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6 23:21:44

토마스 폰 헤젠

토마스 폰 헤젠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함부르크 SV 125주년의 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 이름 국적 소속 기간 비고
GK 울리 슈타인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80–1987
1994–1995
DF 디트마어 야콥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79–1989
DF 만프레트 칼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70–1989
DF 페터 노글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69–1980
DF 요제프 포지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49–1958
DF 빌리 슐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65–1973
MF 토마스 돌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90–1991
1998–2001
MF 토마스 폰 헤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80–1994
MF 메흐디 마다비키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1999–2007
MF 펠릭스 마가트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76–1986
MF 라파엘 판데르파르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005–2008
2012–2015
FW 카르스텐 바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92–2000
FW 게르트 되어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58–1971
FW 호르스트 흐루베슈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78–1983
FW 케빈 키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977–1980
FW 우베 젤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46–1972
감독 에른스트 하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1981–1987
#출처
}}}}}} ||
독일의 축구 감독
파일:Thomas_von_Heesen.jpg
<colbgcolor=#eee><colcolor=#000,#e5e5e5> 이름 토마스 폰 헤젠
Thomas von Heesen
출생 1961년 10월 1일 ([age(1961-10-01)]세)
서독 획스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8cm|체중 미상
직업 축구 선수 (미드필더[1] / 은퇴)
축구 감독
축구 행정가
소속 <colbgcolor=#eee> 선수 DJK 알박센 (1967~1976 / 유스)
VfL 획스터 (1976~1978 / 유스)
1. FC 파더보른 07 (1978~1980 / 유스)
함부르크 SV (1980~1994)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1994~1997)
감독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1998~1999 / 임시)
1. FC 자르브뤼켄 (2000~2001)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2004 / 임시)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2005~2007)
1. FC 뉘른베르크 (2008)
아폴론 리마솔 FC (2008~2010)
카펜베르크 SV (2011~2012)
레히아 그단스크 (2015)
코네 베 코네 마잔다란 FC (2016~ / 수석 코치)
행정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2001~2003 / 단장)
카펜베르크 SV (2012~ / 단장)
국가대표 6경기 2골 (독일 U21 / 1981~1985)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감독 경력

1. 개요

독일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 축구 행정가. 선수 시절 미드필더[2]로 활약했으며, 주로 함부르크 SV에서 뛰었다. 함부르크 SV 소속으로 2번의 분데스리가 우승과 유러피언컵 우승을 차지했다. 독일 U21 대표팀으로 6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은퇴 후 다양한 팀에서 감독, 코치, 스포츠 행정가로 활동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토마스 폰 헤젠은 1967년부터 1976년까지 DJK 알박센 유스팀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이후 VfL 획스터, 1. FC 파더보른 07 유스팀을 거쳤다.

1980년 함부르크 SV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과 분데스리가 데뷔를 동시에 했다. 이후 1994년까지 함부르크 SV에서 활약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함부르크 SV 소속으로 2번의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2-83 시즌 유러피언컵 우승을 차지했다. 유러피언컵 우승 시즌에는 5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으며, 유벤투스 FC와의 결승전에도 부상당한 라르스 바스트루프를 대신해서 교체되었고 34분 동안 출전했다. 함부르크 SV 소속으로 1980년부터 1994년까지 368경기에 출전하여 정확히 99골을 기록했다.

1994년, 33세의 나이로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로 이적했다. 아르미니아 빌레펠트가 2. 분데스리가에서 1부 리그로 복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6-97 시즌에는 출전 기회가 많지 않았지만, 1996년 8월 28일 MSV 뒤스부르크와의 경기에서 개인 통산 100번째 골을 기록했다.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소속으로 1994년부터 1997년까지 38경기에 출전하여 8골을 기록했으며,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프로 경력 동안 총 406경기에 출전하여 107골을 기록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토마스 폰 헤젠은 1981년부터 1985년까지 독일 U21 대표팀 소속으로 6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A매치 경력은 없다.

3. 감독 경력

선수 생활 은퇴 후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1998년 8월 17일 에른스트 미덴도르프 감독이 경질된 후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의 임시 감독을 맡아 1999년까지 팀을 이끌었다. 마지막 경기는 1. FC 쾰른과의 5-3 승리였으며, 팀은 2.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임시 감독으로서 33경기에서 20승 7무 6패를 기록했다.

2000년 11월 29일 1. FC 자르브뤼켄 감독으로 부임하여 2001년 9월 17일까지 팀을 이끌었다. 첫 경기는 슈투트가르터 키커스와의 1-0 승리였으며, 마지막 경기는 MSV 뒤스부르크와의 1-0 경기였다.

2001년 9월 17일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의 단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스포츠 디렉터 외에도 임시 감독을 여러 번 맡았다. 2004년 2월 17일부터 3월 1일까지 베노 묄만 감독이 떠난 후 임시 감독을 맡았으며, 2005년 5월 11일부터 2007년 2월 11일까지 우베 라폴더 감독이 경질된 후 다시 감독을 맡았다가 사임했다. 두 번째 임시 감독 때는 2경기에서 1승 1무, 세 번째 감독 때는 60경기에서 18승 16무 26패를 기록했다. 2003년까지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스포츠 디렉터로 활동했다.

2008년 1. FC 뉘른베르크 감독을 맡았지만, 같은 해 팀을 떠났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키프로스 1부 리그 소속의 아폴론 리마솔 FC 감독을 맡았다.

2011년 11월 29일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소속의 카펜베르크 SV 감독으로 부임하여 2011-12 시즌 종료까지 계약했다. 첫 경기는 SK 라피트 빈과의 0-0 무승부였다. 팀이 강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3년 계약 연장을 했다. 2012년 11월 10일 단장으로 승진했으며, 클라우스 슈미트가 새로운 감독이 되었다. 카펜베르크 SV 감독으로서 마지막 경기는 FC 루스테나우 07에게 4-2로 패한 경기였다.

2015년 엑스트라클라사 소속의 레히아 그단스크 감독을 맡았지만, 같은 해 팀을 떠났다.

2016년부터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소속의 코네 베 코네 마잔다란 FC의 수석 코치를 맡고 있다.
[1] 공격형 미드필더[2] 공격형 미드필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