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5 21:35:30

퀵 브레드

파일:스콘과라즈베리잼과클로티드크림.jpg파일:external/www.cityfruits.com/MuffinHampers-Full.jpg
대표적인 퀵 브레드인 스콘머핀
1. 개요2. 다른 범주와의 차이3. 종류

1. 개요

Quick bread

베이킹 파우더소다와 같은 화학적 팽창제를 사용하여 만드는 제과류.

탄산수소 나트륨이 산성 물질[1]과 만나 중화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여 반죽을 부풀게 하여 부드럽고 폭신한 식감을 만든다. 포만감이 있기 때문에 아침 식사간식으로 주로 먹는다.

긴 발효 과정 없이 간편하게 만들 수 있어서 제과제빵 믹스로 시중에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베이커리나 편의점 등에서 간편식으로 많이 판매하고 있다.

2. 다른 범주와의 차이

빵, 과자, 케이크와는 독립된 범주에 속하며, 차이는 다음과 같다.
  • (발효빵): 퀵 브레드는 이름에 '브레드'가 들어가있기는 하지만, 효모발효종과 같은 생물학적 팽창제를 통한 발효과정을 거치는 과 달리 화학적 팽창제를 사용하며, 퀵 브레드는 식사용 빵보다 단맛이 강하고 묵직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 무발효빵: 퀵 브레드와는 달리 팽창제가 아예 들어가지 않는다.
  • 과자: 퀵 브레드는 디저트로 먹지 않기 때문에 서양에서는 파티세리(제과점)이 아니라 베이커리(빵집)에서 취급한다. 그래서 과자로도 분류하기에 애매한 별개의 분류이다.
    • 쿠키, 비스킷(유럽식)[2]: 박력분을 주로 사용하고 팽창제가 거의 들어가지 않는 쿠키와 달리, 퀵 브레드는 중력분을 주로 사용하고 팽창제가 들어간다.
    • 케이크: 케이크도 화학적 팽창제를 사용하지만 후식용 디저트로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퀵 브레드와는 달리 제과류(양과자)에 속해있다. 다만 스펀지케이크류가 주로 그렇고, 파운드 케이크 등의 일부 예외가 있다.
    • 크래커: 퀵 브레드와 같이 중력분을 주로 사용하지만, 크래커는 일반적으로 팽창제가 들어가지 않고 식감도 퀵 브레드와 달리 딱딱하다.

3. 종류


[1] 제과제빵의 주재료가 약산성을 띠는 재료가 많으며, 베이킹 파우더에는 자체적으로 인산칼슘이 들어가있다.[2] 미국식 비스킷은 유럽식 비스킷과 전혀 다른 요리이며, 퀵 브레드에 속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