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4em; word-break: keep-all" | 오리지널 | <colbgcolor=#fff,#1c1d1f> 뮤츠의 역습 | <colbgcolor=#fff,#1c1d1f> 루기아의 탄생 |
결정탑의 제왕 앤테이 |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 | ||
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 | |||
뮤츠의 역습 EVOLUTION(리메이크) | |||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총집편/한국 한정) | |||
AG | 아름다운 소원의 별 지라치 | 열공의 방문자 테오키스 | |
뮤와 파동의 용사 루카리오 | 포켓몬 레인저와 바다의 왕자 마나피 | ||
DP | 디아루가 VS 펄기아 VS 다크라이 |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 | |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 환영의 패왕 조로아크 | ||
BW | 비크티니와 영웅 시리즈 | 큐레무 VS 성검사 케르디오 | |
신의 속도 게노세크트 뮤츠의 각성 | |||
<colbgcolor=#00c6ed> XY·Z | 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 | 후파: 광륜의 초마신 | |
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 | |||
리부트 | 너로 정했다! | 모두의 이야기 | |
정글의 아이, 코코 | |||
← 본편 · 메인 포켓몬 · 보스 |
극장판 포켓몬스터 XY : 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 (2014) Pokémon the Movie: Diancie and the Cocoon of Destruction ポケモン・ザ・ムービー XY 破壊の繭とディアンシー | |
| |
장르 | 애니메이션, 모험, 가족, 판타지 |
감독 | 유야마 쿠니히코 |
총작화감독 | 모리 카즈아키 사토 카즈미(佐藤和巳) |
각본 | 소노다 히데키 |
원작 | 타지리 사토시 |
제작 | 아라이 켄이치, 아사이 미토무, 후쿠나가 스스무 |
주연 | 마츠모토 리카, 오오타니 이쿠에, 마키구치 마유키 하야시바라 메구미, 카지 유우키, 이세 마리야 |
음악 | 미야자키 신지 |
테마곡 | 김효수 - Pray For You |
제작사 | |
수입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상영 시간 | 98분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 $26,732,338 출처 |
일본 박스오피스 | 29.1억 엔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233,347명(최종) |
공식 홈페이지 | 홈페이지 |
상영등급 |
1. 개요
|
2. 줄거리[1]
칼로스 지방에는 생명을 관장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설의 포켓몬이 두 마리 존재했다. 한 마리는 생명을 주는 힘을 가진 포켓몬인 제르네아스였고 한 마리는 모든 생명을 빼앗는 힘을 갖고 있는 이벨타르였다.아득한 옛날, 이벨타르는 칼로스 지방에서 모든 생명을 앗아가 돌로 바꿔버린 끝에 고치가 되어 잠들었다. 그 이후 나타난 제르네아스는 돌로 된 포켓몬과 자연에 생명을 주어 되살려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현대. 이벨타르와 제르네아스에 의한 일련의 사건은 '대파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그 현대의 칼로스 지방에는 멜리시들이 평화롭게 사는 왕국 '다이아몬드 광국'이 존재하고 환상의 포켓몬 디안시가 공주로서 광물 국가를 다스리고 있었다.
광물 국가에는 거대 다이아몬드 형의 에너지원 "성스러운 다이아몬드"가 놓여 있으며, 광물 국가는 그 광석으로 형태를 유지했다. 그 성스러운 다이아는 디안시밖에 만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디안시는 아직 성스러운 다이아몬드를 만들지 못했다. 그 사이에도 성스러운 다이아의 수명은 줄어들어, 광물 국가는 멸망의 때를 앞두고 있었다.
어느 날, 쇠퇴해가는 다이아몬드 광국에 지우 일행이 찾아온다. 디안시와 만난 지우 일행은 광국의 위기를 알게 되고, 제르네아스에게서 생명의 힘을 나눠 받아 성스러운 다이아를 만들기 위해 디안시와 함께 여행을 떠난다. 그러나 디안시의 능력을 노린 로켓단과 도적 마릴린 플레임, 닌자 라이오트가 각각 일행을 습격해온다. 다행히 수수께끼의 부녀인 알거스와 밀리스의 도움으로 위기를 넘긴 지우 일행과 디안시는, 제르네아스의 페어리오라에 이끌려 대파괴의 상처가 남은 '오르어스의 숲'에 도착하고 이벨타르의 파괴의 고치와 맞닥뜨리게 된다.
