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1:09:52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파일: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4eb3><colcolor=#fff> 워너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파일:HBO 로고.svg
,
파일:맥스 로고.svg
,
파일:Cinemax 로고.svg
,
파일:TNT(미국) 로고.svg
워너 미디어 뉴스 & 스포츠 CNN US, HLN, CNN 인터내셔널, NBA TV, AT&T SportsNet
워너 브라더스 영화: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뉴 라인 시네마,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 DC 스튜디오, DC 엔터테인먼트(DC 코믹스, DC 유니버스 인피니트)
방송:TCM, 파일:카툰네트워크 로고.svg (
파일:어덜트 스윔 로고.svg
), 파일:부메랑(미국) 로고.svg
기타: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포트키 게임즈), 파일: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 로고.svg
디스커버리 채널 방송: 디스커버리 채널,
파일:Discovery Plus logo.png
해체 및 분사 파일:Machinima2018.svg,
파일:TMZ.png
, 파일:The CW Logo.svg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91919> 파일:WB 게임즈 로고 가로형.svg파일:WB 게임즈 로고 가로형 컬러 화이트.svgWB 게임즈
주요 게임 프랜차이즈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건틀릿 시리즈 로고.png 파일:램페이지(게임) 로고.png 파일:모탈컴뱃 시리즈 로고.svg파일:모탈컴뱃 시리즈 로고 화이트.svg 파일:Injustice-logo.png
건틀릿 램페이지 모탈 컴뱃 인저스티스
파일:Batman_Arkham_series_logo.png 파일:미들 어스: 섀도우 오브 모르도르 로고.jpg 파일:FEAR_logo_01.jpg
파일:컨뎀드 시리즈 로고.png
아캄버스 미들어스 F.E.A.R 컨뎀드
파일:스크리블너츠 시리즈 로고.png 파일:레고 게임 로고.svg파일:레고 게임 로고 화이트.svg 파일:DC-Universe-Online-Logo.jpg
스크리블너츠 레고 비디오 게임 DC 유니버스 온라인
}}}}}}}}} ||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세계 10대 게임 기업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매출 순위 (2023년) (Newzoo)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텐센트 로고 블루.svg파일:텐센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Xbox Game Studios 로고.svg파일:Xbox Game Studios 로고 화이트.svg 파일: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Apple 로고.svg파일:Apple 로고 화이트.svg 파일:넷이즈 로고.svg파일:넷이즈 로고 화이트.svg
<rowcolor=#000,#e5e5e5>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구글 로고.svg 파일:일렉트로닉 아츠 심볼.svg 파일:닌텐도 로고.svg 파일:테이크 투 인터렉티브 로고.svg파일:테이크 투 인터렉티브 로고 화이트.svg 파일:워너_브라더스_게임즈_로고_(2023년_12월).svg
<rowcolor=#000,#e5e5e5>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2d2f34> 파일:워너_브라더스_게임즈_로고_(2023년_12월).svg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Warner Bros. Games
}}}
<colbgcolor=#004eb3><colcolor=#fff> 유형 자회사
업종 비디오 게임 사업
CEO 제이스 홀[1]
설립일 1993년 6월 23일[2] ([age(1993-06-23)]주년)
소재지 미국 캘리포니아버뱅크
모회사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글로벌 스트리밍 &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텀블러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 파일:미디엄 아이콘.svg파일:미디엄 아이콘 화이트.svg

1. 개요2. 전신
2.1. 역사2.2. 제작한 게임
3. 특징4. 스튜디오
4.1. 폐쇄된 스튜디오4.2. 관련된 회사
5. 매각설6. 여담

[clearfix]

1. 개요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시에 위치한 워너 브라더스 산하의 비디오 게임 회사. 전 세계에 걸쳐 비디오 게임 제작, 유통, 배급, 라이선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워너 브라더스가 게임 업계에 손을 댄 것은 은근히 오래 되었다. 워너 커뮤니케이션 시절이던 1976년 8월, 당시 미국 게임 업계의 거물이었던 아타리를 인수한 것이 시초다. 문제는 그 이후 놀런 부쉬넬을 쫒아낸 뒤 사장인 스티브 로스의 측근인 레이먼드 카사르를 앉히고, 이후엔… 그렇다. 바로 이들이 아타리 쇼크의 당사자였다.[3] 이후에도 슈퍼맨 64를 판권을 가졌다는 명목으로 개발에 고증을 안 지킨다고 개입해 플레이스테이션 발매는 취소되고 게임은 똥겜이 되었으며 개발사인 타이터스가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만들었다.

