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20:08:32

켄달 와스톤

파일:1442776008.webp
<colbgcolor=#fff>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No. 4
켄달 와스톤
Kendall Waston
<colcolor=#fff> 본명 <colbgcolor=#fff>켄달 자말 와스톤 만리
Kendall Jamaal Waston Manley
출생 1988년 1월 1일 ([age(1988-01-01)]세)
코스타리카 산호세
국적
[[코스타리카|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조건 196cm / 89kg
포지션 센터백
유소년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2000~2006)
소속 클럽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2006~2014)
AD 카르멜리타 (2007 / 임대)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2008 / 임대)
바야몬 FC (2010 / 임대)
LA U 우니베르시타리오스 (2010~2011 / 임대)
AD 무니시팔 셀레돈 (2011~2012 / 임대)
AD 무니시팔 셀레돈 (2013 / 임대)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2014~2018)
FC 신시내티 (2019~2020)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2021~ )
국가대표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74경기 10골[1] (코스타리카 / 2013~ )

1. 소개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같이 보기

[clearfix]

1. 소개

코스타리카의 축구선수. 현재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소속이다.

2. 클럽 경력

2.1. 자국 리그 시절

2006년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에서 프로 데뷔를 하였다. 그리고 수 년간 자국 리그 여러 팀의 임대를 전전하였으며, 2013년부터는 사프리사 1군에서 자리를 잡으며 활약하였다.

2.2.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2014년 8월 8일, 미국 MLS의 밴쿠버 화이트캡스에 입단하였다. 그리고 MLS 23R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전을 통해 교체 선수로 데뷔전을 가졌다. 이후, 다음 라운드부터는 주전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2014년 10월 25일, 그는 콜로라도 래피즈와의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코너킥 헤딩골로 4년 만에 화이트캡스의 MLS 플레이오프 진출을 견인하였다. 그리고 10월 한 달간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이며 MLS 이 달의 선수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는 매 시즌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하였고, 2017 시즌부터는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2018년 5월 26일, 산호세 어스퀘이크스를 상대로 100번째 MLS 경기를 출전하였다.

2.3. FC 신시내티

2018년 12월 11일, 신생팀 FC 신시내티에 트레이드 형식으로 입단하였다. 그리고 구단의 첫 MLS 시즌에 초대 주장으로 선임되어 25경기를 뛰고 1골을 기록하였는데, 이 한 골은 3R 포틀랜드 팀버스 전에서 성공시켰다.

이후, 2020 시즌이 끝난 뒤 팀에서 방출되었다.

2.4.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신시내티에서 방출된 뒤 2021년 1월 21일에 친정팀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로 복귀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연령대 대표 시절, U-20 소속으로 2007 FIFA U-20 월드컵 캐나다에 참가한 경력이 있다.

2013년 5월 28일, 캐나다와의 친선전을 통해 성인 대표팀에 데뷔하였다. 그리고 12일 뒤 온두라스와의 브라질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 4차전에서 본인의 두 번째 A대표팀 경기를 치렀고, 2013 CONCACAF 골드컵에서 본선 4경기 모두 벤치를 지킨 이후에는 2년 동안 대표팀에 소집되지 못하다가 2015년 10월 14일, 미국과의 친선전에 선발로 출전하면서 오래간만에 A대표팀 경기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이후에는 코스타리카 대표팀에 줄곧 소집되며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하였고, 러시아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 기간 동안 좋은 활약[2]으로 조국의 월드컵 진출을 견인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2018년 5월, 러시아 월드컵에 참가하는 23인 최종 엔트리에 당당히 포함되었다.

월드컵 본선에서 1,2차전은 벤치에서 대기하였고, 3차전 스위스를 상대로 월드컵 데뷔전을 치룬 그는 0:1로 뒤지던 후반 10분에 코너킥 상황에서 장신의 키를 활용하여 동점골이자 동시에 자신의 월드컵 첫 골을 뽑아내는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경기는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러시아 월드컵이 끝난 뒤 2019 CONCACAF 골드컵2021 CONCACAF 골드컵에 참가하였고, 카타르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 기간에는 2022년부터 줄곧 선발 출전하기 시작하면서 그가 출전한 6경기 동안 5승 1무를 기록, 극적인 약진을 이끌며 카타르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루어내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리고 플레이오프에서 뉴질랜드를 만나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 투입되었고, 45분간 뉴질랜드의 공세를 잘 막아내며 본선 진출을 일조하였다.

4. 같이 보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b123e><tablebgcolor=#fff> 파일:데포르티보 사프리사 로고.svg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스쿼드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3-24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1군 스쿼드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케빈 차모로 Kevin Chamorro
3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블로 아르보이네 Pablo Arboine
4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켄달 와스톤 Kendall Waston
5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조셉 모라 Joseph Mora
6 M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제페르손 브레네스 Jefferson Brenes
7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제프리 발베르데 Jefry Valverde
8 M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다비드 구스만 David Guzmán
9 FW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제이본 이스트 Javon East
11 M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루이스 디아스 Luis Díaz
12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리카르도 블랑코 Ricardo Blanco
14 FW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아리엘 로드리게스 Ariel Rodríguez
15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더글러스 세퀘이라 Douglas Sequeira
16 DF 파일:파나마 국기.svg 에두아르도 앤더슨 Eduardo Anderson
17 M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요세르트 에르난데스 Yoserth Hernández
18 GK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에스테반 알바라도 Esteban Alvarado
19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라이언 볼라뇨스 Ryan Bolaños
20 M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리아노 토레스 Mariano Torres 주장
21 DF 파일:파나마 국기.svg 피델 에스코바르 Fidel Escobar
23 FW 파일:쿠바 국기.svg 루이스 파라데라 Luis Paradela
24 FW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올란도 싱클레어 Orlando Sinclair
25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조르카에프 아소페이파 Jorkaeff Azofeifa
28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제랄드 테일러 Gerald Taylor
30 M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울리세스 세구라 Ulises Segura
31 FW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브리시오 알레만 Fabricio Alemán
32 D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킬베르 고메즈 Kliver Gómez
40 GK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아브라함 마드리즈 Abraham Madriz
41 FW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워렌 매드리갈 Warren Madrigal
<colbgcolor=#fff> 구단 정보
구단주: 후안 카를로스 로하스/ 감독: 왈테르 센테노 / 홈구장: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
출처: 위키백과 / 최종 수정 일자: 2024년 5월 11일
}}}}}}}}} ||



[1] 2024년 5월 11일 기준[2] 온두라스와의 2연전 모두 동점골을 기록하며 소중한 승점을 획득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