3. 등장인물
3.1. 레귤러 등장인물
3.2. 극장판 등장인물
- 밀리스 스틸
성우는 나카가와 쇼코/안영미. 알거스 스틸의 딸이다. 디안시가 제르네아스를 만나야 제대로 된 보석을 만들 수 있다는걸 알고는 처음에는 디안시를 로켓단과 다른 도적들로부터 지켜주었다. 하지만 디안시가 제르네아스를 만나고 난 후 본색을 드러내는데, 사실 그녀는 디안시가 제르네아스를 만나기 전까지는 완전한 다이아를 만들 수 없다는 걸 알고 있었고 그래서 디안시가 제르네아스를 만나서 페어리오라를 받을 때까지 기다린 것이었다. 파트너 포켓몬은 브리가론.
- 마릴린 프레임
성우는 아다치 리카/문남숙. 소유 포켓몬은 마폭시와 메가자리. 마녀의 복장을 하고 있고, 파트너는 마폭시를 둔다. 라이벌인 닌자 라이어트와 항상 대립한다. 그러다 오로스 숲에서 디안시를 두고 싸울 때 이벨타르가 잠들어 있는 강에 빠질 뻔하였으나 라이어트가 공주님 안기로 무심코 프레임을 받아 내면서 부끄러운 반응을 보인다. 그러다 이벨타르가 부활하면서 숲의 모든 생명체를 파괴하기 시작하고, 그녀의 마폭시가 이벨타르로 인해 돌로 변하여 프레임은 슬픔에 빠지게 된다. 라이어트가 프레임을 격려하면서 이벨타르의 공격을 라이어트가 감싸고 둘이 같이 석화되어버린다. 이후 제르네아스로 오로스 숲이 원래대로 복구되면서 부활한 프레임은 라이어트에게 키스를 하고, 엔딩에서는 라이어트의 청혼을 받아들인다.
- 닌자 라이어트
성우는 야마데라 코이치/신용우. 소유 포켓몬은 개굴닌자와 아이스크. 닌자 컨셉의 도적이라 소유 포켓몬 또한 닌자가 모티브인 포켓몬. 마릴린 프레임과 적대하면서 개굴닌자로 디안시를 빼앗는데 성공하지만, 계속되는 라이벌 도적들의 방해로 놓치게 된다. 도적들과 지우 일행이 디안시를 두고 서로 싸우던 중 강으로 떨어질 뻔한 프레임을 무심코 구하기도 한다. 사실 그녀에게 관심이 있었던 것을 암시한다. 그러다 이벨타르가 깨어나면서 파트너 포켓몬들이 석화되고, 마폭시를 잃은 프레임을 격려하면서 프레임을 감싸 이벨타르의 공격을 맞아 버린다. 다행히 제르네아스에 의해 돌아오고 둘은 서로 사랑하게 되며, 엔딩에서는 라이어트가 마릴린에게 청혼하고 마릴린이 받아들인다.
- 아야카
오프닝에서 지우와 배틀하는 것으로 등장.
- 카르네
나레이션 파트에서 간피와 대결한다.
- 간피
메가 핫삼으로 카르네와 대결한다.
- 웃치 - CV : 우치다 아쓰토/심규혁
일본 축구선수 우치다 아쓰토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캐릭터. 쇼핑물에서 직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파트너 포켓몬은 피카츄인데 2014 FIFA 월드컵에서 일본 축구팀 마스코트가 피카츄였기 때문이다.
- 뿔카노
세레나가 도둑들로부터 디안시를 지키기 위해 뿔카노 한 마리를 빌려 멀리 도망갈 수 있었다.
