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14:35:42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스피드 카트/Xun 엔진까지 출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스피드 카트/목록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프로토3. 파츠4. 로디5. 에스토크

1. 개요

2024년 11월 7일부터 V1엔진의 뒤를 이은 새로운 엔진이다. 지우 엔진과 X엔진, V1엔진처럼 새로운 엔진도 프로토로 시작하게 되었다.

2. 프로토

프로토 시리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SIX.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SR.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SRX.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Z7.png
프로토 SIX
PRO 엔진
프로토 SR
SR 엔진
프로토 SRX
SR 엔진
프로토 Z7
Z7 엔진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HT.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9.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바이크 9.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X.png
프로토 HT
HT 엔진
프로토 9
JIU 엔진
프로토 바이크 9
JIU 엔진
프로토 X-A
X 엔진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X.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프로토 바이크 X.png 파일:프로토 V1.png 파일:프로토 바이크 V1.png
프로토 X-M
X 엔진
프로토 바이크 X
X 엔진
프로토 V1
V1 엔진
프로토 바이크 V1
V1 엔진
파일:프로토S_Xun.png 파일:프로토I_Xun아이콘.png
프로토S Xun
Xun 엔진
프로토I Xun
Xun 엔진
}}} }}} }}} ||
넘을 수 없었던 속도의 벽이 드디어 깨진다!
- 프로토 SIX 캐치프레이즈
SR 등장 직전인 2006년 1월에 첫 출시된 시리즈이다. 중국에서의 이름은 개념차, 대만에서의 이름은 원형차. 콘셉트 카라는 의미이다. 모델 색상은 주로 파란색이 쓰였으며 Z7과 9는 빨간색, X는 흰색을 사용했다.

프로토라는 이름답게 말 그대로 프로토타입으로, 신규 엔진을 체험해보라는 의도로 유저들에게 거의 무료로 지급되다시피 하는 카트바디다. 다만 SR부터 HT까지는 프로토라는 이름만 따를 뿐 마냥 프로토타입이라는 특징은 그렇게 부각되지 않았다. JIU 엔진부터 출시 이후 밸런스 조정이 있었고, 이 성능은 이후 출시되는 코튼에 대부분 반영된다.

프로토 SIX는 당대 최고의 성능을 자랑했던 플라즈마 PXT를 견제하기 위해 출시한 카트바디다. 당대 최고의 성능을 자랑했으며 특히 팀전에서 많이 쓰였다. PXT의 팀 부스터 길이가 일반 부스터와 별로 차이가 안 나다 보니 자주 채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전으로 진행되는 카트리그에서는 가끔씩 등장했을 뿐 주류 카트바디는 아니었다. 하지만 2개월 후 코튼 SR의 등장으로 인해 순식간에 몰락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업그레이드 킷을 출시했으나, 3만 루찌라는 비싼 가격으로 인해 많이 풀리지 않았다. 카트라이더 2.0 업데이트 이후 업그레이드 킷의 판매 종료로 인해 안 그래도 희귀한 카트바디인데 기어로 풀리기 전까지 아예 볼 수 없는 환상종이 되어버렸다.

프로토 Z7은 출시는 하였으나 SIX처럼 신규 엔진을 장착한 것도 아니었고 이미 EXT같은 깡패 카트들이 멀티와 타임어택 깊숙히 자리를 잡아두고 있던 시기였기에 상점 아니면 볼 일이 없었던 카트바디이다. HT는 2013년 1월 3일 패치로 나오긴 했으나 같은 날 나온 플라즈마 HTP와는 달리 이쪽은 카트라이더 블랙 시나리오 업데이트시 나온 마블 게임에서 나오는 보상품으로 발매되었다.

