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Pantheon of Discord불화의 만신전
닥터후에 등장하는 악한 신적 존재들의 집단[1]으로 흔히 판테온이라고 불린다.
판테온이란 설정 자체는 스핀오프 사라 제인 어드벤처에 등장하는 트릭스터를 통해 처음 공개되었고, 이후 뉴뉴 시즌 1을 기점으로 마에스트로라는 새로운 판테온 소속 빌런이 공개되며 재등장했으며, 기존에 올드 시즌 빌런이었던 토이메이커, 수테크, 마라 등이 판테온 소속이었다는 설정이 붙으며 본편에 역수입되었다.
2. 목적
<colbgcolor=#090b2b><colcolor=#FFFFFF> |
The Trickster: At last. Doctor. I could feel this moment reverberating back through the ages. The meeting of the Pantheon of Discord and the last of the Time Lords.
트릭스터: 드디어다, 닥터. 이 순간이 시대를 거슬러 메아리치는 것이 느껴진다. 불화의 만신전(판테온)과 타임로드의 마지막 생존자의 만남.
The Doctor: I've known the legends of the Pantheon since I was a little boy. I've fought your shadows and your changelings. I never thought we'd actually meet.
닥터: 어릴 때부터 너희 판테온의 전설은 들었어. 난 너희 그림자들이랑, 너희 쪽에 연결된 놈들이랑 싸웠지. 근데 진짜로 만날 줄은 몰랐네.[2]
The Trickster: And I know the legends of the Doctor. The man of ice and fire, who walked among gods, who once held the Key to Time in his hands.
트릭스터: 나 또한 닥터의 전설을 안다. 신들 사이를 걷고, 한때 시간의 열쇠를 손에 쥐었던 얼음과 불의 사나이.
트릭스터: 드디어다, 닥터. 이 순간이 시대를 거슬러 메아리치는 것이 느껴진다. 불화의 만신전(판테온)과 타임로드의 마지막 생존자의 만남.
The Doctor: I've known the legends of the Pantheon since I was a little boy. I've fought your shadows and your changelings. I never thought we'd actually meet.
닥터: 어릴 때부터 너희 판테온의 전설은 들었어. 난 너희 그림자들이랑, 너희 쪽에 연결된 놈들이랑 싸웠지. 근데 진짜로 만날 줄은 몰랐네.[2]
The Trickster: And I know the legends of the Doctor. The man of ice and fire, who walked among gods, who once held the Key to Time in his hands.
트릭스터: 나 또한 닥터의 전설을 안다. 신들 사이를 걷고, 한때 시간의 열쇠를 손에 쥐었던 얼음과 불의 사나이.
우주를 혼란에 휩싸이게 만드는 것이 이들의 주요 목적이다. 닥터도 어렸을 때부터 판테온에 대한 전설을 들어왔다고 하며, 닥터의 존재 자체가 이들의 목적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제거하려고 시도한다.[3] 어떻게 보면 그레이트 인텔리전스와 목적이 비슷하다. 하지만 조직의 구성원들이 신적 존재이기 때문에 그 닥터가 이들을 상대할 때 긴장하는 편이다. 실제로 14대 닥터 또한 오랜만에 재회한 토이메이커를 보자마자 도나에게 당장 타디스에 돌아가야 하며 거듭된 일로 지쳤다고는 하나 이번에는 과연 도나를 구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한 바가 있으며 이때 겪었던 일들이 트라우마로 남은것인지 15대 닥터는 마에스트로가 토이메이커의 웃음소리를 흉내내는것을 보자마자 루비를 데리고 도망쳤다.
그리고 캡틴 잭 하크니스도 마라의 일부에 속하는 요정의 요구대로 아이를 넘겨줄 수밖에 없었다.
<colbgcolor=#090b2b><colcolor=#FFFFFF> |
3. 강함
I came to this universe with such delight, and I played them all, Doctor.
I toyed with supernovas, turned galaxies into spinning tops.
I gambled with God and made him a jack-in-the-box.
I made a jigsaw out of your history. Did you like it?