3.3. 주요 포켓몬
- 다몬
성우는 이이즈카 쇼조[2]/노민[3]. 다이아몬드 광산국의 장로 멜리시. 오래전 오르어스의 숲의 멸망을 눈으로 보기도 하였다. 디안시에게 '신성한 다이아'의 수명이 다했음을 알려준다. 이후 디안시와 함께 제르네아스를 만나는데 곁에 있던 집사 멜리시들과는 달리 이벨타르에게 당하지 않았다.
- 나이트, 메슈머, 조크
성우는 사토 켄스케/엄상현(매슈머). 총 3마리로 멜리시로 디안시의 보디가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디안시가 멋대로 빠져나가면서 멜리시들은 디안시를 찾으러 나서지만 지우 일행에게 도둑들과 한패인줄 알아 디안시를 놓치게 된다. 이후에는 도둑들로부터 디안시를 지키면서 다시 만나 지우 일행과의 오해를 풀고, 모두 디안시를 지키려다가 이벨타르에게 당했으나 제르네아스 덕택에 부활한다.
4. 평가
| |
신선도 없음% | 관객 점수 58% |
<nopad> |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
별점 5.926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
별점 3.19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
평점 6.7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
별점 6.3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
별점 3.4 / 5.0 |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
지수 없음% | 별점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display:127328"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27328;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7328|{{{#!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기자·평론가 6.00 / 10 | 관람객 8.28 / 10 | 네티즌 8.10 / 1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00 / 10 | 관람객 8.28 / 10 | 네티즌 8.10 / 10 |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2d2f34><tablebgcolor=#fff,#191919>
||
평점 8.5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
지수 9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6A5ACD><tablebordercolor=#6A5ACD><tablebgcolor=#fff,#191919>
||
별점 3.9 / 5.0 |
‘메가진화’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버린다면 (★★★)
김소희
김소희
역대 포켓몬 극장판들 중에서도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전작들의 악평을 극복하기 위해서 스토리에 여러 플롯을 넣고 서비스 씬을 많이 넣었는데 문제는 이걸 다 보여주면서 진행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짧았다. 하나 하나 뜯어보면 디안시의 메가진화에 대한 해석 등 괜찮은 점을 볼 수 있지만 이걸 짧은 시간 안에 다 보여주려 하니 전체적인 이야기는 중구난방이 되고 병풍이 되는 캐릭터들이 많이 나오게 된 것이다. 보여줄 건 많은데 시간은 짧으니 자연스레 후반부는 급전개로 진행된 것.이렇다보니 정작 중요한 역할인 이벨타르와 제르네아스가 공기화되어,[4] 터무니 없이 짧은 분량과 무엇보다도 매우 빈약한 액션[5]으로 끝나버리는 사태가 빚어져 지적을 받고있다.
게다가 영화 스토리의 중심은 제르네아스와 이벨타르의 대결이 아니라 디안시의 여정이 메인이기 때문에 XY 메인 전포들은 분량도, 비중도, 나와야 할 당위성조차도 없다. 그나마 제르네아스는 '디안시가 신성한 다이아몬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제르네아스로부터 페어리 오라를 받아야 한다'는 최소한의 연결점이나마 있었으나, 이벨타르는 다른 캐릭터들의 싸움으로 갑작스럽게 부활한 정도. 차라리 디안시가 힘을 얻어 쫓아오는 스타팅 최종진화 악당 3인방을 지우 일행들과 함께 물리치는 스토리로 가는 게 훨씬 자연스러웠을 것이라는 반응도 존재한다.
5. 흥행
베스트위시 시절의 악영향이 본작의 평가와 함께 일본 현지 흥행성적은 29.1억엔으로 그쳤으며 15기부터 시작된 흥행성적 하락을 이어받고 말았다. 전체 포켓몬 극장판 중에서도 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 다음으로 낮은 성적이고 특히 흥행 성적이 20억엔 대로 떨어진 것은 12년 만이다. 15기 극장판 때부터 이어진 하락세가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일단 본작 자체의 스토리가 그다지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어, 전작들의 탓으로만 돌리기엔 무리가 있다.6. 기타
- 일문을 직역하면 "파괴의 관(고치)과 디안시"로 번역되지만, 한국판 제목은 "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로 명칭되었다. 신의 속도 게노세크트 뮤츠의 각성까지는 극장판 포켓몬스터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이 극장판부터는 '포켓몬 THE MOVIE'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다만 한국에서는 극장판 포켓몬스터를 그대로 쓴다.
