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53:01

컴투스프로야구V25/육성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컴투스프로야구V25|컴투스프로야구V25]]

1. 개요
1.1. 강화
1.1.1. 한계 돌파
1.2. 훈련
1.2.1. 훈련 돌파1.2.2. 훈련 재분배
1.3. 계승
1.3.1. 계승 시 주의사항
1.4. 잠재력1.5. 특훈1.6. 스킬1.7. 각성

1. 개요

컴투스프로야구V25의 육성 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담은 문서이다.

1.1. 강화

공식 커뮤니티 가이드

훈련과 함께 가장 기본적인 카드 육성 시스템. 강화 카드나 시즌/라이브 선수 카드를 사용해서 확률적으로 강화를 시도할 수 있다. 처음에는 강화 레벨 자체가 없고 강화에 성공하면 +1부터 시작한다. 기본적으로 +5까지 강화할 수 있고 +6 이상 강화하려면 한계돌파를 진행해야 하며 최대 +10까지 강화가 가능하다. 보통 사용하는 카드는 기본적으로 +5는 찍고 시작한다고 보면 된다. 게임을 막 시작한 뉴비도 가장 우선시하는 것이 사용할 카드를 +5까지 강화하는 것이다. 어쩌다 먹은 골든글러브나 시그니처는 뉴비 때 +5를 만들기 힘드니 임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잠깐만 시간이 지나도 +5까지는 찍어준다.

성공률은 강화 대상 카드와 재료 카드의 별 개수 차이와 강화 수치 차이에 따라 결정되고[1] 여러 장을 투입하면 각 카드의 성공률이 합산된다. 강화에 실패하면 기본 강화 성공률의 1/20만큼 다음 강화 성공률이 증가하고, 최대 10%까지 중첩된다.

높은 레벨의 강화는 실패시 확률적으로 강화 레벨이 하락한다. 시즌 카드와 국가대표 카드는 레벨 하락이 없고, 라이브는 +7 → +8부터, 임팩트는 +5 → +6부터, 시그니처와 골든글러브는 +3 → +4부터 실패 시 75% 확률로 강화 레벨이 하락한다. 재료로 동일한 선수의 카드를 사용하면 실패하여 레벨이 하락했을 때 별 개수나 강화 레벨과 무관하게 1장당 25% 확률로 레벨을 복구해 주고, 성공하면 1장당 5%에 기본 5%를 더한 확률로 강화 레벨이 한 번에 2 올라가는 크리티컬이 발동한다. 단 크리티컬이 터져도 최대 강화 가능 레벨 이상으로 올라가진 않으니 한계 돌파를 미리 뚫어놔야 한다. 구단 강화 카드라는 별도의 재료를 사용하면 해당 구단의 모든 선수가 동일 선수 카드를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받는다.

보조 아이템으로 배지가 있으며 성공률을 증가시켜주는 배지, 복구 확률을 높여주는 배지, 크리티컬 확률을 높여주는 배지가 있다. 강화할 때 등록할 수 있으며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배지는 사라진다. 일반 배지와 고급 배지가 있으며, 일반 배지는 성공률 3%, 복구 확률 50%, 크리 확률 10%가 올라가고 고급 배지는 성공률 10%, 복구 확률 100%, 크리 확률 30%가 올라간다.

일반적인 강화 전략은 강화 레벨 하락이 없을 땐 최대한 성공률을 낮게 해서 실패 시 받는 보너스 강화 성공률을 최대한 이용해먹고, 강화 레벨 하락이 있을 땐 최대한 성공률을 높게 해서 레벨 하락을 최대한 피한다. 취향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임팩트는 +7, 시그니처나 골든글러브는 +6까지 5성 카드 5장과 일반 배지로만 강화하고, 그 다음부턴 동일 선수 카드나 구단 강화 카드, 고급 배지를 사용하여 복원 확률을 100%로 맞추고 재료로 들어가는 카드도 미리 적당히 강화해서 성공률을 올린 뒤 강화한다. 정석은 동일 선수 카드나 구단 강화 카드 2장에 일반 복구 배지를 쓰는 것. 25 + 25 + 50으로 정확히 100%가 되고, 크리도 15% 확률로 터진다. 크리 배지를 추가하면 크리 확률도 올라가는데, 고급 크리 배지는 귀하므로 +8 골든글러브 or 시그니처 카드에나 넣어서 한 방에 +10으로의 등반을 노린다. +9 → +10에서는 크리가 안 터지므로 동일 선수 카드를 빼고 아껴뒀던 고급 복구 배지를 써서 100%를 맞춘다.

