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1 12:37:27

트랜스포머 제너레이션 2/완구

1. 개요2. 탄생 계기3. 특징4. 제품 목록
4.1. 미국판 해즈브로 라인업
4.1.1. 19924.1.2. 1993
4.1.2.1. 미니 오토봇4.1.2.2. 컨스트럭티콘 (오렌지)4.1.2.3. 오토봇 카4.1.2.4. 디셉티콘 제트4.1.2.5. 컬러 체인저4.1.2.6. 다이노봇4.1.2.7. 리더4.1.2.8. 시계
4.1.3. 1994
4.1.3.1. 에어리얼봇4.1.3.2. 컴뱃티콘4.1.3.3. 로터 포스4.1.3.4. 레이저 로드4.1.3.5. 히어로4.1.3.6. 그 외4.1.3.7. 봇콘 19944.1.3.8. 프로텍토봇 (발매 취소)4.1.3.9. 스턴티콘 (발매취소)
4.1.4. 1995
4.1.4.1. 고-봇
4.1.4.1.1. 웨이브 14.1.4.1.2. 웨이브 24.1.4.1.3. 웨이브 34.1.4.1.4. 웨이브 4 (발매취소)
4.1.4.2. 사이버 제트
4.1.4.2.1. 웨이브 14.1.4.2.2. 웨이브 2
4.1.4.3. 레이저 사이클
4.1.4.3.1. 웨이브 14.1.4.3.2. 웨이브 2 (발매취소)
4.1.4.4. 오토 롤러
4.1.4.4.1. 웨이브 14.1.4.4.2. 웨이브 2 (발매취소)4.1.4.4.3. 웨이브 3 (발매취소)
4.1.4.5. 레이저4.1.4.6. 봇콘 1995 한정판4.1.4.7. 시계4.1.4.8. 파워 마스터4.1.4.9. 히어로 (발매취소)4.1.4.10. 그 외 발매취소 제품
4.2. 유럽판 해즈브로 라인업
4.2.1. 1994
4.2.1.1. 스파카봇4.2.1.2. 엑셀러레이터4.2.1.3. 스카이스코처4.2.1.4. 로터봇4.2.1.5. 아쿠아스피더4.2.1.6. 스톰트루퍼4.2.1.7. 라이트포머4.2.1.8. 트랙콘4.2.1.9. 일루미네이터스4.2.1.10. 히로익4.2.1.11. 스카이라이더4.2.1.12. 다이노봇4.2.1.13. 히어로4.2.1.14. 오블리레이터4.2.1.15. 리더
4.2.2. 1995
4.2.2.1. 고-봇
4.2.2.1.1. 웨이브 14.2.2.1.2. 웨이브 2
4.2.2.2. 미니제트4.2.2.3. 파워마스터4.2.2.4. 레이저 사이클4.2.2.5. 오토 롤러
4.3. 타카라판 G-2 라인업
4.3.1. 고-봇4.3.2. 사이버제트4.3.3. 레이저 바이크4.3.4. 레이저 로드4.3.5. 프라임 오브 저스티스4.3.6. 앰퍼러 오브 디스트럭션4.3.7. 어드밴스드 텍티컬 봄버
4.4. 안텍스 아르헨티나 완구 라인4.5. 상당한 양의 미발매 완구
4.5.1. 리데코 제품들
4.5.1.1. 목록
4.5.2. 신규 금형 프로토타입들
4.5.2.1. 목록
4.6. G2 이후 시리즈
5. 외부 링크6. 기타

1. 개요

트랜스포머 G2 전개 당시 발매된 완구를 정리한 문서.

2. 탄생 계기

오리지널 트랜스포머 시리즈가 미국에서 자취를 감춘 지 2년 뒤, 해스브로는 1992년 말 ‘트랜스포머: 제너레이션 2’로 시리즈를 새롭게 단장했다. 인기 캐릭터와 기존 완구, 새로운 기믹, 그리고 당시 유행하던 화려한 90년대식 색감까지 더해, 해스브로는 예전의 성공을 다시 일으켜보려 했다.