- 개봉 이틀 전인 7월 17일에 본 극장판의 프리퀄인 '광국의 프린세스 디안시'가 TV로 방영되었다. 또한 포켓몬들만이 등장하는 단편 작품 '피카츄, 이건 무슨 열쇠!?'도 극장판과 동시 상영작이다.
- 일본의 개봉일인 7월 19일(719)은 디안시의 도감 번호다.
- 극장판 특전으로 포켓몬스터 X·Y에 본작의 키 포켓몬인 디안시와 일본 내 인기투표 1위를 차지한 4세대의 환상의 포켓몬 다크라이를 배포한다. 다크라이의 경우 통상적으로는 배울 수 없는 고스트다이브를 배우고 있다. 섀도다이브의 하위호환 기술을 굳이 준 건, 5세대에서 조작되어 올 경우를 미리 차단하기 위해서로 보인다. 디안시는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로 데려가면 디안시를 메가디안시로 메가진화시킬 수 있는 디안시나이트를 받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디안시를 X·Y뿐만이 아니라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도 배포하므로, 별도로 옮길 필요가 없다. 다크라이도 마찬가지.
- 더빙판 엔딩이 무척이나 좋다. 곡명은 Pray For You로 가수 김효수가 불렀으며, 상당한 퀄리티의 록발라드 곡이다.
- 포스터의 글자 배치가 미묘하고 과 글자의 폰트 크기가 작아서 언뜻 보면 파괴의 포켓몬 디안시로 읽히기 쉽다.
- 작중에는 묘사가 미묘하기는 하지만, 메가진화에 대한 떡밥이 하나 숨어있다. 디안시가 메가진화할 때, 메가스톤[6]의 역할을 하는게 의외인 물건. 영화가 끝나기 직전에 그 물건을 확대해서 보여주는데, 그때서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 도적 마릴린 플레임과 닌자 라이오트는 영화 후반에서 썸을 타기 시작하더니 보너스 영상에서 라이오트가 마릴린에게 청혼한다. 참고로 이 둘은 이벨타르에게 습격당하기직전 서로를 도와주면서 플래그를 꼽다가 이벨타르의 데스윙을 맞기 직전 서로를 껴안으면서 확인사살.
- 극장판의 모티브 지역은 캐나다의 나이아가라 폭포와 휴런 호. 캐나다가 프랑스어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적절한 지역캐스팅이라고 할 수 있겠다.
- 빌런들의 포켓몬인 개굴닌자, 마폭시, 브리가론은 지우 일행들(지우, 세레나, 시트론)의 포켓몬인 개구마르, 푸호꼬, 도치마론의 최종 진화체다.
[1] 일본 위키 참고[2] 개봉 10년전에 방송되었던 포켓몬스터 AG에서 사천왕 권수를 맡은 경력을 갖고 계신다. 그것을 게임으로 비유해보면 포켓몬스터 에메랄드가 나온지 10년후에 오루알사가 나온것으로 감안해야 한다.[3] 양쪽 다 멜리시의 귀요미한 외모와는 달리 위화감 넘치는 굵직굵직하고 중후한 목소리로 연기하였다. 일반 멜리시보다 수염(?)이 길고 장로라는 설정이기 때문에 중후한 목소리의 성우를 꼽은 것 같다.[4] 그런데 게임에서도 둘은 비슷한 취급을 받는다.[5] 말이 액션이지 사실상 기술 한번 부딪히고 끝난다.[6] 사실 문제의 물건은 디안시가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메가진화를 했기 때문에 키스톤으로 보일 수 있지만 전개를 생각하면 메가스톤이여야 이치가 맞는다. 다만 지우 일행이 키스톤을 손에 넣은 상태가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