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6 08:02:53

코스마스와 다미아누스

성인
코스마스와 다미아누스
Cosmas et Damianus
파일:고스마와다미아노.png
성 고스마와 성 다미아노 | 유리 슈비치 作
<colbgcolor=#fcf7ec,#fcf7ec><colcolor=#dcaf5f,#dcaf5f> 출생 3세기경
아라비아
사망 287년경 혹은 303년경
로마 제국 킬리키아 아에게아
직업 의사
종교 기독교
성인 정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cf7ec,#fcf7ec><colcolor=#dcaf5f,#dcaf5f> 성인명 한국 가톨릭: 고스마
한국 정교회: 고스마스
[언어별 명칭]
라틴어: 코스마스 (Cosmas)
영어: 코스마스 (Cosmas)
프랑스어: 콤 (Côme)
이탈리아어: 코스마 (Cosma)
스페인어: 코스메 (Cosme)
포르투갈어: 코스메 (Cosme)
독일어: 코스마스 (Kosmas)
네덜란드어: 코스마스 (Cosmas)
폴란드어: 코스마 (Kosma)
러시아어: 코스마 (Косма)
그리스어: 코스마스 (Κοσμάς)
아랍어: 쿠즈마 (قُزما)
중국어: 거시모 (葛斯默)
한국 가톨릭: 다미아노
한국 정교회: 다미아노스
[언어별 명칭]
라틴어: 다미아누스 (Damianus)
영어: 데이미언 (Damian)
프랑스어: 다미앵 (Damien)
이탈리아어: 다미아노 (Damiano)
스페인어: 다미안 (Damián)
포르투갈어: 다미앙 (Damião)
독일어: 다미안 (Damian)
네덜란드어: 다미아누스 (Damianus)
폴란드어: 다미안 (Damian)
러시아어: 다미안 (Дамиан)
그리스어: 다미아노스 (Δαμιανός)
아랍어: 다미안 (دَميان)
중국어: 다미앙 (达弥盎 / 達彌盎)
시성[1] 6세기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프로클로스와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 공인
동고트 왕국 로마
교황 펠릭스 4세 공인
칭호 아나르기리[2]
상징물 쌍둥이, 의료기기, 참수된 몸
축일 9월 26일[3]
11월 1일[4]
수호 의사, 약사, 수의사, 이발사, 쌍둥이, 보육원, 전염병에 걸린 자
}}}}}}}}} ||

1. 개요2. 순교와 시성3. 관련 문서

1. 개요

아라비아 출신 로마 제국의사 쌍둥이 형제.

코스마스와 다미아누스 형제는 총명한 두뇌와 뛰어난 의료 기술로 병자들의 완치를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약이나 시술만으로 낫기 어려운 이들에게는 간절한 기도를 통해 치유해 주는 기적까지 선보였다. 무엇보다도 이들은 기독교 신자와 신자가 아닌 사람을 막론하고 돈을 받지 않은 채 치료를 이행해 당대 위대한 명의로 칭송을 받았다.

2. 순교와 시성

당시 로마 제국의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기독교 박해 시절에 코스마스와 다미아누스가 기도를 통해 사람들을 치유한다는 사실이 널리 퍼지자 킬리키아의 집정관 리시아스(Lysias)는 이들을 체포했고, 이윽고 모진 고문을 통해 배교할 것을 강요했다. 그러나 신앙심이 깊었던 형제가 끝까지 자신들의 뜻을 굽히지 않자 결국 집정관은 287년경 혹은 303년경 이들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형제의 순교 후 이들에게 기도를 하거나 이들의 성유물을 직접 본 신자들 사이에서 많은 기적들이 일어났음이 알려졌고, 이로 인해 당시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프로클로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세운 이들의 성유물을 모신 성당과 동세기 교황 펠릭스 4세가 이들의 순교를 기리기 위해 로마에 세운 성당을 포함해 유럽아시아 곳곳에서 이들을 기념하는 장소가 건립되었다. 이를 기점으로 현재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 등 대부분의 기독교 종파에서는 이들을 성인으로 공경하고 있다. 다만 축일은 교회마다 상이한데, 정교회에서는 11월 1일이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서는 9월 26일이다. 가톨릭에서는 1970년 전례력이 개정되기 전에는 9월 27일이었다.

3. 관련 문서



[1] 이전부터 신자들과 주민들 사이에 성인으로 공공연하게 받아들여진 상태였다.[2] Ανάργυροι. 기적의 자선 치료자 성인들이라는 뜻으로 정교회에서 환자들에게 전혀 돈을 받지 않고 기도와 기적적인 방법으로 이들을 치유한 의사 성인들을 일컫는 명칭이다.[3] 정교회를 제외한 모든 기독교 분파에서의 축일.[4] 정교회에서의 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