현재는 어느 정도 반성을 하고 제 정신을 차린 모양인지 퍼블리싱으로 성공한 게임이 많다. 배트맨 아캄 시리즈, 인저스티스 시리즈를 비롯한 DC코믹스 기반 게임들은 물론 사이버펑크 2077, 위쳐 시리즈, 미들어스, 다잉 라이트, 히트맨 2, 호그와트 레거시를 필두로 유통하는 작품 대비 수작 내지는 명작이 많은 편이다.

캐나다 몬트리올에 직접 게임 스튜디오를 차린 후 배트맨: 아캄 오리진을 제작, 이후 락스테디가 배트맨: 아캄 나이트를 만들었는데 여러모로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고 있다.

플래시 게임 회사 SARBAKAN과 함께 스테판울프, 아케인을 만들었다. 특히 매년 레고 게임을 내놓으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거두고 있다.

2. 전신

파일:타임워너인터랙티브로고.jpg
회사 로고
이들의 전신은 타임 워너 그룹의 게임 개발 지사였던 타임 워너 인터랙티브이다. 본사 이외에도 자회사였던 아타리 게임즈밀피타스 본사에도 일부 인원이 있었고, 일본 지사도 있었는데, 텐겐의 일본 지사가 이름을 바꾼 거였다. 사무실은 도쿄 도 다이토구에 있었다.

2.1. 역사

타임 워너가 1993년 말 아타리 게임즈의 지분인 20% 가량을 사들이며 대주주가 되어 아타리 게임즈의 모회사가 되었고, 이윽고 텐겐 사도 합병하며 브랜드를 1994년 6월 28일 해당 회사명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기존 혹은 차세대 게임기(메가 드라이브, 슈퍼 패미컴, 플레이스테이션, 세가 새턴의 아케이드 게임 이식 및 타 회사 게임 콘솔판 발매를 담당했다.

또한 1995년에 영국 출판사 레니게이드 소프트웨어를 인수하고 1996년 11월에 유럽 지사가 GT 인터랙티브[4]에 합병되기 직전 워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로 독립했다.

1996년 3월 29일, 타임 워너가 윌리암스 인더스트리(WMS 인더스트리)에 회사를 매각하면서 사라졌다. 아타리 게임즈는 미드웨이 게임즈의 자회사가 되었다.

일본 지사는[5] 미드웨이가 잃어버린 10년의 상황에서 일본 비디오 게임 스튜디오를 인수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었고, 또한 모회사인 WMS가 일본에 일본 부서를 갖는 장점이 없기 때문에 1997년 <심령주살사 타로마루>를 끝으로 해산되었다.
사족으로, '세가 새턴 매거진'에 실린 타임 워너 인터랙티브의 고별 성명도 개그였는데...
타임워너 인터랙티브에서 최후의 메시지

느닷없는 얘기지만, 폐사는 1월 말을 기해 문을 닫습니다.
돌이켜보면 길었던 나날들... 메가드라이브건틀렛(폭발적 판매율), V.V.(꽤 잘 나갔다), 어썸 포섬[6](별로...), 그리고 1월 발매된 새턴판 심령주살사 타로마루(사려면 지금이다!) 로 이어지는 폐사의 역사가 막을 내리게 된 것입니다.
'TENGEN' 이란 이름으로 시작한 메가드라이브 시대부터, 타임워너 인터렉티브로 사명이 바뀐 후까지, 당사의 소프트 및, 메뉴얼에 응원의 목소리를 보내주신 유저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럼 최후로, 폐사가 문을 닫게 된 이유를 하기 3가지 중 골라 주십시오.

① 귀곡당의 음모 ②본사가 타임워너에 질려버렸다[7] ③ 심심해서

그럼 여러분, 안~녀~영~♪

(홍보부 - 쿠라시타 카오리)
철수 당시 개발하고 있던 슈팅 게임 레이디언트 실버건트레저에서 인계받아 개발을 완성, 발매하게 된다. 본작이 메뉴얼이 개그성 짙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니 틀린 말이 아닐지도?

