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6 21:02:55

콜 오브 듀티: 워존/투척 장비 및 특수 능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콜 오브 듀티: 워존
<colbgcolor=#000000> 파일:cod-warzone-logo.svg
콜 오브 듀티: 워존 관련 문서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000> 분류 파일:MWII_LOGO_SQUARE_SVG.svg 파일:Jupiter_Coming_Soon-Bnet_Game-Icon_Shop-EN-Vector-01.svg 파일:BO6-Icon.svg
오퍼레이터 오퍼레이터 오퍼레이터 오퍼레이터
워존 전용 오퍼레이터
장비류 장비류
주무기 (AR | 배틀 라이플 | SMG | 샷건 | LMG | DMR | SR)
보조무기
장비류
총기 개조
주무기 (AR | 배틀 라이플 | SMG | 샷건 | LMG | DMR | SR)
보조무기 (핸드건 | 로켓 런처 | 백병전)
장비류
총기 개조
주무기 | 보조무기
투척 장비 및 특수 능력
탑승 장비
알 마즈라DMZ 전용
아쉬카 섬DMZ 전용
본델DMZ 전용
우르지크스탄MWZ 전용
부호의 아성
리버스 아일랜드
에리어 99
베르단스크
특전 특전
기타 DMZ[1]
워존 2022
워존 2023
[1] 2023년 12월부로 DMZ는 MWII 클라이언트로 개별 실행된다. MWIII 워존 말기 DMZ는 워존이 아닌 MWII 카테고리로 이전되었다.
}}} ||


1. 개요2. 살상 장비
2.1. 세열 수류탄2.2. 접착식 수류탄2.3. 충격 수류탄2.4. 열압 수류탄2.5. 화염병2.6. C42.7. 블래스트 트랩2.8. 테르밋2.9. 도비 지뢰2.10. 투척 단검2.11. 드릴 차지2.12. 전투 도끼2.13. 눈뭉치
3. 전술 장비
3.1. 섬광탄3.2. 기절 수류탄3.3. 연막 수류탄3.4. 실험 가스3.5. 스냅샷 수류탄3.6. 쇼크 차지3.7. 디코이 수류탄3.8. 신경 가스3.9. 자극제3.10. 스파이 카메라3.11. 접근 경보기
4. 특수 능력
4.1. 탄약 상자4.2. 장갑판 상자4.3. 트로피 시스템4.4. 스크램블러4.5. 심박 탐지기4.6. 휴대용 레이더4.7. 휴대용 엄폐물4.8. 정찰 드론4.9. 유틸리티 박스4.10. P.R.D.4.11. 워 크라이4.12. 배치식 보급위치4.13. R.D.B.4.14. 무장 투하 표시기4.15. 현금 보관 풍선
5. 주머니
5.1. 장갑판 주머니5.2. 탄약 주머니
6. 기타 장비
6.1. 장갑판6.2. 방독면6.3. 부활 키트

1. 개요

콜 오브 듀티: 워존의 장비들을 서술하는 문서.

본래 워존은 전작들의 경우 모던 워페어 II, III의 것들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본작 워존이 출시되면서 모던 워페어와 블랙옵스 6의 장비들이 섞이며 일부는 카테고리가 재분류되었기에 따로 서술한다. 또한, MWII, MWIII에서 이식된 장비들은 스킨을 사용할 수 없다.

2. 살상 장비

2.1. 세열 수류탄

2.2. 접착식 수류탄

2.3. 충격 수류탄

2.4. 열압 수류탄

블랙옵스 6의 열압 수류탄을 가져왔기에 본작에서는 바닥에 불을 지르지 않는다.

2.5. 화염병

바닥에 불을 지르는 화염병이다. 출시 초기에는 테르밋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장판딜을 넣는 수류탄은 이것이 유일했다.

2.6. C4

2.7. 블래스트 트랩

전작들의 클레이모어를 대체한다. 전방위 방향으로 터진다.