제네레이션 2는 미국과 유럽에 거의 동시에 출시됐지만, 일본에서는 1995년에 들어서야 판매가 시작됐고, 그전까지는 트랜스포머 제품 자체가 매장에서 사라진 상태였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해당 리부트는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몇 가지 요소는 이후 트랜스포머 시리즈에 기준점이 되긴 했지만, 브랜드를 다시 살리기엔 역부족이었다. 결국 해스브로는 세 번째 해를 끝으로 제네레이션 2를 접고, 완전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게 되는데......

3. 특징

초기 제너레이션 2는 팬들 사이에서 빠르게 'G1'이라 불리게 된 오리지널 트랜스포머 완구들을 리페인트하거나 소소한 부품을 추가해 재출시하는 방식이 중심이었다. 여기에 유럽 시장에서만 출시됐던 신제품 금형 일부도 함께 쓰였다. 하지만 1년이 지나면서부터는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된 제품들이 이전 완구의 재활용 수를 넘어섰고, 디자인과 기믹 면에서도 G1 시절을 훨씬 능가하는 수준까지 발전했다. 특히 제너레이션 2 후반부에 들어서는 로봇 모드에서의 관절 가동성이 크게 향상되어, 트랜스포머가 사실상 '액션 피규어'에 가까운 존재로 변모했고, 이는 이후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게 된다.

또한 제너레이션 2는 당대 장난감 시장의 트렌드 변화에도 발맞추려 했다. 특히 옵티머스 프라임과 메가트론처럼 중심이 되는 캐릭터들을 다양한 가격대와 형태로 계속 매장에 유지하는 전략을 썼는데, 이는 90년대의 성공한 타 완구 라인들이 방대한 캐릭터 라인업이 아닌 소수 핵심 캐릭터 위주로 운영됐던 흐름을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팬들의 반가움을 샀던 인기 제품들이 다시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는 기대에 못 미쳤다. 일부 팬들은 색상 선택이 문제였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시기적 타이밍이 좋지 않았고, 이미 형이 가지고 있는 오래된 장난감 같다는 인식이 더 큰 요인이었다. 이후 완전히 새로 만든 금형 제품이나, 초반에 혼란을 주었던 세력 엠블럼을 없앤다든가, 대형 완구에 3D 트레이딩 카드 같은 보너스를 끼워주는 등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지만 큰 반전은 없었다.

라인 후반에 나온 레이저 옵티머스 프라임처럼 화려한 기믹이 잔뜩 들어간 신제품도 있었지만, 당시 아이들에게는 '진짜 차량으로 변신하는 로봇'이라는 콘셉트 자체가 매력적이지 않았던 것이다. 게다가, 향수를 자극하는 성인 수집가 시장은 당시엔 너무 작아서 전국 규모의 완구 라인을 지탱할 수준이 되지 못했다. 여기에 신흥 강자인 마이티 몰핀 파워레인저, 여전히 인기 있던 닌자 거북이, 그리고 아이들의 관심을 장난감에서 멀어지게 만든 비디오 게임 콘솔의 급성장까지 겹치면서 제너레이션 2는 점점 밀려나게 된다.

광고용 애니메이션의 부재도 한몫했다. 당시 제너레이션 2 이름으로 방영된 것은 사실상 80년대 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을 단순히 편집한 것에 불과했고, 실제 완구들과는 연계성이 거의 없었으며, 방송도 지상파나 주요 채널이 아닌 애매한 시간대의 케이블 편성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오리지널 트랜스포머가 성공했던 큰 이유 중 하나가 강력한 TV 애니메이션 광고 효과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이다.

결국 제너레이션 2는 2년 반 정도만에 조용히 종료됐고, 개발 중이던 신제품 중 다수는 시장에 나오지도 못한 채 묻혔다. 일부는 유럽, 호주, 뉴질랜드에서 간신히 출시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빛을 보지 못했다. 다만 이후 몇몇 금형은 다른 라인업에서 색을 바꿔 재활용되기도 했다.

이 시점에서 해스브로는 경쟁사였던 케너를 인수했고, 트랜스포머 브랜드가 존폐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 남자아이용 완구 제작 부서를 케너 쪽으로 넘기고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트랜스포머를 재구성하기로 결정하는데... 그게 바로 비스트 워즈 이다.

