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7:33:41

클라리온(기업)


1. 개요2. 브랜드3. 제품목록
3.1. 헤드유닛
3.1.1. 2DIN 디스플레이 오디오3.1.2. 1DIN 표준형 오디오
4. 여담


Clarion

공식 웹페이지(본사)

1. 개요

1940년 12월 18일에 설립된 일본의 카오디오 및 자동차 주변기기 업체로 사이타마시 주오구에 본사가 있다.

2018년 10월부터 프랑스 포레시아에 인수되었고 2024년부터 사명을 Clarion Lifecycle Solution으로 변경했다.

2. 브랜드

1990년부터 2005년까지 내수용 브랜드로 "ADDZEST"가 있었으나 폐지했다.[1] 지금 수출용 및 현지생산 제품은 그대로 Clarion을 사용했으며 상용차용 도 마찬가지로 ADDZEST 브랜드를 사용한적이 없다.

3. 제품목록

3.1. 헤드유닛

3.1.1. 2DIN 디스플레이 오디오

3.1.2. 1DIN 표준형 오디오

4. 여담

  • 닛산자동차/인피니티 외에도 스바루, 스즈키, 이스즈 차량의 헤드유닛을 생산하기도 했으며 GM대우 라세티의 일본형 쉐보레 옵트라에 MAX740HD, MAX950HD, ADB345MP를 제공한적이 있다.
  • 국내에서는 원택이라는 업체가 수입했으나 2014년도 부터 손때고 클라리온은 철수를 발표했다.
  • 1998년도 까지는 파이오니아, 알파인과 다르게 2DIN 헤드유닛은 미대륙에만 수출한듯 하나 AM 530-1710kHz/FM 87.9-107.9MHz로 적혀있어도 모델이 따로 발매되거나[예] 내수용이 아닌이상 주파수 설정[12]이 가능한 제품이 있어 사실상 미대륙 이외에서도 판매되었다.[13][14]
  • 현재 본국에서는 B2C 제품이라고 할것들이 블랙박스(대시캠), 디스플레이 오디오밖에 없다.
  • 동남아지사에서는 ALPINE, Pioneer와 함께 어디서 많이 본 '그것'을 OEM으로 공급받아 판매하고 있다(...)
  • 리뉴얼 된 본사 웹페이지를 제외하면 철수한 국가들을 포함해서 전부 archive.clarion.com으로 되어있다. 사실상 철수하지 않은 국가에서도 발을 빼려는듯 하다.
  • 와이드FM 이후에 출시된 MAX, NX 시리즈는 76.0 - 95.0MHz대역이였지만 다 정리한 TY-1000A-B는 76.0 - 99.0MHz 대역이다.
    • 단종되었지만 표준형 1DIN인 CZ215는 76.0 - 90.0MHz(...) 대역[15]이며 2DIN인 CX315가 76.0 - 99.0MHz 대역이다.

[1] 반대로 파이오니아는 지금도 내수용 카오디오를 Carrozzeria 브랜드로 판매하고있다.[미주지역] [아태지역] [내수용] [미주지역] [미주지역] [아태지역] [아태지역] [아태지역] [아태지역] [예] ADB340MP(미대륙), ADB341MP(국제), ADB345MP(내수)[12] HX-D1기준으로 DISP버튼과 6번키를 2초동안 동시에 누르면 AM 531-1629kHz/FM 87.0-108.0MHz로 변경이 가능하다.[13] 그래도 JVC 켄우드, 파나소닉보다는 낮다. 이쪽은 아예 2DIN 헤드유닛의 수출을 98년도까지는 하지않았다. 켄우드(M Type, K Type은 북미형 제품이다.)나 파이오니아는 글로벌 모델에서만 주파수 설정이 가능하며 파나소닉은 아예 설정자체가 불가능하다. 심지어 파나소닉은 2DIN 제품을 아태지역에서만 수출했다.[14] 알파인은 97년도 부터 2DIN 제품(MDA, 3DA)이 발매되었다.[15] 심지어 저 제품은 2014년 출시이다. 그렇다 와이드FM이 발표되었을때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