2.8. 테르밋

블랙 옵스 헌정 이벤트에서 해제

블랙옵스 6 워존 출시와 함께 삭제되었다가 시즌 3 시작과 함께 재등장하였고, 블랙 옵스 헌정 이벤트 이전까지는 필드 드랍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외형은 MW의 것을 가져왔다. 위력은 풀장갑의 적도 직격으로 꽂으면 필살을 보장하던 흉악한 수준이었던 것이 너프되었다.

2.9. 도비 지뢰

전작들의 근접신관 지뢰를 대체한다. 특수능력으로써의 특성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후 회수할 수 없다.

2.10. 투척 단검

우셴코제 투척 단검이다.

2.11. 드릴 차지

2.12. 전투 도끼

2.13. 눈뭉치

크리스마스 특집 모드 전용 살상 장비. 10개까지 소지할 수 있으며 위력은 4방 정도를 맞춰야 적이 쓰러질 정도로 별로 좋지 않으나, 적에게 적중 시 독가스가 퍼져서 추가 피해를 준다. 이것은 역시 방독면으로 막을 수 있다.

3. 전술 장비

3.1. 섬광탄

3.2. 기절 수류탄

3.3. 연막 수류탄

3.4. 실험 가스

모던 워페어 III에서 넘어왔다. 가스 범위 내의 적에게 기침을 유발시켜 각종 행동을 제한한다.

처음 나왔을 땐 적에게 이동 제한과 소량의 피해를 입히는 살상용 독가스였으며, 방독면으로 피해를 막을 수 있었으나 시즌 3 리로디드 패치로 그냥 최루탄과 다를바가 없게 되었다.

3.5. 스냅샷 수류탄

3.6. 쇼크 차지

블랙옵스 6의 매커니즘을 사용한다.

3.7. 디코이 수류탄

3.8. 신경 가스

멀티플레이에서는 특수 능력이었으나 워존에서는 전술 장비가 되었다. 밟으면 터지는 살상용 독가스 지뢰이다. 특수능력으로써의 특성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후 회수할 수 없다.

3.9. 자극제

3.10. 스파이 카메라

3.11. 접근 경보기

시즌 1 시점에서는 필드 드랍으로만 획득할 수 있다.

4. 특수 능력

4.1. 탄약 상자

소지한 무기 종류의 탄약과 수류탄 종류를 보급해준다. 최대치까지 채워줬던 전작들과 다르게 본작에서는 순정 기준 약 2탄창 분량만 채워준다.

4.2. 장갑판 상자

장갑판을 인벤토리에 보급해준다. 인벤토리가 다 차서 초과된 장갑판은 바닥에 떨군다.

베르단스크 업데이트 이전에는 무조건 최대치로 채우고 추가로 3장의 장갑판을 떨궜다.

4.3. 트로피 시스템

블랙옵스 6의 모델링으로 바뀌었다. 본작에서는 요격 횟수가 3회에서 5회로 늘어나고, 벙커버스터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아직 활성화중인 트로피 시스템은 언제든지 회수하여 다시 배치할 수 있다.

4.4. 스크램블러

좁은 범위에 재밍을 걸어 적이 미니맵을 볼 수 없게 만든다. 스크램블러가 펼쳐진 일정 범위는 적이 미니맵에서 상황을 알 수 없으며, 스크램블러 작동 범위 안에 들어온 적은 미니맵이 불통이 된다.

4.5. 심박 탐지기

꺼내서 적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구다. 시즌 3에서 배터리 타임이 60초로 증가하였다.

4.6. 휴대용 레이더

4.7. 휴대용 엄폐물

4.8. 정찰 드론

4.9. 유틸리티 박스

탄약과 장갑판 상자를 같이 보급해주는 상자로, 베르단스크 업데이트 이후로는 전투 준비 와일드카드로만 획득할 수 있다.

4.10. P.R.D.

드론을 타고 짧은 거리를 날아간다.

4.11. 워 크라이

전작 워존의 스쿼드 레이지를 계승하는 특수 능력이다. 아군이 직접 붙어야 했던 스쿼드 레이지와 다르게 미니맵 기준으로 근처에 있는 아군이라면 위아래로 떨어져 있어도 버프를 받는다.