2.2. 제작한 게임

  • 1993년
    • 파이어 파워 2000(MD)
    • 배트맨 리턴즈(MCD)
  • 1994년
    • T-MEK(32X)
    • 레드 존(MD)
    • 라이즈 오브 더 로보츠(SFC, MD, 3DO, CD32, DOS)
    • 타마:현기증나는 미로의 모험가 공(SS,PS)[8]
  • 1995년
  • 1996년
    • 핏볼(PS)
    • 리턴 파이어(PS)
  • 1997년
    • 심령주살사 타로마루(SS)[9]
  • 미발매작
    • 힘내라 케이비군(がんばれ!ケイビ君)(PS)
    • 무적전함 키쿠이치몬지(無敵戦艦キクイチモンジ)
    • 피싱 프렌지(Fishin' Frenzy)

3. 특징

워너 미디어라는 거대 미디어 그룹의 자회사인 만큼 자사 IP를 활용한 게임을 활발하게 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자사 직영 개발스튜디오뿐 아니라 여러 스튜디오를 자사에 인수했는데, 대표적으로 모탈 컴뱃 시리즈로 유명한 미드웨이(회사)의 모탈컴뱃 개발진을 미드웨이 해체이후로 자사로 끌어들여 네더렐름 스튜디오로 재편했으며, 나름대로 일세를 풍미했던 FPS게임 제작사인 모노리스 프로덕션도 자사 산하로 편입한게 유명하다.

게임의 퀄리티도 수준급이라 미들어스 시리즈, 아캄버스, 인저스티스 등 상당수의 게임들이 호평을 받았다. 단 아쉬운 점은 시리즈 중 초기 게임은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지만 후기 게임으로 갈수록 맥이 빠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10]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게임 방식이 어느 정도 정형화되어 유비소프트식 오픈 월드와 비슷해지고 있다.

현재는 모바일 게임 서비스만 하는 디즈니와 달리 콘솔을 비롯한 다양한 플랫폼의 게임들을 내놓고 있다.

그 외에 개발사들 중 능력 있는 개발사가 4곳이나 돼서 미래는 상당히 밝은 편이다.[11]

또한 자사 게임들뿐만 아니라 타사 회사의 게임들도 직접적으로 유통하면서 더더욱 게임계의 몸집을 키우고 있는 중이다.[12]

현재 서양계 타회사들이 삐끗하고 있는 와중에도 최소한 수작급 게임들을 뽑아내면서도 좋은 작품들을 유통하면서 어느 정도 소비자들의 신뢰는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워너는 정말 작정하고 게임계에 뛰어들 생각인지 E3 2020에 자체 컨퍼런스를 가질 생각이었다.[13] 하지만 E3 2020이 취소되면서 워너의 자체 컨퍼런스도 미뤄지게 되었다.

참고로 루머중에 이번 배트맨 게임은 아캄버스가 아닌 새로 리부트를 할 예정이고 새로운 배트맨 게임을 시작으로 다른 DC 히어로(원더우먼, 아쿠아맨 등)들의 게임 제작과 DC 게임 유니버스를 구축할거라는 루머가 있다. 슈퍼맨 게임도 개발중이라고 한다.#

무엇보다 워너 브라더스 글로벌 정책을 시작한 모양인지 인저스티스 시리즈와 모탈 컴뱃 시리즈 빼고는 현지화를 잘 해 주는 편이다.

2023년 호그와트 레거시, 모탈 컴뱃 1의 성공으로 세계 10대 게임 회사에 등극했으며, 나름 괜찮은 게임을 내놓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수어사이드 스쿼드: 킬 더 저스티스 리그가 대폭망하면서 극과 극을 달리는 중이다.

4. 스튜디오

10개의 개발 회사를 소유하고 있다.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rowcolor=black> 소재지 스튜디오 설립연도 비고
미국
네더렐름 스튜디오 1988년 2009년 인수
모노리스 프로덕션 1994년 2004년 인수
WB 게임즈 보스턴[14] 1994년 2010년 인수
아발란체 소프트웨어[15] 1995년 2017년 인수
WB 게임즈 샌프란시스코 2013년
WB 게임즈 뉴욕 2005년 2017년 인수
WB 게임즈 샌디에이고 2019년
캐나다
WB 게임즈 몬트리올 2010년
유럽
TT 게임즈[16] 1984년 2007년 인수
락스테디 스튜디오 2004년 2010년 인수