4. 제품 목록

4.1. 미국판 해즈브로 라인업

4.1.1. 1992

크리스마스 시즌에 맞춰 처음으로 시장에 출시됐다. 규모 면에서는 비교적 소박한 시작이었고, 구성 역시 전부 G1 제품들의 리데코였으며, 이마저도 인페르노나 다이노봇은 원래 제품과 거의 구분이 가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차이점이라면 본체 어딘가에 새겨진 AUTOBOT 문구 정도.

여담으로 흥미로운 프로모션이 하나 있었는데, 11월 말부터 연말 가족영화 상영 전 극장에서 제너레이션 2 완구 광고가 상영되었고, 관람객에게는 옵티머스 프라임을 2달러 할인받을 수 있는 쿠폰이 포함된 전단지가 제공됐다. 이 쿠폰의 유효 기간은 1992년 12월 31일까지였다.
4.1.1.1. 컨스트럭티콘 (옐로우)
4.1.1.2. 오토봇
4.1.1.3. 다이노봇
4.1.1.4. 디셉티콘

파일:G2Starscream_toy.jpg
4.1.1.5. 리더

4.1.2. 1993

1992년 말에 출시된 제품들은 1993년에도 계속 판매됐고, 이 해에는 컨스트럭티콘과 다이노봇의 새로운 색상 버전이 추가됐다. 또한, 유럽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완전히 새로운 금형들이 제너레이션 2 라인업에 편입되며 제품군이 확장되었는데, 당시 유럽에서는 G1 완구 라인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던 시점이었다. 이 해에는 G2만을 위해 처음부터 새롭게 설계된 첫 신제품도 등장했는데, 대형 전차로 변신하는 메가트론이었다.

이 시리즈에서 부터는 '라이트 파이핑'이라는 기능도 처음 선보였는데, 이는 전년도 유럽 시장에서 먼저 사용된 기믹으로, 로봇의 눈에 투명 플라스틱을 이용해 빛이 통과하게 만들어 자연스러운 발광 효과를 주는 방식이다. 이 기믹은 이후 20년 가까이 트랜스포머 완구의 기본 사양처럼 자리잡게 되었다.
4.1.2.1. 미니 오토봇
4.1.2.2. 컨스트럭티콘 (오렌지)
4.1.2.3. 오토봇 카
파일:G2-toy_Rapido.jpg
* 라피토
파일:800px-G2-toy_Skram.jpg
* 스크램
파일:G2-toy_Turbofire.jpg
* 터보파이어
파일:800px-G2-toy_Windbreaker.jpg
* 윈드브레이커
4.1.2.4. 디셉티콘 제트
파일:800px-G2-toy_Afterburner.jpg
* 애프터버너
파일:G2-toy_EagleEye.jpg
* 이글아이
파일:G2-toy_Terradive.jpg
* 테러다이브
파일:800px-G2-toy_Windrazor.jpg
* 윈드레이저
4.1.2.5. 컬러 체인저
파일:Generation2DecepticonDeluge.jpg
* 델루지
파일:800px-Drench_G2.jpg
* 드렌치
파일:G2_Gobots_toy.jpg
* 고보츠[1]
파일:Picsart_25-04-23_16-52-52-777.jpg
* 제트스톰
4.1.2.6. 다이노봇
파일:737px-G2GrimlockBlue.jpg파일:800px-TF-G2-Turquoise-Grimlock.jpg
파랑색 터키석색
파일:G2SlagGreen_toy.jpg파일:Picsart_25-04-26_12-39-41-409.jpg
초록색 빨간색
파일:771px-G2SnarlRed.jpg파일:Picsart_25-04-26_12-37-14-107.jpg
빨간색 초록색
4.1.2.7. 리더
4.1.2.8. 시계
파일:Picsart_25-04-23_16-56-55-904.jpg
* 오토봇
파일:800px-G2-toy_Scorpia.jpg
* 스콜피오