4.12. 배치식 보급위치

연막탄을 투척한 위치에 상점을 투하한다. 기능상 필드의 보급 위치랑 다를 것이 없다. 워낙 작고 빨라서 어렵긴 하지만 운송하는 드론이 적에게 격추당할 수도 있다.

4.13. R.D.B.

재배치 드론을 설치한다. 설치한 재배치 드론은 일정 시간 이후 없어진다. 베르단스크 업데이트 이후에는 재배치 드론을 쓸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되었다.

4.14. 무장 투하 표시기

연막탄을 투척한 위치에 분대가 사용할 수 있는 개인 무장 상자를 투하한다. 커스텀 무장을 착용할 수 있다. 가격은 분대 인원에 따라 달라지며, 1인 기준 7500불, 4인 기준 15000불이다. 게임 모드의 인원이 아닌 현재 분대 인원을 기준으로 가격이 조정되므로 적은 분대원으로 게임을 시작하거나 중간에 분대원이 실종되면 가격이 감소한다.

모든 분대원이 무장을 획득하면 상자는 사라진다. 그렇지 않으면 상자는 계속 남아있으니 이미 무장과 특전을 갖춘 상태라면 일부러 획득하지 않고 나중을 위해, 또는 분대원이 사망 후 재배치 시를 대비하여 남겨둘 수 있다.

4.15. 현금 보관 풍선

약탈 모드에서만 등장하는 현금 보관용 풍선이다. 30만 달러까지 보관할 수 있으며, 펼친 상태에서는 하늘로 날라가기 전까지 적이 터트릴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안에 보관한 모든 현금이 바닥에 떨어진다.

===# 삭제된 특수 능력 #===
  • 오염 제거 스테이션
    카트리지가 다 될때까지 배치한 곳 주변의 가스를 중화시켜주는 특수능력으로 베르단스크 업데이트 이후 보이지 않게 되었다.
  • 모르핀 인젝터
    로드맵에 있었으나 나온 일도 없이 베르단스크 업데이트와 함께 나올 일 없게 되었다.
  • 지원군 플레어
    사망한 아군 한 명을 즉시 재배치한다. 당연히 하늘이 막힌 건물 안에서는 사용 불가능. 본작에서는 가방이 없고 특수 능력은 단 하나만 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전작들처럼 쟁여놓고 보험용으로 쓰기 굉장히 까다로워졌다.

5. 주머니

MW 워존에서의 조끼 시스템이 삭제되고 주머니 시스템이 새로 등장하였다.

5.1. 장갑판 주머니

장갑판을 8개까지 보관할 수 있다. 출시 초기에는 기본 장갑판 소지 개수 6장의 2배인 12장이었으나 시즌 3에서 워존 1과 같은 현재의 개수로 감소하였다.

5.2. 탄약 주머니

소지할 수 있는 탄약의 수가 증가하고, 살상 및 전술 장비를 3개까지 소지할 수 있게 해준다. 출시 초기에 장비 소지 개수가 4개까지였으나 현재의 수치로 감소하였다.

===# 장비 주머니 #===
똑같은 종류의 특수 능력과 킬스트릭을 2개씩 소지할 수 있다. 베르단스크 업데이트 이후 자취를 감췄다.

6. 기타 장비

6.1. 장갑판

피해를 막아주며 3장을 중첩 착용가능. 기본적으로 5개까지 소지할 수 있다. 출시 초기에 6장을 소지할 수 있었으나 시즌 3에서 현재 수치로 감소되었다.

6.2. 방독면

맵에 전개된 가스와 함께 적 스쿼드가 활성화한 실험 가스와 신경 가스의 피해를 막아주는 방독면이다. 방호 지속 시간은 짧다.

====# 견고한 방독면 #====
일반 방독면보다 훨씬 긴 시간의 내구성을 지닌 방독면이다. 베르단스크 업데이트 이후로 일반 방독면이 전설 등급 아이템이 되고 이것은 사라졌다.

6.3. 부활 키트

소지하면 쓰러졌을 때 스스로 일어날 수 있다. 리서전스 모드에서는 최초 배치에 한해서 기본 지급된다. 상점에서 보급품 확보, 폭탄 세일 이벤트 등으로 할인 구매가 가능할 시 부활 키트는 공짜로 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