4.1. 폐쇄된 스튜디오

워너 브라더스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rowcolor=black> 소재지 스튜디오 설립연도 비고
미국
서리얼 소프트웨어[17] 1995년 2009년 인수, 2010년 모노리스 프로덕션에 흡수 합병
스노우 블라인드 스튜디오[18] 1997년 2009년 인수, 2012년 모노리스 프로덕션에 흡수 합병

4.2. 관련된 회사

5. 매각설

2020년 6월에 워너 브라더스 사측은 이렇게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자 하지만 모회사인 AT&T는 게임 부문의 매각을 고려 중이라는 루머가 나왔으며 인수에 크게 관심 보이는 회사는 마이크로소프트[20], 일렉트로닉 아츠, 액티비전 블리자드, 테이크 투 인터랙티브, 소니 이 다섯 회사라 한다.

하지만 2020년 9월에 AT&T 측에서 워너 브라더스 인터렉티브 엔터테인먼트의 매각을 취소했다는 소식이 나왔다.# 매각 취소의 이유를 AT&T측에서 밝히기로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소스를 찾고 있는 상황에서 게임 개발사의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발표했으나 사실은 아무도 인수하지 않으려고 했기 때문이다.

보통 개발사의 매각은 스튜디오와 함께 IP에 대한 권한을 같이 넘기는 조건으로 매각하지만 AT&T의 WBIE의 매각은 IP는 제외하고 스튜디오만 매각하고 IP는 일정기간 독점계약이었다. 배트맨을 비롯한 DC 코믹스, 반지의 제왕, 해리 포터 시리즈 등의 IP는 그렇다쳐도 모탈 컴뱃 시리즈 같은 워너 브라더스의 IP와 관련 없는 게임들도 IP를 넘기는 조건이 아닌 일정기간 대여하는 조건이었다.

만약 이걸 인수하게 된다면 게임 개발비용과 스튜디오 유지비용(건물 임대료 등도 포함)은 인수한 측에서 전부 지출하며 판매 수익은 IP의 원 소유주인 AT&T에게 나눠주게 되는 상황으로 완전히 AT&T에게 호구잡힌 꼴 밖에 되지 않는다. 게임사를 인수하는 이유는 IP를 확보하기 위함이 가장 큰 이유인데 IP를 하나도 못받고 스튜디오만 넘겨받는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무려 40억 달러(한화 약 4조 8000억원)나 불렀으니 아무리 돈 많은 마이크로소프트라 하더라도 그런 호구짓은 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21]

매각 취소 소식 이후에 고담 나이트, 수어사이드 스쿼드: 킬 더 저스티스 리그, 호그와트 레거시와 같은 신작들을 공개했다.

미들어스 네메시스 시스템을 다른회사가 도용못하게 특허를 걸었다.#

그러나 2021년 5월 17일 AT&T워너미디어디스커버리 채널의 모회사인 디스커버리 커뮤니케이션스와 합병 발표를 함으로써 다시 매각을 단행 할 것으로 보인다.

레고 비디오 게임 시리즈를 제작한 TT 게임즈가 제일 먼저 매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IGN의 주장에 따르면 TT 게임즈는 워너 브라더스 보다는 레고 회사와 관련이 깊은 곳이고 딱히 워너 브라더스랑 관계가 깊은 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매각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즉 일부 스튜디오를 판매하는 것도 그런 이유라고.

2021년 6월 24일 결국 워너 브라더스가 소유하고 있던 Playdemic Mobile Games를 일렉트로닉 아츠에 14억 달러에 팔고 다른 게임 회사들은 워너 브라더스에 남겨진다고 한다.#

이후 고담 나이트, 수어사이드 스쿼드: 킬 더 저스티스 리그, 호그와트 레거시, 원더우먼 같은 WB의 IP의 신작이 발표되면서 매각설은 사그라들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측에서 게이밍 영역에서의 투자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WB 게임즈 인수 떡밥은 종결되었다고 보는게 맞다.#