4.1.3. 1994

4.1.3.1. 에어리얼봇
4.1.3.2. 컴뱃티콘
4.1.3.3. 로터 포스
파일:G2-toy_Leadfoot.jpg
* 레드풋
파일:G2-toy_MantaRay.jpg
* 만타레이
파일:800px-G2-toy_Powerdive.jpg
* 파워다이브
파일:G2-toy_Ransack.jpg
* 랜섹
4.1.3.4. 레이저 로드[2]
파일:800px-G2-toy_Electro.jpg
* 일렉트로
파일:800px-G2-toy_Jolt.jpg
* 졸트
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의 등장하는 병풍트랜스포머 졸트의 원본격 캐릭터. 다만 실사영화의 등장한 졸트와는 다르게 이쪽은 진영이 디셉티콘이다.
파일:800px-G2-toy_Sizzle.jpg
* 시즐
파일:800px-G2-toy_Volt.jpg
* 볼트
4.1.3.5. 히어로
4.1.3.6. 그 외
파일:800px-G2DreadwingToy.jpg파일:720px-G2SmokescreenToy.jpg
드레드윙 스모크스크린
4.1.3.7. 봇콘 1994
4.1.3.8. 프로텍토봇 (발매 취소)
4.1.3.9. 스턴티콘 (발매취소)

4.1.4. 1995

4.1.4.1. 고-봇
4.1.4.1.1. 웨이브 1
파일:G2-toy_Blowout.jpg
* 블로우아웃
파일:G2-toy_DoubleClutch.jpg
* 더블 클러치
파일:G2-toy_Firecracker.jpg
* 파이어스트라이커
파일:800px-G2-toy_Gearhead.jpg
* 기어헤드
파일:G2-toy_HighBeam.jpg
* 하이 빔
파일:800px-G2-toy_Motormouth.jpg
* 모터마우프
4.1.4.1.2. 웨이브 2
4.1.4.1.3. 웨이브 3
4.1.4.1.4. 웨이브 4 (발매취소)
파일:800px-G2Go-BotGTPRacer.jpg
* 4X
파일:648px-G2Go-Bot911PoliceCar.jpg
* 911
4.1.4.2. 사이버 제트
4.1.4.2.1. 웨이브 1
파일:800px-HooliganG2-toy.jpg
* 홀린
파일:Skyjack-toy.jpg
* 스카이잭
파일:800px-SpaceCase-G2toy.jpg
* 스카이 케이스
4.1.4.2.2. 웨이브 2
4.1.4.3. 레이저 사이클
4.1.4.3.1. 웨이브 1
파일:800px-G2-toy_RoadPig.jpg
* 로드 피그
파일:G2RoadRocket-toy.jpg
* 로드 로켓
4.1.4.3.2. 웨이브 2 (발매취소)
4.1.4.4. 오토 롤러
비스트 워즈 세컨드의 등장하는 오토롤러즈의 원형이 된 완구 라인.
4.1.4.4.1. 웨이브 1
파일:800px-G2-toy_Roadblock.jpg
* 로드블록
4.1.4.4.2. 웨이브 2 (발매취소)
4.1.4.4.3. 웨이브 3 (발매취소)
파일:404px-G2Autolauncher.jpg
* APC 오토 롤러
파일:488px-G2AutoJetter.jpg
* 제트 오토 롤러
4.1.4.5. 레이저
4.1.4.6. 봇콘 1995 한정판
파일:G2toy-Nightracer.jpg
* 나이트체이서
4.1.4.7. 시계
4.1.4.8. 파워 마스터
호주, 뉴질랜드에서만 발매된 완구 라인.
파일:G2-toy_Bulletbike.jpg
* 불릿바이크
파일:800px-G2-toy_Meanstreak.jpg
* 멘스트릭
파일:800px-G2-toy_Staxx.jpg
* 스탁스
4.1.4.9. 히어로 (발매취소)
둘다 기존에 발매된 히어로 완구를 리데코 한것이나 정식 발매까진 가진 않았다. 이후 봇콘 1996행사때 일부 G2 제품들이 경매로 팔려질때 같이 팔려졌다.
4.1.4.10. 그 외 발매취소 제품
파일:G2Greasepit-toy.jpg파일:Picsart_25-04-24_08-39-38-974.png
기어시프트 고-봇 레이싱 리그
  • 기어시프트 & 고-봇 레이싱 리그

4.2. 유럽판 해즈브로 라인업

유럽에서의 제너레이션 2 전개는 다소 복잡한 면이 있다.