해외 카트라이더에서는 엔진의 첫 출시때마다 나오긴 했지만 그래도 한국에서의 출시가 빨랐고, 포지션 위치도 애매해서 자주 볼 일은 없었다. 그러다가 9 엔진부터 디자인을 쇄신하고 아예 철저한 프로토타입 컨셉으로 돌아오면서 이미지 전환에 성공했다. 신 엔진 출시 때마다 나오는지라 특정 성능이 너무 뛰어나는 등의 밸런스 문제가 있긴 하지만 이 점 덕분에 출시 후 잠깐동안 신엔진 버프로 원탑에 위치한 적도 있고 신규 유저들도 무료로 뿌려준 덕분에 신규 엔진 체험 차원에서 자주 탑승하고 있다. 또한 프로토 바이크 9를 기점으로 바이크 또한 프로토 시리즈를 통해 첫 선을 보이게 되었다.

2021년 3월 4일 자로 X엔진을 뒤이을 새로운 엔진 V1 엔진을 장착한 프로토 V1이 등장했다. 디자인이 HT까지의 디자인으로 다시 회귀했다.

2024년 11월 7일자로 중국 카트라이더에서 V1엔진을 뒤이을 새로운 엔진 엔진을 장착한 프로토S 쉰, 프로토I 쉰이 등장했다. 기존의 곡선 위주의 디자인에서 각진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아이템전 카트바디인 프로토I 쉰을 기점으로 아이템전 카트 또한 프로토 시리즈를 통해 첫 선을 보이게 되었다.

3. 파츠

파일:V1 골드 파츠조각 엠블럼.jpg
파츠 시리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레파X.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유니크 파츠 X.png 파일:레어 파츠 V1.png 파일:레전드 파츠 V1.png
레전드 파츠 X
X 엔진
유니크 파츠 X
X 엔진
레어 파츠 V1
V1 엔진
레전드 파츠 V1
V1 엔진
일반 파츠 Xun
Xun 엔진
}}} }}} }}} ||
분해 시 ○○○ 파츠 1종을 획득할 수 있는

최초의 X엔진 레전드 카트바디 스펙터 X의 출시 후 X엔진 고유의 파츠 시스템과 레전드 파츠 간에 관련해서 카트라이더 제작진들이 고민을 한 끝에 탄생하게 된 특수한 카트바디. 특수 카트바디 취급을 하지만 분류상 엄연한 스피드 카트바디로 분류되었기에 스피드 카트 목록에 적게 되었다. [1] 초창기 X엔진의 일반, 레어 파츠 교환 시스템처럼 레전드 파츠마저 파츠 교환으로 출시하면 미리 파츠 조각을 쌓아두었던 올드 유저들과의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고 그렇다고 무턱대고 파츠를 뿌리자니 당시에 멘티스 9, 쉐퍼 9, 골든 스톰 블레이드 9, 파라곤 9, 스토커 9, 흑룡 9 등 X엔진 파츠 교환 시스템이 전혀 적용되지 않는 지우 엔진밖에 없는 유저들이 빠져나갈 수도 있다는 이유로 지우 엔진과 X엔진 간 밸런스를 어떻게든 조절해보고자 나오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멘티스 X, 쉐퍼 X, 골든 스톰 블레이드 X 같은 카트바디들의 출시로 이전에 출시된 흑기사 X, 백기사 X, 황금기사 X, 드래곤 세이버 X, 볼트 X 등이 레전드 파츠 대용으로 많이 써 먹는 데다가 이윽고 레전드 파츠도 파츠 교환이 가능해지면서 레전드 파츠 X는 파츠 보급형 카트바디로서의 의미가 조금씩 퇴색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파츠 보급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여전히 레전드 파츠 X는 많이 뿌려주고 있으며 합성 시스템에서 지우 엔진 보석 50개를 모으면 상시 레전드 파츠 X로 교환할 수 있게끔 짜여져 있기도 하다.

이후 히페리온 X,아르테미스 X가 나오고 크로노스 X, 블랙비틀 X, 골든 파라곤 X가 출시됨에 따라 당연히 유니크 등급에도 유니크 파츠 X의 파츠 보급 카트바디가 나왔으며 이마저도 V1 엔진이 나오고 나서는 레전드 파츠처럼 못 뿌려줘서 미안할 정도로 많이 제공되고 있다.