강화 레벨이 하락하면 스타를 써서 복구할 수도 있는데 추천하지 않는다. 강화 카드보다 스타가 더 귀중한 재료다.

1.1.1. 한계 돌파

공식 커뮤니티 가이드

동일한 종류[2]의 동일한 선수 카드나 한계 돌파권을 사용하여 강화의 최대 레벨을 +10까지 올릴 수 있다. 재료를 사용하면 경험치가 누적되며 레벨이 올라간다. 매 레벨마다 필요한 경험치량은 동일하며, 별 개수에 따라 필요 경험치가 차이가 있다. 1성은 200, 2성은 400, 3성은 1000, 4성은 2000, 5성은 3000. 단 골든글러브 5성은 4500씩 필요하다.

한계 돌파권은 본 게임에서 수요 대비 공급이 가장 적은 재화로 손꼽힌다. 공급이 잘 되지 않는 다른 재화는 일종의 엔드 컨텐츠 취급을 받는 반면 한계 돌파는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유저라면 무조건 하게 되므로 공급 부족이 심하게 체감된다. 그래서 이벤트로 뿌릴 때마다 스타를 써서라도 최대한 긁어모으게 된다.

한계 돌파권이 귀하기 때문에 카드 종류별로 사용이 추천되는 재료 종류도 다르다. 시즌/라이브 카드는 동일한 선수 카드를 구하기 쉬우므로 선수 카드를 쓰고 한돌권은 사용하지 않는 게 좋고, 골든글러브, 시그니처, 국가대표는 카드 자체가 매우 귀해서 동일 선수 카드를 구하는 것 자체가 힘들고 구하더라도 따로 쓸 데가 있으므로[3] 동일 카드가 아니라 한돌권을 쓴다. 임팩트는 특훈에 쓸 수 있지만 올라가는 경험치 양이 적고 특훈에 쓸 잡임팩은 은근히 많이 수급되므로 그냥 한돌로 써도 상관없다.

국가대표 소집권을 쓰면 한계 돌파는 그대로 계승된다. 시즌 / 라이브 카드는 한돌이 쉽지만 국가대표는 매우 어려우므로 한계 돌파를 다 해놓고 소집해야 한다. 안 그러면 눈물을 머금고 귀한 한돌권을 써야 한다.

1.2. 훈련

공식 커뮤니티 가이드

강화와 함께 가장 기초적인 카드 육성 시스템. 강화가 확률이라면 훈련은 경험치를 누적해 확정적으로 레벨이 올라가는 시스템이다. 대신 올라가는 능력치가 고정인 강화와는 달리 훈련은 올라가는 능력치가 랜덤이다. 레벨업 시마다 3개[4]의 기본 능력치가 무작위로 증가한다. 시즌/라이브 선수 카드나 훈련 카드를 재료로 하며 레벨업 시마다 포인트가 소모된다. 최대 레벨은 시그니처가 15, 나머지는 별 개수 x 2다.

전략이 다양한 강화와는 달리 지극히 단순하다. 그냥 카드를 먹이면 된다. 강화와는 달리 재료 카드의 강화 수치가 반영되지 않고 500exp 100장과 50000exp의 가치가 정확히 같기 때문에 아무거나 넣어도 상관없다. 다만 최대 레벨을 넘기고도 경험치가 남으면 낭비가 되므로, 넘치지 않는 선에서 경험치가 많은 카드부터 먼저 털어주는 게 좋다. 하단의 일괄 선택 기능을 쓰면 알아서 선택해주므로 아무 생각 없이 눌러도 좋다. 일괄 선택을 하면 최대치를 넘지 않도록 카드가 충분해도 최대 레벨 도달 직전에 필요 경험치가 살짝 남는데, 100exp나 500exp를 하나만 더 올려서 채워주거나 훈련 돌파를 진행하면 된다.