미국에서 트랜스포머 라인이 종료됐을 때와 달리, 유럽 대부분의 시장에서는 이후로도 약 2년간 제품이 계속 출시됐다. 1993년에도 서브라인 없이 일반 트랜스포머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신제품이 나왔는데, 이 중 다수는 미국의 1993년 제너레이션 2 라인과 금형을 공유했다. 다만 색상이 다르거나 아예 다른 캐릭터로 출시된 경우도 있었고, 미국 G2 라인과 동일한 오토봇/디셉티콘의 새로운 엠블럼이 사용되기도 했다. 기술적으로는 이 시기의 유럽 제품들이 아직 G1 범주에 속한다.

그러다 1994년에 하스브로 UK와 하스브로 인터내셔널이 미국 하스브로의 방향을 따르며 브랜드명을 공식적으로 제너레이션 2로 전환했고, 1993년에 나왔던 제품 일부를 다시 출시했으며, 미국 G2 라인의 신제품들도 추가로 수입했다. 이로 인해, 당시 온라인 정보 확산이 느렸던 상황까지 겹쳐 많은 팬들이 엠블럼이 바뀐 1993년 제품들까지 모두 제너레이션 2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인식도 충분히 이해되지만, 이 목록에서는 실제로 '제너레이션 2'라는 이름 아래 출시된 제품만을 다룬다.

대부분의 제품은 언어별로 두 가지 다국어 패키지 버전으로 판매됐다. 하나는 영어/스페인어/포르투갈어 버전, 다른 하나는 프랑스어/네덜란드어/독일어 버전이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GiG사가 이탈리아어 전용 패키지로 유통을 맡았다.

4.2.1. 1994

이 해에 출시된 제품의 대부분은 1993년에 나왔던 유럽 및 미국 제품들을 재포장해 다시 내놓은 것이었다. 미국 쪽 제품은 유럽 시장에는 처음 선보이는 것이 많아 ‘신상품’처럼 여겨졌고, 여기에 미국과 동시에 출시된 신금형 제품들도 더해졌다.

이 해부터 유럽판 제품들은 패키지에 적힌 캐릭터 소개 문구가 매우 간략해지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다. 어떤 제품은 이름, 역할, 좌우명만 적혀 있는 경우도 있었고, 이전 출시 때와는 다른 문구로 바뀐 캐릭터들도 다수 존재했다.
4.2.1.1. 스파카봇
파일:G2-toy_Flamefeather.jpg
* 플레임페더
파일:800px-G2-toy_Sparkstalker.jpg
* 스파크스토커
4.2.1.2. 엑셀러레이터
파일:G2-toy_Turbofire.jpg
* 핫라이더
파일:G2-toy_Rapido.jpg
* 라피토
파일:800px-G2-toy_Skram.jpg
* 스크램
파일:800px-G2-toy_Windbreaker.jpg
*
4.2.1.3. 스카이스코처
파일:G2-toy_EagleEye.jpg
* 호크
파일:800px-G2-toy_Afterburner.jpg
* 스나이프
파일:G2-toy_Terradive.jpg
* 테러다이브
파일:800px-G2-toy_Windrazor.jpg
* 토네이도
4.2.1.4. 로터봇
파일:800px-G2-toy_Powerdive.jpg
* 블레이드
파일:G2-toy_Ransack.jpg
* 밸츳
파일:G2-toy_Leadfoot.jpg
* 핫풋
파일:G2-toy_MantaRay.jpg
* 피라냐
4.2.1.5. 아쿠아스피더
  • 아쿠아펜드
  • 델루지
  • 제트스톰
  • 스피드스트림
4.2.1.6. 스톰트루퍼
  • 아쿠아블라스트
  • 드렌치
  • 하이드라드레드
  • 레이지
4.2.1.7. 라이트포머
파일:800px-G1-toy_Deftwing.jpg
* 데프트윙
4.2.1.8. 트랙콘
파일:800px-G1-toy_Calcar.jpg
* 칼카
파일:G1-toy-Fearswoop.jpg
* 피어스웁
4.2.1.9. 일루미네이터스
파일:800px-G2-toy_Electro.jpg
* 일렉트로
파일:800px-G2-toy_Sizzle.jpg
* 파이어볼
파일:800px-G2-toy_Jolt.jpg
* 핫로드
파일:800px-G2-toy_Volt.jpg
* 볼트
4.2.1.10. 히로익
4.2.1.11. 스카이라이더
4.2.1.12. 다이노봇
파일:737px-G2GrimlockBlue.jpg
* 그림록 (블루 데코 한정)
파일:G2SlagGreen_toy.jpg
* 슬래그 (그린 데코 한정)
파일:771px-G2SnarlRed.jpg
* 스날 (레드 데코 한정)
4.2.1.13. 히어로
파일:800px-G2-toy_Archforce.jpg
* 아크포스
파일:Picsart_25-04-24_16-07-38-706.jpg
* 슈어샷
4.2.1.14. 오블리레이터
파일:G2-toy_Clench.jpg
* 콜러서스
4.2.1.15. 리더
파일:800px-G2DreadwingToy.jpg파일:720px-G2SmokescreenToy.jpg
스텔스 어썰트 로봇/전투기 피규어