"나는 아주 기쁜 마음으로 이 우주에 와서 전부 가지고 놀았어.
초신성을 가지고 놀고 은하를 팽이로 만들었지.
신과 도박해서 그를 상자 속 인형으로 만들기도 했고
너의 역사를 직소 퍼즐로 만들었어. 마음에 들던가?"[4]
- 토이메이커
여태까지 닥터가 맞서 싸웠던 적들 중에서 초월적인 힘을 갖고 있다. 현실우주에 강림하는 것 만으로도 하빈저라는 존재를 만들어내고 추방당할때도 그 여파를 남기며 주위의 현실을 왜곡시킬 정도.I toyed with supernovas, turned galaxies into spinning tops.
I gambled with God and made him a jack-in-the-box.
I made a jigsaw out of your history. Did you like it?
"나는 아주 기쁜 마음으로 이 우주에 와서 전부 가지고 놀았어.
초신성을 가지고 놀고 은하를 팽이로 만들었지.
신과 도박해서 그를 상자 속 인형으로 만들기도 했고
너의 역사를 직소 퍼즐로 만들었어. 마음에 들던가?"[4]
- 토이메이커
또한 신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권능의 수준에 다다른 현실조작 능력을 보인다. 수테크는 모든 시간대와 우주를 멸망 직전에 몰아넣었으며, 그보다 더 약하다는 토이메이커는 신을 장난감으로 만들고 은하로 팽이치다 못해서 아예 닥터의 역사를 개변시키기도 한다. 이는 트릭스터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토이메이커의 자녀인 마에스트로는 아예 생명체의 음악을 빨아들이기까지 한다.
4. 약점
하지만 모두가 "신들의 규칙"에 묶여 있어서 질문에는 반드시 대답을 해야 한다.[5]또한 자신이 관장하는 속성에 구속받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 토이메이커는 "게임" 승부가 들어오면 반드시 수락해야하고, 어느 한쪽이 게임에서 패배하면 이긴 쪽은 반드시 보상을 받아야만 한다.[6]
* 마에스트로는 "특정 화음"을 통해서만 현실 우주에 침입할 수 있고 반대로 "추방의 화음"이 연주되면 추방당한다.
* 트릭스터는 부하들을 이용해 "계략"을 꾸며서 자신이 간섭할 수 있도록 타임 패러독스를 먼저 만들지 않으면 현실에 간섭이 불가능하다.
* 마라는 실체가 없이 "짐승"의 본능에 따라 움직이며, 본능을 치유하는 정신치유 같은 공격에 취약하다.[7]
* 황제 럭스는 "빛"을 통해 힘을 얻지만, 지나치게 빛이 주입되면 형체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8]
* 수테크는 타임 볼텍스를 통해 힘을 얻은 특수한 경우라 닥터가 타임 볼텍스를 이용해서 죽일 수 있었다. 또한 "죽음"의 신이었던 수테크가 "죽음"을 맞이하자 "죽음의 죽음은 생명"이라는 논리 하에 수테크가 죽인 존재들이 전부 원래대로 돌아오게 된다.
* 마에스트로는 "특정 화음"을 통해서만 현실 우주에 침입할 수 있고 반대로 "추방의 화음"이 연주되면 추방당한다.
* 트릭스터는 부하들을 이용해 "계략"을 꾸며서 자신이 간섭할 수 있도록 타임 패러독스를 먼저 만들지 않으면 현실에 간섭이 불가능하다.
* 마라는 실체가 없이 "짐승"의 본능에 따라 움직이며, 본능을 치유하는 정신치유 같은 공격에 취약하다.[7]
* 황제 럭스는 "빛"을 통해 힘을 얻지만, 지나치게 빛이 주입되면 형체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8]
* 수테크는 타임 볼텍스를 통해 힘을 얻은 특수한 경우라 닥터가 타임 볼텍스를 이용해서 죽일 수 있었다. 또한 "죽음"의 신이었던 수테크가 "죽음"을 맞이하자 "죽음의 죽음은 생명"이라는 논리 하에 수테크가 죽인 존재들이 전부 원래대로 돌아오게 된다.