6. 여담



[1] 모노리스 프로덕션의 CEO이기도 하다[2] 발족 당시에는 워너 브라더스 컨슈머 프로덕트라는 이름이었으나 2004년 1월 구조개편을 거치면서 사명이 한 번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 지금과 같이 변경되었다.[3] 특히 E.T의 경우 스티브 로스가 사장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가 개봉하고 판권을 거액에 사들인 뒤 크리스마스 시즌까지 개발을 완료하라고 독단적으로 밀어붙인 게 결정적 원인이었다. 나무위키의 해당 문서에 가면 상단에 뜬금 없이 워너 커뮤니케이션즈(現 워너미디어)의 주가 하락 기사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아타리의 주가가 하락하면서 모회사인 워너의 주식도 같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진의 해당 인물의 사진이 스티브 로스이다. 이러한 삽질 덕에 한동안 워너 자체가 휘청거려서 1989년에 타임과 합병하기 전까지는 그룹이 다소 고전했었다.[4] GT 인터랙티브는 둠 II, 듀크 뉴켐 3D, 퀘이크를 셰어웨어로 배포했던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5] 1988년 텐겐이 세운 일본지사로 장기적으로 이어가던 몇 안 되는 일본 내 해외 게임사였다.[6] 원제: Awesome Possum... Kicks Dr. Machino's Butt. 1993년 11월 25일 텐겐 사에서 제작해 발매한 게임. 매드 사이언티스트 Dr. 머시노가 지구를 오염시키고 야생 동물을 위험에 빠뜨릴 목적으로 로봇을 보냈다. 킬러 비와 라드 리노의 도움을 받아, 어썸 포섬은 로봇을 파괴하고, 세상을 구하는 내용의 플랫폼 게임. 1993년 가을 당시 소닉 3의 개발 미완성으로 인한 동물 마스코트 게임의 부재를 슈퍼 패미컴에서는 니트로 펑크스가, 메가드라이브에서는 이 게임이 공백을 메꿔주었다. 이후 1997년 6월 20일, 텐겐의 권리를 인수한 타임 워너가 게임이 그의 원고에 만화책 개념과 캐릭터 이름을 복사했다고 주장한 폴 A. 로긴스키의 저작권 침해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그의 주장을 증명할 증거가 부족하면서, 사건이 종결되고, 피고들은 혐의 없음을 선고받았다.[7] 위의 설명을 보면 알겠지만 이게 정답. 1번 보기에 나오는 귀곡당은 '심령주살사 타로마루'에 나오는 악의 조직 이름이다.[8] 양 기종의 런칭 타이틀이자 타임 워너 인터랙티브 일본지사의 자체 개발작. 일본 내수에서만 발매되었다.[9] 일본지사가 발매 직전 철수를 결정하면서, 약 5000장만 발매되었다. 그리고 프리미엄이 붙어 가격이 초고가에 발매되었다. 프로듀서는 트레저의 창립자인 이우치 히로시. PS판도 있었으나 미출시.[10] 대표적인 예가 배트맨: 아캄 나이트미들 어스: 섀도우 오브 워이다. 두 게임 모두 전작들은 만장일치의 호평을 받았지만 후속작은 다소 떨어지는 평가를 받았다.[11] 아발란체, 락스테디, 모노리스, 네더렐름[12] 다잉 라이트히트맨 2 그리고 더 위쳐 시리즈사이버펑크 2077 등을 유통한다.[13] 실제로 워너의 라이벌인 유니버셜, 파라마운트는 게임계에 발도 들이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직 소니만이 부서는 다르지만 플레이스테이션 내놓고 게임 사업에 뛰어든 상황이다. 사실상 모탈 컴뱃 IP를 가진 네더렐름 스튜디오를 인수한 워너의 신의 한수였지만 말이다.[14] 원래 사명은 터바인이었으나,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는 MMORPG 사업을 그만두고 모바일 게임에 집중하기로 결정했고 MMORPG 개발진들이 분사되어 나가면서 사명을 지금처럼 변경하였다.[15] 아발란체 스튜디오 그룹과는 다른 회사다. 2005년 4월 19일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서 인수해 디즈니 인터랙티브 소속이었으나, 2017년 1월 24일에 워너 미디어에 매각하면서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소속이 되었다.[16] 레고 비디오 게임의 주 제작사.[17]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의 제작사.[18] 반지의 제왕: 북부전쟁의 제작사.[19] 그러나 이마저도 나중에는 자체 유통으로 바뀌었다.[20] 자사의 구독 서비스인 게임 패스의 라인업을 강화하기 위해 다수의 개발사를 퍼스트 파티로 인수하고 있다.[21] 이후 MS는 동년 9월 베데스다 소프트웍스의 모회사인 제니맥스 미디어를 75억 달러에 인수했는데 40억 달러의 WBIE 인수보다 훨씬 더 좋은 인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