4.2.2. 1995

라인의 두 번째 해에 접어들면서 유럽판 제너레이션 2는 거의 미국판과 동일한 구성을 따르게 되었다. 단 하나의 독점 서브그룹인 파워마스터만 예외였지만. 하지만 이들도 사실 완전히 유럽 한정은 아니었다. 같은 제품들이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도 동일한 영어 전용 패키지로 판매됐다. 'Generation 2' 로고는 빠져 있었고, 유럽에서는 한 단어로 쓰인 'Powermasters'가 이쪽에선 'Power Masters'로 띄어쓰기가 되어있다.

1995년에 유럽에서 출시된 제품들의 패키지는 북미판과는 또 다르게 새롭게 디자인되었다. 색 구성 자체가 크게 달랐고, 'Generation 2'라는 타이틀은 그대로 유지됐지만, 여러 제품이 묶여 출하되는 어소트먼트 제품군의 경우, 각 캐릭터 이름을 패키지 뒷면에만 표기하고 전면에서는 가격대 자체를 중심으로 마케팅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4.2.2.1. 고-봇
4.2.2.1.1. 웨이브 1
파일:Megatron-G2GoBot.jpg
* 블로우아웃
파일:G2-toy_DoubleClutch.jpg
* 더블 클러치
파일:800px-G2-toy_OptimusPrime_GoBot.jpg
* 파이어스트라이커
파일:800px-G2-toy_Gearhead.jpg
* 기어헤드
파일:G2-toy_HighBeam.jpg
* 하이 빔
파일:800px-G2-toy_Motormouth.jpg
* 모터마우프
4.2.2.1.2. 웨이브 2
4.2.2.2. 미니제트
파일:Jetfire-G2toy.jpg
* 홀린
파일:AirRaidCybJet-AeroRaid-toy.jpg
* 스카이잭
파일:G2Strafe-toy.jpg
* 스페이스 케이스
4.2.2.3. 파워마스터
파일:G2-toy_Bulletbike.jpg
* 불릿바이크
파일:800px-G2-toy_Meanstreak.jpg
* 멘스트릭
파일:800px-G2-toy_Staxx.jpg
* 스탁스
4.2.2.4. 레이저 사이클
파일:800px-G2-toy_RoadPig.jpg
* 로드 피그
파일:G2RoadRocket-toy.jpg
* 로드 로켓
4.2.2.5. 오토 롤러
파일:800px-G2-toy_Roadblock.jpg
* 로드블록

4.3. 타카라판 G-2 라인업

Transformers: G-2
トランスフォーマー G-2

타카라가 1992년 오퍼레이션 콤비네이션을 끝으로 트랜스포머 시리즈를 종료한 이후 처음으로 다시 선보인 트랜스포머 라인업이었다. 1995년 하반기에만 한정적으로 출시된 이 시리즈는, 미국과 유럽의 제너레이션 2 라인에 포함되었던 구형 G1 금형[3]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직 새롭게 제작된 고가동성 신제품들만으로 구성됐다. 모든 제품에는 동봉용 만화책이 함께 들어 있었다.