1.2.1. 훈련 돌파

훈련을 추가적으로 할 수 있게 해준다. 시도하면 별 개수가 같은 훈련 돌파권과 포인트를 정해진 개수만큼 소모해 확률적으로 훈련 최대 레벨이 1 올라가며, 실패 시마다 1%씩 최대 10%까지 성공 확률 보정이 발생한다. 골든글러브, 라이브 올스타 카드는 15회, 그 외 카드는 10회까지 훈련 돌파가 가능하다. 합치면 5성 기준으로 골든글러브, 올스타, 시그니처는 25레벨, 시즌 / 라이브 카드는 20레벨까지 훈련이 가능하며 4성밖에 없는 임팩트 카드는 18레벨까지 가능하다.

훈련 돌파권은 리그 모드 보상으로 많이 나와서 수급이 어렵지 않은데, 별 개수가 같은 훈련 돌파권이 발목을 잡을 때가 있다. 리그 티어가 올라가면 나오는 훈돌권 등급도 점점 올라가다가 나중에는 5성밖에 안 나오는데, 임팩트는 별 개수가 4성 고정이다. 그래서 5성 훈돌권은 흘러넘치는데 4성 훈돌권이 부족해서 울며 겨자먹기로 일부러 리그 티어를 내리는 유저들이 상당히 많다. 그래서 초반 4성 카드의 주 사용처인 포지션 특훈이 어느 정도 완료되면 제작소에서 4성 훈돌권 제작을 꼬박꼬박 해두는 것을 추천한다.

1.2.2. 훈련 재분배

훈련 최대 레벨에 도달한 선수는 훈련 재분배가 가능하다. 훈련 성장 재분배권과 포인트를 소모하며, 훈련으로 증가한 능력치를 재분배할 수 있다. 1종류의 능력치를 선택하여 가장 적게 분배받도록 설정할 수 있고, 시그니처 카드는 2종류의 능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재분배권은 매우 구하기 힘든 재료이므로 가급적 훈련 돌파를 끝까지 진행한 뒤 재분배가 필요하다 싶으면 재분배를 누르는 것이 좋다.

1.3. 계승

공식 커뮤니티 가이드
한 카드의 능력치를 다른 카드에 옮길 수 있다. 계승은 같은 카드 종류[5]에만 되며 계승권과 포인트를 필요로 한다. 계승할 때 육성해 둔 수치를 전달해주는 카드를 전달카드, 육성 수치를 이전받는 카드를 결과카드라고 하며 계승 시 전달카드는 사라진다.

1.3.1. 계승 시 주의사항

  • 훈련: 계승 시 훈련 레벨 및 경험치는 0으로 초기화된다.
  • 강화: 별 등급에 따라 강화 레벨이 유지되거나 증가, 감소한다.[6]
  • 한계돌파: 전달 카드의 한계돌파 및 특훈 레벨과 경험치는 결과 카드에 동일하게 이전된다.[7]
  • 스킬: 전달 카드와 결과 카드가 보유한 스킬 중 1종의 스킬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8]
  • 잠재력: 전달 카드에서 개방해둔 잠재력 추가 슬롯이 이전된다. 단 잠재력 노트로 성장시킨 잠재력은 이전되지 않는다.[9]

1.4. 잠재력

공식 커뮤니티 가이드
선수 카드마다 고유한 잠재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잠재력 성장 아이템을 사용하여 이 잠재력을 성장할 수 있다. 잠재력 상승 시 기본 능력치에 포함되지 않는 보조 능력치가 상승하며, 잠재력은 총 5종류[타자][투수]로 구성되어 있다. 잠재력의 등급에는 E(1칸)~S(10칸)등급이 있으며, 이 잠재력 등급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잠재력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이름의 잠재력 노트가 필요하다. 각각의 잠재력 노트는 스페셜 매치의 요일 경기에서 획득할 수 있다.

