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5:57:48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타일러 글래스나우|타일러 글래스나우]]

1. 개요2. 피츠버그 파이리츠
2.1. 마이너 시절2.2. 2016 시즌2.3. 2017 시즌2.4. 2018 시즌
3. 탬파베이 레이스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5. 연도별 성적

1. 개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우완 투수 타일러 글래스나우의 야구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

2. 피츠버그 파이리츠

파일:GlasnowPIT.jpg
피츠버그 시절의 글래스나우

2.1. 마이너 시절

2011년 드래프트 5라운드 1순위로 피츠버그 파이리츠에 지명되었다. 5라운더라는 점에서 기대치가 낮지는 않지만 그렇게 큰것은 아니었고 글래스노우 본인도 포틀랜드 대학교 진학도 고려하고 있었으나 60만 달러의 계약금을 받고 피츠버그에 입단했다.

그렇게 마이너 생활을 시작해 2012 시즌 루키리그에서 34⅓이닝 ERA 2.10을 찍고 가볍게 싱글 A로 올라갔다.

2013 시즌 싱글 A에서 24경기 111⅓이닝 9승 3패 ERA 2.18 164삼진을 기록하며 소속팀의 한시즌 최다 삼진 기록까지 갈아치우며 싱글 A를 폭격했다.

2014 시즌에는 싱글A+에서 23경기에 등판해서 124⅓이닝 12승 5패 ERA 1.74를 기록하며 작년보다 더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며 더블A로 승격했다.

2015 시즌에는 더블A에서 전반기에 12경기에 등판해서 63이닝 5승 3패 ERA 2.43을 기록하며 하반기에 바로 트리플A로 승격해 8경기에 등판해서 41이닝 2승 1패 ERA 2.20을 기록했다.

2016 시즌이 시작하기 전에 베이스볼 아메리카 유망주 랭킹 16위에 이름을 올렸고 이 시점부터는 피츠버그 팬들도 메이저 등판도 안해본 루키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이미 글래스노우에 대해 모르는 피츠버그 팬들이 없었다.

그렇게 기대를 받으며 2016 시즌에는 트리플A에서 20경기에 등판해서 110⅔이닝 8승 3패 ERA 1.87을 기록하며 말그대로 씹어먹었다.

마이너 기록을 보면 단기간에 바로 콜업이 된건 아니지만 5라운드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차근차근 단계별로 마이너를 씹어먹으며 상위레벨의 리그에 갈수록 성적이 발전하며 본인의 재능을 보여주었다.

2.2. 2016 시즌

트리플A를 폭격하던 도중에 드디어 7월 초 콜업되었다.

7월 7일 부시 스타디움에서 열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의 원정경기에 등판해서 5⅓이닝 3피안타(1홈런) 4실점 2볼넷 5삼진을 기록하며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7월 23일에는 PNC 파크에서 열린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홈경기에 등판해서 3이닝 4피안타(1홈런) 2실점 3볼넷 2삼진을 기록하다가 어깨 부상으로 내려갔지만 홈 데뷔전도 치렀다.

홈과 원정 데뷔전 두 경기 성적은 8⅓이닝 6실점(5자책) ERA 5.40 5볼넷 7삼진을 기록하며 마이너부터 줄곧 지적받아온 제구 문제로 인해 기대치에 비해서는 아쉬운 성적을 기록하였다.

어깨 부상으로 인해 다시 치료와 휴식차원에서 로스트에서 이름이 빠져있다가 부상을 회복하고 확장엔트리와 함께 9월에 다시 메이저로 콜업되었다.

다시 콜업된 이후 중간계투와 선발로 5경기에 등판하여 15이닝 동안 0승 1패 ERA 3.60 8볼넷 17삼진으로 내년을 더 기대되게 하는 성적을 기록하면서 시즌을 마감했다.

2.3. 2017 시즌

그리고 기대를 받으며 스프링캠프에서 40인 로스터에 들면서 선발 로테이션 중에 한자리를 차지해 데뷔 처음으로 메이저리그에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4월 10일 PNC 파크에서 열린 신시내티 레즈와의 홈경기에 선발로 등판해서 1⅔이닝 동안 4피안타 5실점 5볼넷 1삼진을 기록하면서 완전히 망했다. 사실 이 때부터 이미 제구난조로 불안감이 엄습해왔고 결국 13경기에 등판해서 62이닝 동안 2승 7패 ERA 7.69 9이닝당 볼넷 6.39를 기록했다.

결국 시즌 중반에 다시 트리플A로 내려갔는데 15경기 등판해서 93⅓이닝 동안 9승3패 ERA 1.93를 기록하며 마이너를 폭격하면서 메이저에서는 망했지만 이미 본인이 마이너랑은 체급이 맞지 않음을 증명하면서 시즌을 마감했다.