2021년 10월 28일, 크롬 버스트 V1의 출시와 함께 V1 엔진에도 파츠 보급 카트바디가 등장했는데 최초로 레어 파츠를 보급해주는 레어 파츠 V1이 등장했다. 아무래도 V1 엔진의 레어 파츠는 바퀴와 엔진 파츠가 X엔진의 레전드 및 유니크 고파츠와 성능이 비슷하거나 같아서 파츠 간 밸런스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레어부터 파츠 카트바디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12월 30일 12월 캍톡 이벤트로 레전드 파츠 V1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2022년 1월 8일 9시 쇼타임 이벤트로 12월의 캍톡 상자에서 뿌려줬다. 다만 한 계정당 2개만 줬기 때문에 획득한 사람은 극소수이다. 심지어 레전드급 분해에서도 특수 파츠가 나온다. 때문에 레전드 부스터 고파츠를 노리고 분해했다가 특수 파츠가 나와버리는 참사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공식 자유게시판의 사례 카트라이더 갤러리의 사례 이중선의 사례[2] 일반 유저의 사례 때문에 레전드급부터는 특수 파츠가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게 나오고 있다.

말 그대로 파츠 분해해서 다른 카트바디에 박으라고 만든 카트바디이기 때문에 엔진 고장으로 인해 주행 기능 오류 발생이라는 설명까지 덧붙여가면서 의도적으로 주행 성능을 쓰레기급으로 만들었다. 일단 게이지 충전량이 -500으로 -150의 게이지 충전량인 플라즈마 X PT보다도 수치가 떨어지며 기본 주행 시 자동 게이지 충전 및 충돌 시 부스터 게이지 보호 기능이 전혀 먹히지 않고, 드래프트도 삭제되었으며 듀얼 부스터도 딱 0.3초 동안만 터지게끔 만들었다. 하지만 이럼에도 이 카트바디를 타고 주행하는 유저들은 종종 보였다. 그러나 레전드 파츠 V1이 109~115km/h라는 처참한 감속을 보여주면서 결국 몰락했다.

Xun 엔진으로도 일반 파츠 Xun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는데 이전 파츠 시리즈와 달리 사용처가 분해가 아닌 성장형 카트바디의 재료이며, 어째서인지 엔진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다만 게이지 충전량 -500은 여전한데다 감속도 구려서 실전용으로 쓰기에는 무리. 파츠 강화도 불가능하다.

여담으로 카트마다 듀얼 부스터의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카트바디를 통해 증명되었는데, 다행히도 이 카트바디 말고는 듀얼 부스터 비율이 기존과 달라진 카트바디를 내놓지 않고 있다.