G-2 라인업에 포함된 대부분의 제품은 패키지를 제외하면 하스브로판과 실질적인 차이가 거의 없다. 사이버젯 시리즈는 추가 커스터마이즈용 스티커가 포함되어 있긴 했지만, 본체 자체는 동일했다. 참고로 이 사이버젯에 추가 장갑을 더한 '강화형' 버전의 프로토타입도 존재하지만, 실제 제품화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다.

이 가운데 조금 특이한 예외가 바로 고-봇 시리즈 세 제품이다. 이들은 각기 다른 독자적인 색상 변경이 이루어졌고, 전면은 하스브로판과 거의 똑같이 생긴 블리스터 카드[4]로, 후면은 전면과 전혀 다른 일본어 전용 디자인으로 구성된 패키지로 출시되었다.

그러나 G-2는 타카라에게 큰 흥행을 안겨주지는 못했고, 이로 인해 스핀오프로 기획되었던 블록 타운이라는 시리즈는 취소되었으며, 일본에서는 1997년 비스트 워즈가 등장하기 전까지 또다시 짧은 트랜스포머 공백기가 이어지게 된다.

4.3.1. 고-봇

4.3.2. 사이버제트

파일:Skyjack-toy.jpg
* TRF-07 스카이잭
파일:800px-SpaceCase-G2toy.jpg
* TRF-08 스페이스 케이스
파일:800px-HooliganG2-toy.jpg
* TRF-09 홀린
파일:AirRaidCybJet-AeroRaid-toy.jpg
* TRF-14 에어로 레이드
파일:G2Strafe-toy.jpg
* TRF-15 스트레이프
파일:Jetfire-G2toy.jpg
* TRF-16 제트파이어

4.3.3. 레이저 바이크

파일:G2RoadRocket-toy.jpg
* TRF-11 로드 로켓
파일:800px-G2-toy_RoadPig.jpg
* TRF-12 로드 피그

4.3.4. 레이저 로드

파일:800px-G2-toy_Electro.jpg
* TRF-03 일렉트로
파일:800px-G2-toy_Volt.jpg
* TRF-04 오토볼트
파일:800px-G2-toy_Jolt.jpg
* TRF-05 핫 로우
파일:800px-G2-toy_Sizzle.jpg
* TRF-06 파이어봇

4.3.5. 프라임 오브 저스티스

파일:external/tfwiki.net/G2Prime_toy.jpg
* TRF-01 콘보이

4.3.6. 앰퍼러 오브 디스트럭션

파일:800px-G2-toy_Megatron_Hero.jpg
* TRF-02 메가트론

4.3.7. 어드밴스드 텍티컬 봄버

파일:800px-G2DreadwingToy.jpg파일:720px-G2SmokescreenToy.jpg
드레드윙 스모크스크린

4.4. 안텍스 아르헨티나 완구 라인

아르헨티나의 안텍스라는 회사는 자사 제품인 '솔트맨' 완구를 G2완구 라인에 편입시켜 발매하였다. 이 제품들은 원래 점프스타터 금형을 리데코 것이었으며, 이름을 '로봇맨(Robot-Men)'으로 바꿔 G2 라인에 발매한것.
파일:800px-G1-toy_SaltManX_Antex.jpg
* 로봇맨 X (노란색/빨간색 혹은 초록색/하얀색)
파일:Picsart_25-04-23_16-58-12-197.jpg파일:Picsart_25-04-30_08-23-29-737.jpg

4.5. 상당한 양의 미발매 완구

제너레이션 2가 종료된 이후 수년 동안, 사용되지 않은 다양한 콘셉트들이 하나둘씩 공개되며 "이랬을 수도 있었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포함된 것은 기존 완구의 리데코부터 완전히 새로운 금형의 프로토타입, 그리고 매우 특이한 실험적 시도까지 다양하다.