5. 구성원
5.1. 본편
<colbgcolor=#090b2b><colcolor=#FFFFFF> |
- 토이메이커 - 게임의 신.
- 수테크 - 죽음의 신. 판테온에 속한 신들 중에서 제일 강하며 리더로 볼 수 있는 존재다.
- 마라 - 짐승의 신.
- 트릭스터 - 계략의 신. 스핀오프 시리즈 사라 제인 어드벤처의 주요 빌런이다.
- 마에스트로 - 음악의 신. 토이메이커의 자식이다.
- 레프로베이트 - 앙심의 신. 수테크에 의해 이름으로만 언급된 멤버.
- 인센서 - 재앙의 신. 수테크에 의해 이름으로만 언급된 멤버. 성별은 여성. '의심(Doubt)'과 '공포(Dread)' 라는 자녀가 있다고 언급된다.
- 황제 럭스 / 미스터 링아딩 - 빛의 신.
- 악마 - 공식 유튜브 채널에 따르면 판테온의 일원이라고 한다.
- 라그나로크의 신들(Gods of Ragnarok) - 수많은 우주를 파괴하고 창조할 만큼 강력한 존재들. 올드 시즌 25 에피소드 11~14 "The Greatest Show in the Galaxy(은하 최대의 쇼)"에서 모습을 드러냈으며, 본인들의 유흥을 위해 7대 닥터를 위협했지만 오히려 역으로 털렸다. 공식 유튜브 채널에 따르면 판테온의 일원이라고 한다.[9]
- 라그(Raag)
- 나(Naah)
- 로크(Rok)
5.2. 확장 세계관
- 크람푸스 - 코믹스 <Imaginary Enemies>에서 등장한 빌런. 확장 세계관에서만 등장한 인물이라 정사가 아니다.
6. 기타
- 원작자 러셀 T. 데이비스는 "혼돈의 신들"이라는 명칭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7. 관련 문서
[1] 여기서 선악이란건 인간의 기준이며 실제로는 혼돈을 추구하는 존재들이다.[2] 이는 판테온의 하수인이나 그와 관련된 자들하고 싸운 적은 있지만, 판테온 멤버와 직접 조우한 건 처음이란 말이다. 아마 이전에 Turn Left 편에서 트릭스터의 분신인 시간 딱정벌레와 트릭스터의 하수인(점쟁이)의 계략으로 닥터가 죽을 뻔한 걸 언급한 모양인데, 복수형으로 언급한 걸 보면 드라마 내에서 묘사는 안 했지만 그 외에도 또 있었던 모양이다. 물론 현 시점에서는 올드 시즌의 토이메이커, 수테크, 마라도 판테온이었다는 설정이 역수입되어서 설정 충돌이 된 대사지만, 당시에 닥터가 저들이 판테온이란 걸 몰랐다 치면 어찌저찌 말은 된다.[3] 사실 아래에서 보듯 닥터의 종족인 타임로드를 성가신 존재로 보는 듯 하다.[4]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던 닥터는 이 말을 듣고 의아해한다.[5] 닥터가 마에스트로와 럭스를 상대할 때 이 규칙을 언급하지만 이것이 특정 질문인지 아니면 모든 종류의 질문인지는 불명.[6] 물론 게임에서 이기기 위해 속임수를 써대지만 이건 상대방도 가능하다. 또한 토이메이커는 규칙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만 속임수를 규칙에 넣어 사용할 수 있고, 규칙이 이미 정해진 게임에서는 속임수를 쓸 수 없다.[7] 추가로 옮겨다닐 숙주가 없으면 소멸해버린다.[8] 시즌 2 늑대인간을 생각하면 된다. 달빛이 한계를 넘어 주입되자 형체를 잃고 영혼 형태로 소멸한다.[9] 수테크가 언급한 악의, 장난, 불행의 삼신이 이들로 추정된다.[10] 이후, 마스터는 토이메이커와의 게임에서 패배해 그의 금니에 봉인당한다. 토사구팽으로 봐도 무방한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