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관련 문서 | ||||||
| 모차르트 | 생애 | 음악・오페라 | 이야깃거리 | 쾨헬 번호 | |||
| 모차르트의 오페라 (개요) | |||||||
| 이도메네오 | 후궁으로의 도피 | 피가로의 결혼 | 돈 조반니 | 코지 판 투테 | |||
| 마술피리 | 티토 황제의 자비 | 차이데 | |||||
|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 |||||||
| 1번 | 2번 | 3번 | 4번 | 5번 | |||
| 6번 | 7번 | 8번 | 9번 | 10번 | |||
| 11번 (터키 행진곡) | 12번 | 13번 | 14번 | 15번 | |||
| 16번 | 17번 | 18번 |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 ||||
| 문서가 있는 모차르트의 다른 작품 | |||||||
| 레퀴엠 | 교향곡 제40번 (1악장) | 교향곡 제41번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 아! 어머니께 말씀드리죠 주제에 의한 변주곡 | |||
|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음악의 주사위 놀이 | 피아노 협주곡 20번 | 피아노 협주곡 21번 | 피아노 협주곡 23번 | |||
| 간츠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오보에 협주곡 C장조 |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 |||||
W.A Mozart 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622
1. 개요
2. 편성
A 클라리넷 독주플루트 2
바순 2
호른 2
현악기
3. 구성
3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3.1. 1악장
AllegroA장조로 이루어진 소나타 형식의 악장이다.
3.2. 2악장
AdagioD장조로 이루어진 세도막 형식의 악장이다.
3.3. 3악장
Rondo: AllegroA장조로 이루어진 론도 형식의 악장이다.
4. 여담
모차르트의 가장 마지막 작품들 중 하나이다.현대에는 거의 A 클라리넷으로 연주하지만, 원전은 A 바셋 클라리넷을 위해 작곡되었다. 바셋 클라리넷은 클라리넷과 매우 비슷하지만 다른 악기로, 과거에는 관의 구경이나 모양, 벨의 형태 등이 많이 달랐지만 현대에는 클라리넷의 모양으로 수렴진화하여 관만 조금 더 길고 저음으로 네개 음(D#, D, C#, C)이 더 추가된 형태의 악기이다.
이 협주곡에서는 위의 4개의 저음이 중요하게 등장하여 완전히 A 클라리넷으로 대체해서 연주할 수 없기 때문에, 바셋 클라리넷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어쩔 수 없이 이 저음들을 한 옥타브 올려서 연주할 수밖에 없다. 클라리넷 악보만 다루는 학생은 곡의 저음 부근에서의 어색한 옥타브 도약이 왜 있는지 의아해 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