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09:24:57

토탈 워: 파라오/세력



1. 개요2. 문화권
2.1. 이집트2.2. 가나안2.3. 히타이트2.4. 바다 민족2.5. 누비아2.6. 리부2.7. 프리기아2.8. 메소포타미아2.9. 에게해

1. 개요

토탈 워: 파라오에 등장하는 세력에 대한 문서.

플레이어블 세력은 볼드체로 표시한다.

2023년 5월 30일 아시리아, 바빌론, 미케네, 트로이 세력의 지도자가 공개되었으며, 25개의 마이너 세력도 플레이가 가능해진다고 밝혔다.출처

2. 문화권

2.1. 이집트

  • 람세스
  • 세티
  • 아멘메세스
  • 투스레트
  • 메르넵타(Merneptah)
    마이너 이집트 세력 중 유일하게 고유 모델과 일러스트를 가지고 있다.
  • 세트나크테(Setnakte)
    람세스 3세의 아버지로, 인게임 데이터마이닝에서 고유 일러스트가 확인되었다.
  • 나파타(Napata)
    누비아 지역에 위치한 이집트 마이너 세력.
  • 바하리아(Bahariya)
    서부 사막에 위치한 이집트 마이너 세력.
  • 던걸(Dungul)
    서부 사막에 위치한 이집트 마이너 세력.
  • 아비도스(Abdju)
  • 부토(Buto)
  • 파이윰(Faiyum)
  • 헤트-네수트(Het-Nesut)
  • Khent-Min
  • 쿠르쿠르(Kurkur)
  • 마이암(Miam)
  • 메스(Mes)
  • 느부트(Nubt)
  • Saww
  • Uba-Tdoat
  • 라코티스(Rhacotis)
  • 페르 아문(Per Amun)
  • 피람세스(Pi-Ramssess)
  • 와세트(Waset)
  • Zawty

2.2. 가나안

  • 베이
  • 이르수
  • 다마스쿠스(Damascus)
  • 아슈켈론(Ashkelon)
  • 예마르(Emar)
  • 우가리트(Ugarit)
  • 비블로스(Byblos)
  • 메기도(Megiddo)
  • 비르셰바(Beersheba)
  • 사카(Sakka)
  • 셰쳄(Schechem)[1]
  • 수코트(Sukkot)
  • 아무루(Amurru)
  • 알라시야(Alashiya)
  • 우루샬림(Urushalim)
  • 팀나(Timna)
  • 하조르(Hazor)
  • 할라브(Halab)
  • 헤트치(Hetch)

2.3. 히타이트

  • 수필룰리우마
  • 쿠룬타
  • 말리디야(Malidiya)
  • 카르케미쉬(Carchemish)
  • 알라쉬야'(Alashiya)
    키프로스 섬에 위치한 히타이트 마이너 세력.
  • 상가리안 프리기아(Sangarian Phrygia)[2]
  • 라라완다(Larawanda)
  • 사피누와(Sapinuwa)
  • 안키라(Ancyra)
  • 카네쉬(Kanesh)
  • 쿰만니(Kummanni)
  • 키비라(Cibyra)
  • 키즈와트나(Kizzuwatna)
  • 투와나(Tuwna)
  • 파르하(Parha)
  • 푸루샨다(PuruShanda)
  • 후비스나(Hubishna)

2.4. 바다 민족

2.5. 누비아

  • 부헨(Buhen)
  • 카와(Kawa)
  • 케르마(Kerma)

2.6. 리부

  • Dakhla
  • 파라프라(Farafra)
  • Kharga
  • Meshwesh

2.7. 프리기아

히타이트에게 반기를 들었다고 내레이터가 언급한다.
  • 만얀 프리기아(Manyan Phrygia)
  • 아스카니아 프리기아(Ascanian Phrygia)

2.8. 메소포타미아

  • 하니갈바트: 세력 지도자는 아시리아의 왕 닌우르타-아팔-에쿠르(Ninurta-Apal-Ekur).[3]
  • 바빌로니아: 카시트 왕조 32대 국왕 아다드-슈마-우슈르가 지도자로 등장한다.
  • 아시리아
  • 이기할키드(Igihalkid)
  • 룰루비(Lullubi)
  • 슈투(Sutu)
    메소포타미아 인근에서 활동한 유목민 슈투(Shutu/sutu)를 지칭하며, 낙타 병종들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 슈브루(Shubru)

2.9. 에게해

이전작 토탈 워 사가: 트로이에 등장한 다나오스 + 트로이인을 합친 세력.

[1] 셰켐(שכם)이라고 발음해야 한다.[2] 원문은 상가리안 피르지아(Sangarian Phyrgia)인데, 프리기아를 피르지아로 오타를 냈다.[3] 미탄니 제국이 멸망한 후 아시리아 왕족을 하니갈바트의 왕으로 삼았는데, 닌우르타-아팔-에쿠르는 아다드 니나리 1세의 현손으로 하니갈바트의 왕으로 있었다. 기원전 1192년 혹은 1182년경 투굴티-닌우르타 1세의 아들 엔릴 쿠두리 우수르를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해 3년 혹은 13년 간 재위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