2017 시즌에 망한 이유는 상당히 복합적인데, 제구를 잡기 위해 구속을 줄였더니 회전수 감소로 인해 구위가 눈에 띄게 줄어들면서 상대 타구의 질이 좋아졌고(2016년 Hard Speed 타구 비율 27.7% → 2017년 31.5%), 이는 곧 피안타율과 피장타율의 증가로 이어졌으며(2016년 피안타율 .250-피장타율 .409-HR/9 0.8 → 2017년 피안타율 .313-피장타율 .575-HR/9 1.9), 패스트볼 구위로 압도를 하지 못하니 변화구 완성도가 높지 않은 글래스노우의 탈삼진 능력은 감소했다.(2016년 K/9 9.26 → 2017년 K/9 8.13) 또한 공이 통타당하니 자신감이 떨어지며 공을 스트라이크 존에 제대로 집어넣기 어려워졌고 이는 도로 제구에 문제를 야기했다.(2016년 BB/9 5.0 → 2017년 BB/9 6.3) 여기에 투심을 장착하고 낮은 제구를 중시하는 피츠버그의 코칭 방식은 글래스노우에게는 영 맞지 않는 옷이었다.

2.4. 2018 시즌

작년에 선발로 망한 관계로 스프링캠프에서 40인 로스터에 들긴 했지만 구단은 글래스노우를 중간계투로 사용하기로 결정하면서 불펜에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34경기에 등판해서 56이닝 동안 1승 2패 ERA 4.34를 기록하고 구속과 구위도 오르면서 전시즌보다는 나아졌지만 9이닝 당 볼넷은 5.46개로 제구력은 여전히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

3. 탬파베이 레이스

파일:tyler glasnow.jpg
탬파베이 시절의 글래스노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탬파베이 레이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탬파베이 레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탬파베이 레이스#|]][[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탬파베이 레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러다가 논웨이버 트레이드 데드라인을 앞두고 크리스 아처의 트레이드 딜에 끼면서 오스틴 메도우스와 함께 탬파베이 레이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팬들 반응은 메도우스와 글래스노우를 같이 퍼주는건 너무 갔다는 의견과, 이미 한계를 보인 유망주를 보내고 1년 반의 계약기간에 팀 옵션까지 남은 검증된 선발투수를 얻어온 건 납득이 가는 딜이라는 의견까지 갈렸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본 결과 이 트레이드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향후 10년 농사까지 다 망쳐버린 사상 최악의 트레이드 중 하나[1]로 남게 되었고, 이로 인해 1년 뒤 클린트 허들 감독과 닐 헌팅턴 단장, 프랭크 코놀리 회장이 잇따라 사퇴하는 칼바람이 불고 말았다.[2]

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시즌 후 25M이라는 연봉을 감당하기 힘든 레이스인만큼 예상대로 트레이드 시장에 매물로 올라왔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뉴욕 양키스 등 선발진이 초토화된 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끄는 중이다.

2023년 12월 14일 마누엘 마고와 함께 가장 유력했던 행선지인 다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라이언 페피오, 자니 델루카가 반대급부로 레이스로 이적하며 마고의 연봉 중 400만 달러를 레이스가 보조한다. 그리고 트레이드 직후 다저스와 2025년부터 시작하는 4년 111.5M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3] 게다가 다저스는 야마모토 요시노부를 무려 12년 325M으로 영입하며 2024년 다저스는 이변이 없는 한 워커 뷸러-야마모토 요시노부-타일러 글래스노우-바비 밀러로 이어지는 미친 로테이션을 보유하게 되었다.

4.1. 2024 시즌

파일:glasnow2024.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4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4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4년#|]][[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4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2025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5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5년#|]][[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타일러 글래스노우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DB827>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16 PIT 7 0 2 0 0 23⅓ 4.24 22 2 13 3 24 1.500 99 0.1 0.1
2017 15 2 7 0 1 62 7.69 81 13 44 2 56 2.016 56 -0.4 -1.9
<rowcolor=#FFF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18 PIT/TB 45 2 7 0 4 111⅔ 4.27 89 15 53 4 136 1.272 94 0.8 0.7
2019 TB 12 6 1 0 0 60⅔ 1.78 40 4 14 0 76 0.890 248 2.3 2.5
2020 11 5 1 0 0 57⅓ 4.08 43 11 22 0 91 1.134 100 1.1 0.7
2021 14 5 2 0 0 88 2.66 55 10 27 0 123 0.932 152 2.6 2.4
2022 2 0 0 0 0 6⅔ 1.35 4 1 2 0 10 0.900 287 0.1 0.4
2023 21 10 7 0 0 120 3.53 93 13 37 1 162 1.083 121 3.2 2.0
<rowcolor=#FFF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4 LAD 22 9 6 0 0 134 3.49 92 15 35 0 168 0.948 112 3.8 2.1
MLB 통산
(9시즌)
149 39 33 0 5 663⅔ 3.81 519 84 247 10 846 1.154 108 13.7 8.9


[1] 다른 실패작으로는 게릿 콜 트레이드, 키오니 켈라 트레이드, 펠리페 바스케스 트레이드 취소가 꼽힌다.[2] 거기에다가 아처 딜의 추후 지명 선수로 탬파베이가 데려간 셰인 바즈까지 2019년부터 MLB 파이프라인 선정 Top 100 유망주 리스트에 포함되기까지 하며, 피츠버그는 더더욱 아쉬움을 남기게 되었다.[3] 2024 시즌 연봉 포함시 5년 136.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