 게이머들의 수비력이 올라가자 치명적인 타격을 주는 경우가 거의 없어졌다.
ASL S14~15에서는 김택용이 몇 차례 꺼내들었으나, 테란들의 단단한 수비를 뚫어내지 못하고 무력하게 무너졌다. 도재욱은 개인 방송에서 대회장의 컨디션에 크게 좌우되는 속업셔틀 운영보다 저점이 높은 아비터 운영을 선택한 것 같다는 언급을 한 바 있다.
간혹 다크드랍 이후의 빠른 아비터는 꺼내는 선수들도 있으나, 아비터 테크보다는 3멀티를 짓고 리버를 찍어 타이밍을 막는 플레이가 더 자주 보이는 편. 어쨌든 현재 준프로 이상의 매치에서 순수 패비터는 잘 안 쓰이는 개념이 되었다. 다만 스타대학판의 저티어 경기에서 패스트 다크 이후에 패비터로 넘어가는 다크 패비터 전략이 강력한 위용을 뽐냈으며, 굳이 다크로 무리하게 찔러 큰 이득을 보지 않아도 베슬 이전까지 테란의 디텍팅 지구력이 약한 테란의 종족 특성을 저격할 수 있다는 게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 와중에 속업셔틀에 대응하기 위해, 셔틀템을 제대로 운영하기 전에 후들겨 패려고 5팩 타이밍이 성행하게 된다. 그러자 토스들은 아비터를 다른 방향으로 활용하기 시작. 먼저 테크를 올리면서 미리 다크를 한 두기씩 축차 투입하여 스캔을 빼거나, 탱크를 썰거나, 마인 역대박을 노리는 등 밑간을 쳐 놓고, 이후 아비터 자체의 광역 클로킹 능력으로 마법 없이 테란의 타이밍을 막는 플레이를 깎아오게 된다. 최근 테프전에서 테란의 대응과 연관된 화두, 소위 속셔 vs 아비터 체제 이지선다가 이런 배경 속에서 탄생하였다. 즉 다크로 이득을 못 보고 패비터를 갔는데 테란이 아예 3/3업 200 버티기를 지향하며 드러누우면 대략 난감해져 리콜대박 못 내면 답이 없는 구조이고, 속업셔틀은 멀티를 자주 털기 용이하고 한타력도 더 쎄서 마인 트리플이나 눕는 테란에 대응하기 좋은 대신 빠른 타이밍에 죽기 쉬운 구조인 것.
[1] 전자는 마당 아비터, 후자는 3넥 아비터 등으로 불리는 편.[2] 다크 아칸 제외[3] 대신 다템 견제를 통해 궤도사령부 에너지를 빼먹으며 스타2 테란의 최적화 견제에 성공해야 하며, 실패하면 그 판은 질 확률이 매우 높다.[4] 리콜보다도 스테이시스 필드의 우선순위가 높다. 은폐장 유지, 물량 가르기, 마법유닛의 광역기로 녹이기가 주목적인 이상 리콜의 경우 사용이 힘들고 설사 사용했다 하더라도 스테이시스 필드 없이는 바이오닉 상대로 정면싸움이 너무 힘들기 때문에 정말 허를 찌르는게 아닌 경우 리콜로는 실패하기 마련이다.[5] 밤까마귀의 체력은 140이고 에너지 최대량은 200이라 먼저 피드백을 맞추면 반드시 일격사고, 방해 매트릭스를 쏴도 남는 에너지가 125라 드라군 평타 한 대에 죽는 체력이 되어버린다.[6] 대표적으로 투혼에서 테란이 프로토스의 반시계 방향에 위치한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