4. 로디

파일:로디 크로스 엠블럼.jpg
파일:로디 크로스 엠블럼.jpg
로디 시리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로디 클래식.png 파일:로디 머큐리.png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페르디.png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페르디 Blaze.png
로디 클래식
G3 엔진
로디 머큐리
R4 엔진
로디 페르디
PRO 엔진
로디 페르디 Blaze
PRO 엔진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파이론.png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인페르날.png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벤투스.png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엠퍼러.png
로디 파이론
SR 엔진
로디 인페르날
SR 엔진
로디 벤투스
Z7 엔진
로디 엠퍼러
Z7 엔진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엠퍼러 Type-W.png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카프카.png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알베르.png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노벰버.png
로디 엠퍼러 Type-W
Z7 엔진
로디 카프카
HT 엔진
로디 알베르
뉴 엔진
로디 노벰버
JIU 엔진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스파이.png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퍼스트.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플레어.png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플레어.png
로디 스파이
JIU 엔진
로디 퍼스트
X 엔진
로디 플레어
X 엔진
로디 플레어 SE
X 엔진
파일:로디 크로스.png 파일:로디 크로스 GT.png 파일:골든 로디 크로스.png
로디 크로스
V1 엔진
로디 크로스 GT
V1 엔진
골든 로디 크로스
V1 엔진
}}} }}} }}} ||
모티브 / 이미지 컬러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카트바디 모티브 이미지 컬러 카트바디 모티브 이미지 컬러
파일:로디 클래식.png 포드 에드셀 파란색 파일:로디 머큐리.png 포드 머스탱 파란색
로디 클래식 로디 머큐리 (Xun)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페르디.png 포르쉐 550 스파이더 검정색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페르디 Blaze.png 포르쉐 550 스파이더 검정색
로디 페르디[A] 로디 페르디 Blaze[A]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파이론.png 람보르기니 기반 자체 디자인[5] 노란색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인페르날.png 포르쉐 카레라 GT 흰색
로디 파이론 로디 인페르날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벤투스.png 자체 디자인 흰색 / 검정색[6]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엠퍼러.png 파가니 존다 F 고정 도색
로디 벤투스 로디 엠퍼러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엠퍼러 Type-W.png 파가니 존다 F 고정 도색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카프카.png 벤틀리 컨티넨탈 GT 카프카 블루
로디 엠퍼러 Type-W 로디 카프카[7]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알베르.png 포드 모델 T 로디 알베르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노벰버.png 메르세데스-벤츠 AMG 비전 그란투리스모 노벰버 블루
로디 알베르[8] 로디 노벰버
파일: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스파이.png 애스턴 마틴 DB10 로디 스파이 파일:로디 퍼스트.png BMW M8 로디 퍼스트
로디 스파이 로디 퍼스트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플레어.png 혼다 골드윙 빨간색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로디 플레어.png 혼다 골드윙 빨간색
로디 플레어 로디 플레어 SE
파일:로디크로스임시.png 마세라티 MC20 페일 애쉬 파일:로디크로스GT임시.png 마세라티 MC20 빨간색
로디 크로스 로디 크로스 GT
파일:골든 로디 크로스.png 마세라티 MC20 파란색
골든 로디 크로스
}}} }}} }}} ||
고급스런 스타일과 감각적인 코너링으로 라이더들을 사로잡은 로디 시리즈! 로디 시리즈를 모두 소유하고 있는 당신에게 로디 마니아의 칭호를 선사합니다.
- 로디 마니아 엠블럼 설명
The glory continues
- 로디 인페르날 캐치프레이즈
G3부터 진행되는 시리즈. 해적인 동시에 카트 애호가인 로두마니가 창시한 카트 시리즈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으며, 명칭인 '로디' 또한 로두마니의 애칭에서 가져온 것이다. 초대작인 클래식부터 일반적인 카트의 형태를 벗어나 실존 스포츠카를 모델로 삼은 디자인이 가장 큰 특징이며[9], 그 때문에 바퀴가 6개로 늘어난 JIU 엔진 시절에도 4바퀴였다. 멋있는 디자인 덕분에 예전 카트라이더의 추억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특히 로디 파이론에 애착을 가지고 있는 유저가 많았다.

카트 수집가라는 로두마니의 설정과 맞게 편하게 소장할 수 있도록 무제한 판매까지 진행했다. 물론 그에 걸맞게 가격 역시 비쌌다. 상점 폐지 직전까지 로디 클래식의 가격이 8100캐시였으며, 로디 벤투스는 캐시 카트바디의 마지노선인 9900원을 훌쩍 뛰어넘는 12000원이었다.[10]
파일:파이론계기판.png
파이론~알베르
파일:노벰버 계기판.gif
노벰버~스파이
파일:로디 퍼스트 계기판.jpg
퍼스트, 플레어(SE)
타 시리즈와는 달리 기본적인 엔진음과 타코미터가 차별화 되어 있다. 머큐리, 페르디, 파이론까진 엔진음이 동세대 기본 엔진음과 다르며, 특히 머큐리는 공회전도 전용 사운드였다. 인페르날, 엠페러, 벤투스, 알베르는 파이론의 엔진음을 그대로 썼고 카프카부터는 동급 세대의 엔진음을 적용했다. 이 기믹 때문에 소장하는 유저들도 어느 정도 있다. 참고로 뉴 엔진과 F724 계열 모델의 경우는 파이론과 엔진 사운드를 공유한다.

