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20:44:35

토리쇼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Shogi 왕장.png쇼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1BD71,#E1BD71> 게임 구성
<colcolor=#A97600,#A97600> 구성 쇼기판 · 기물(왕장/옥장 · 비차 · 각행 · 금장 · 은장 · 계마 · 향차 · 보병) · 규칙
전략 및 용어 전법/전형(앉은비차 · 몰이비차 · 울타리) · 접쇼기(2보찌르기 · 은다전) · 봉수 · 천일수
파생 게임 변형 쇼기(도부츠쇼기 · 쿠지라쇼기 · 토리쇼기 · 야리쇼기 · 쇼쇼기 · 대포 쇼기 · 츄쇼기 · 다이쇼기 · 타이쇼기 · 타이쿄쿠쇼기 · 군진쇼기 · 요닌쇼기)
쇼기 기전
관련 단체 일본쇼기연맹 · 바둑장기채널
주요 기사 오오야마 야스하루 · 나카하라 마코토 · 하부 요시하루 · 와타나베 아키라 · 후지이 소타
8대 기전 용왕전 · 명인전 · 예왕전 · 왕위전 · 왕좌전 · 기성전 · 기왕전 · 왕장전
일반 기전 NHK배 · 아사히배 쇼기오픈전 · 은하전 · 신인왕전 · JT배 쇼기 일본시리즈 · 달인전 · 카코가와 청류전 · ABEMA 토너먼트 · SUNTORY 쇼기 올스타 동서대항전 · 신은하전
여류 기전 백령전 · 청려전 · 마이나비 여자오픈 · 여류왕좌전 · 여류명인전 · 여류왕위전 · 여류왕장전 · 쿠라시키토카전
기타
쇼기 게임 Lishogi · 모리타 쇼기 · Pychess · 혼쇼기 나이토 구단 쇼기 비전 입문편 · 쇼기클럽 24 · 쇼기워즈 · 81dojo
쇼기 관련 창작물 3월의 라이온 · 그래도 아유무는 다가온다 · 용왕이 하는 일! · 어웨이크 · 시온의 왕 · 81 다이버
}}}}}}}}} ||


1. 개요2. 규칙
2.1. 기물 목록
2.1.1. 일반 기물
2.1.1.1. 불사조2.1.1.2. 제비2.1.1.3. 매2.1.1.4. 학2.1.1.5. 왼쪽 메추라기2.1.1.6. 오른쪽 메추라기2.1.1.7. 꿩
2.1.2. 승격 기물
2.1.2.1. 거위2.1.2.2. 독수리
2.2. 기타 규칙
2.2.1. 약어 및 기보

1. 개요

Pychess에서 둘 수 있는 변형 쇼기이다.

영어 위키백과 링크 / pychess 링크

2. 규칙

규칙을 나열했다.

2.1. 기물 목록

기물을 나열했다.

* 배치
오메왼메
왼메오메

2.1.1. 일반 기물

플레이어가 시작할 때 가지고 있는 기물을 나열했다.
2.1.1.1. 불사조
쇼기의 옥장처럼 움직인다.
2.1.1.2. 제비
쇼기의 보병처럼 움직이며, 거위로 승격한다. 한 열에는 승급되지 않은 제비를 두 개 까지만 놓을 수 있으며, 세 개 이상 놓는 것은 불가능하다. 제비를 투입함과 동시에 외통을 부르는 것 역시 금지되어있다.
2.1.1.3.
후진을 제외한 7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츄쇼기의 취상과 같은 움직임.
2.1.1.4.
좌우를 제외한 6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츄쇼기의 맹표와 같은 움직임.
2.1.1.5. 왼쪽 메추라기
왼쪽 아래 대각선(좌하, ↙)으로 한 칸, 앞으로 무제한, 오른쪽 아래 대각선(우하, ↘)로 무제한.
2.1.1.6. 오른쪽 메추라기
우하로 한 칸, 좌하로 무제한, 앞으로 무제한
2.1.1.7.
앞으로 두 번째 칸으로 갈 수 있고(점프도 가능), 우하, 좌하로 한 칸씩 갈 수 있다.

2.1.2. 승격 기물

승격한 기물을 나타냈다.
2.1.2.1. 거위
제비가 승격한 기물.

* 움직임
*앞쪽 대각선(좌상, 우상) 또는 뒤쪽 방향으로 두 칸씩 움직인다. 두 칸 위치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점프가 가능하다
2.1.2.2. 독수리
매가 승격한 기물.

* 움직임
* 옥장의 움직임+뒤로 무제한+앞쪽 대각선(좌상, 우상)+뒤쪽 대각선(좌하, 우하)으로 두 칸째로 갈 수 있다.
* 뒤쪽 대각선으로 한칸째가 막혀있다면 뒤쪽 대각선으로 못 간다.

2.2. 기타 규칙

기타 규칙을 나열했다.

2.2.1. 약어 및 기보

Pychess 기준이다.

* 약어
* 불사조 K
* 제비 S
* 매 F
* 학 C
* 꿩 P
* 왼쪽 메추라기 L
* 오른쪽 메추라기 R
* 거위 +S[1]
* 독수리 +F
* 기보
* 세로의 수부터 쓰고 가로의 수를 쓴다.
* 체크(+)와 체크메이트(#)는 표기하지 않는다.
* +는 승격으로 끝나는 움직임에 사용된다.[2]
* 기물을 놓을 때는 *를 사용한다.[3]

[1] 승격한 제비라서 +S이다.[2] 51에서 매를 승격시키는 경우 F51+[3] 34에 제비를 놓는 경우 S*34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