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 핀란드 해군 (1945~현재) Merivoivat | Marinen | ||
| <colbgcolor=#FFF>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FFF> ''' SSK ''' | 베테히넨급R | 사우코R | |
| [[어뢰정|''' 어뢰정 (PT) ''']] | 타이스토급R | 후르야급R | 유무급R | ||
| [[초계정|''' 초계정 ''']] | PB | 키이슬라급R | VMV급R | |
| PG | 투룬마급 | 우시마급R |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R급R | 누올리급R | 바사마 I급R | |
|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 하미나급 | 라우마급 | 헬싱키급R | 투이마급R | 이스쿠급X/R |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투룬마급R | |
| ''' PCG ''' | {포흐얀마급} | ||
| 해방함 | 배이내뫼이넨R | ||
| [[호위함|''' 호위함 ''']] | ''' FF ''' | 해민마급R(초대/1964) | 마티 쿠르키급R | |
| ''' 상륙정 ''' | ''' LCI ''' | 예후급 | 유르모급 | 우이스코급 | G급 | L급 | |
| 기뢰부설함 (MLS) | 해민마급(2대/1991) | 판시오급 | 포흐얀마급R(1978) | 케이하살라미급R | 루옷신살라미급R | 테플로호트급R | ||
| [[소해함|''' 소해함 ''']] | ''' {{{#!wiki style="margin: -0px -9px" ''' | 카탄파급 | |
| ''' MSC ''' | 쿠하급(2대/1974) | 키이스키급 | 쿠하급R(초대/1941) | 아흐벤급R | 라우투급R | ||
| ''' 지원함 ''' | ''' 수송함 (AP) ''' | 우토급 | L100급 | 발라스급 | 하우키급 | 캄펠라급 | 힐라급 | 로히급 | |
| 지원정 | 하우키파급 (YT) | ||
| ''' 무인함 ''' | ''' UUV ''' | 시폭스-I ROV | |
| 훈련함 | 파비안 레데급 | 로키급 | 헤이키급 |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X: 시험용 도입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 ※둘러보기 : |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 바레인 | 카타르 |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
1. 개요
핀란드 해군의 기뢰부설함.100톤 정도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다. 핀란드 해군 내에서의 별명은 '기뢰 페리 (mine ferry)'.
2. 제원
| 판시오급 기뢰부설함 Pansio-luokan miinankerros Pansio-klass | ||
| 배수량 | 680톤 | |
| 전장 | 43m | |
| 전폭 | 10m | |
| 흘수선 | 2m | |
| 승조원 | 19명 | |
| 출력 | 1,500HP | |
| 최고 속력 | 11노트 (약 20km/h) | |
| 동력 | 기관 | 디젤 엔진 × 2기 |
| 무장 | RWS | 사브 트랙파이어 × 1기 (칼라시니코프 기관총 또는 H&K GMG 유탄기관총 × 1정 탑재) |
| 기뢰 | 시 마인 2000 × 50발 | |
| 기타 | NSV 중기관총 × 1정 | |
| Sako 2연장 23mm 87구경장 기관포 × 2기 (철거) | ||
3. 동형함 목록
| 핀란드 해군 | |||||
| 함번 | 함명 | 건조사 | 모항 | 취역일 | 상태 |
| 90 | 판시오 (Pansio) | 올킬루오토 원자력 발전소 | 판시오항 | 1991년 9월 25일 | 현역 |
| 92 | 피하란타 (Pyhäranta) | 우핀니에미항 | 1992년 5월 26일 | 현역 | |
| 91 | 포르칼라 (Porkkala) | 1992년 10월 29일 | 현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