4.5.1. 리데코 제품들

대부분은 G1때 발매한 완구를 리데콘 한 것으로, 그중에서도 G2 1년 차에 이미 사용됐던 금형들이 주를 이룬다. 일부 일러스트에 기입된 어소트먼트 번호를 보면 이 제품들이 1995년 라인업으로 계획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해스브로는 당시 형이 다락방에 갖고 있던 낡은 장난감 같은 느낌에서 벗어나고자 했기 때문에, 이런 제품들은 그 해 개발 초기 단계에서 이미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4.5.1.1. 목록
파일:540px-G2SludgeBoxart.jpg파일:444px-G2GrimlockArtwork.jpg
슬러지 그림록
파일:G2SwoopArtwork.jpg
스우프
파일:668px-G2SandstormProductionColors.jpg
* 램젯을 사막 위장 패턴으로 리데코한 샌드스톰[5]이라는 제품이 기획되었었다. 후에 트랜스포머 제네레이션 셀렉츠 한정판 완구로 발되었다.
파일:670px-G2BlackoutProductionColor.jpg
* 스타스크림을 검은색으로 리데코한 블랙아웃이라는 제품이 기획되었었다.
파일:800px-G2SSJungleprotojet.jpg파일:WhizBangNavyRamjetRedeco.jpg
밀림 위장 스타스크림 하늘 위장 램젯
  • 밀림 위장 도색의 스타스크림, 하늘 위장 도색의 램젯[6]도 이었었다.
파일:530px-G2MirageVaultArt.jpg파일:800px-UnmadeG2SideswipeMockup.jpg
미라지 사이드스와이프
파일:599px-G2JazzLegacyArt.jpg
재즈
파일:594px-UnmadePowermasterIronhideRedeco.jpg파일:Generation2Pothole.jpg
박스아트 홍보영상의 한 장면
  • 파워마스터 아이언하이드를 노란색과 파란색으로 리컬러한 카드 일러스트가 있으며, 패키지 목업에는 벨존(Belzone), 라이트 스피드(Light Speed), 포트홀(Pothole)이라는 이름이 함께 적혀 있었다.

4.5.2. 신규 금형 프로토타입들

4.5.2.1. 목록
파일:541px-Unproduced_GIJoe_Generation2_Transformer.jpg
* G.I. Joe[7]피규어를 탑승시킬 수 있는 6륜 장갑차 형태로 변형되는 레진 프로토타입.
파일:684px-UnmadeVideoCameraMegatron.jpg
* 대형 메가트론 탱크 금형을 캠코더 형태로 개조한 핸드메이드 목업.
  • 다카라가 장갑 파츠를 더한 사이버젯 프로토타입을 토이쇼에 전시했으나 실제 제품화는 불발 되었다.
파일:800px-G2-Megatron-Flipchanger-mockup.jpg파일:800px-G2-Thundercracker-Flipchanger-mockup.jpg
스카이스트라이커 썬더크래커
파일:800px-G2-Mirage-Flipchanger-mockup.jpg파일:800px-G2-Hoist-Flipchanger-mockup.jpg
라이트스피드 그리스핏
  • 새로운 플립체인저 4종도 기획되었으나 해당 가격대 제품군 자체가 출시되지 않았다. 썬더크래커(라팔), 스카이스트라이커(F-22), 라이트스피드(래이싱카), 그리스핏(견인차)이 있다. 네 제품은 이후 머신 워즈에서 각각 메가트론/메가플렉스, 썬더크래커/스카이워프, 프라울/미라지, 호이스트/허브캡으로 리데코 및 리페키징 되었다.
파일:Tuf1.jpg파일:Tug1.jpg파일:Tub1.jpg
  • '솔라봇'이라는 제품명이 후기 카드 샘플에만 등장하나, 이 솔라봇 이라는 제품이 정확히 어떤 제품인지 알려진 바가 전혀 없다. 위에 언급된 레이싱카나 견인차일 수도 있으나 확실하진 않다.

4.6. G2 이후 시리즈

5. 외부 링크

TF위키

6. 기타



[1] 해즈브로가 인수한 통카의 완구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고보츠와는 관련 없다.[2] Laser Rod[3] 후기 유럽판 포함[4] 우측 상단에만 일본어 표기[5] 같은 이름에 오토봇 소속 트랜스포머와는 관련 없다.[6] 이쪽은 후일 레거시: 에볼루션에서 클라우드커버로 재탄생 하였다.[7] 국내에서는 '자이아 유격대'로 알려져 있다.[8] 일본판 카로봇, 한국판 정의의 용사 카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