독보적인 강점이라고 한다면 감속이다. 다른 카트바디보다 10km/h, 심하게는 20km/h까지 차이가 벌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정성이 상당히 뛰어나서 실전에서도 불편함을 느낄 정도는 아니었다. 다만 그 여파로 최고속도가 살짝 낮은 것이 단점. 헌데 로디 벤투스부터는 감속이 상당히 나빠져서 이미지가 대량으로 깎였고 한동안 암흑기를 겪었다. 엠퍼러는 벤투스 시절 깎인 평가가 여기까지 이어져왔고 바이크 강점기라 딱히 주목을 받진 않았으며, 카프카는 게이지 회복량만 주목을 받았던 그저 그런 평범한 카트였고, 알베르는 곧 뉴 세이버가 나온다는 소식에 그대로 묻혔다. 이후 노벰버가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현재는 5대 시리즈보다 성능이 좋은 보급형 카트바디 정도의 위치에 위치해 있다.

2020년 5월 31일에 로디 엠퍼러에서 로디 엠퍼러 Type-W로 바꾸는 키트를 클릭시 바로 클라이언트가 튕겨버리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2020년 8월 20일에 로디 시리즈 최초 바이크 카트바디인 로디 플레어가 출시되었다.

로디 시리즈의 V1 엔진 카트바디 '로디 크로스'와 '로디 크로스 GT'의 존재가 유출되었다고 한다. 주기상 2021년 11월 11일에 네 번째 카트 패스가 예정되어 있고, 이 때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정말로 카트라이더 공식 패치 안내에서 11월 11일에 카트 패스 보상으로 나온다고 발표하였다. 모티브는 마세라티 MC20.이후 2023 쇼케이스 당일 골든 로디 크로스가 쇼타임 보상으로 지급되었다.

2025년 3월 8일 Xun 엔진으로도 출시. 무려 R4 엔진 카트바디인 로디 머큐리를 재해석한 로디 머큐리 Xun으로 출시되었다. 애석하게도 전용 계기판은 없다.

5. 에스토크

에스토크 시리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에스토크 V1 고화질.png 파일:empty_kart.png
에스토크 V1
V1 엔진
에스토크 Xun
Xun 엔진
}}} }}} }}} ||

[1] 비슷한 이유로 카트라넥카트라넥 X 역시 특유의 성능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스피드전에서 많이 쓰여 스피드 카트바디 취급을 함에도 아이템 카트바디로 분류되어서 아이템 카트바디 문서에 작성되었다.[2] 이중선은 시청자 계정으로 분해했다. 이마저도 30여개 계정의 캍톡 상자를 까봤지만 레파가 나오지 않아서 녹화 전 이미 뽑은 계정을 빌린 것.[A] 페르디난드 포르쉐의 이름에서 따온 것.[A] 페르디난드 포르쉐의 이름에서 따온 것.[5] 앞부분은 가야르도나 무르시엘라고와 비슷하다. 리어 라이트는 쿤타치의 디자인이다.[6] 프로모션 한정[7] 프란츠 카프카 88주기에 맞춰 지은 명칭이다.[8] 엠블럼 설명에 알베르 카뮈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작성되어 있다.[9] 지금이야 실존 차량을 모델로 삼은 디자인이 많아졌지만, 로디 시리즈가 처음으로 나온 2004년 G3 시절엔 카트라고는 5대 시리즈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그 5대 시리즈도 고카트 형태의 모양을 하고 있는 진짜 카트라고도 부를 수 있는 디자인이었다.[10] 첫 출시 때 할인 판매를 하긴 했는데, 할인된 가격도 9600원이라 문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스피드 카트/V1 엔진까지 출시, version=116, paragraph=2,
title2=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스피드 카트/V1 엔진까지 출시, version2=120, paragraph2=4,
title3=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스피드 카트/V1 엔진까지 출시, version3=131, paragraph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