잠재력 성장에 필요한 잠재력 노트의 개수는 아래와 같다.
등급 잠재력 노트 종류 등급 잠재력 노트 종류
E → D
(2단계)
하급 중급 상급 B → B+
(7단계)
하급 중급 상급
100 650 750
누적: 하급 100 누적: 하급 1000, 중급 2600, 상급 1450
D → D+
(3단계)
하급 중급 상급 B+ → A
(8단계)
하급 중급 상급
200 400 750 800
누적: 하급 300, 중급 400 누적: 하급 1000, 중급 3350, 상급 2250
D+ → C
(4단계)
하급 중급 상급 A → A+
(9단계)
하급 중급 상급
300 450 850 850
누적: 하급 600, 중급 850 누적: 하급 1000, 중급 4200, 상급 3100
C → C+
(5단계)
(추가효과 발생)
하급 중급 상급 A+ → S
(10단계)
(추가효과 발생)
하급 중급 상급
400 500 900 900
누적: 하급 1000, 중급 1350 누적: 하급 1000, 중급 5100, 상급 4000
C+ → B
(6단계)
하급 중급 상급
600 700
누적: 하급 1000, 중급 1850, 상급 700

기본적으로 타자는 '풀스윙'과 '클러치'가, 투수는 '장타 억제력'과 침착성이 가장 중요한 잠재력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 두 개의 잠재력을 가장 먼저 올릴 것이 추천되고 있다. 또한 잠재력을 C+(5칸) 이상 성장시 추가 효과가 발생하니 상술한 두 잠재력은 C+까지는 성장해놓는 것이 좋다.

+5 이상 강화한 선수 카드는 잠재력 개방을 이용할 수 있으며, 추가로 개방이 진행된 단계만큼 잠재력의 추가 성장이 가능하다. 추가 성장 범위는 각 잠재력 종류마다 랜덤하게 결정된다. 임팩트 카드는 1~6단계의 범위에서 잠재력이 추가로 개방되며, 나머지 카드들은 1~4단계 내에서 추가로 개방된다. 추가 개방된 잠재력은 보라색으로 표시된다.

잠재력 개방으로 추가 부여된 성장 가능 수치는 잠재력 재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잠재력 재설정권' 아이템을 사용해야 한다. 잠재력 재설정권은 아래의 2종류가 존재한다. 잠재력 재설정으로 성장이 완료된 추가 잠재력 등급이 내려가는 경우, 잠재력 성장을 위해 투자한 잠재력 노트는 다시 반환되지 않으니 주의할 것.
  • 잠재력 재설정권 : 개방된 추가 성장 범위가 변경됨.
  • 고급 잠재력 재설정권 : 개방된 추가 성장 범위를 변경 시도할 수 있으며, 시도 결과를 확인하여 기존 잠재력 개방 범위/신규 잠재력 개방 범위 중에서 선택이 가능함.

잠재력은 무엇을 하든 일요일에 많이 돌려놓도록 하자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대부분 C+를 찍어두도록 하자.

1.5. 특훈

공식 커뮤니티 가이드

카드의 세트덱 스코어를 올리는 육성법. 레벨이 오르면 세트덱 스코어가 1씩 상승하고 원하는 기본 능력치를 1 늘릴 수 있다. 재료로는 임팩트, 시그니처, 골든글러브, 국가대표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골든글러브는 재료로 먹일 이유가 없고 국가대표는 타팀 카드라도 후원사 탐색에서 쓸만하므로 사실상 임팩트와 시그니처만을 먹이게 된다. 기본적으로 3레벨까지 가능하고, 라이브 카드는 특훈이 불가능하고 국가대표는 4레벨까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골든글러브 카드는 최대 6, 국가대표 카드는 최대 8, 나머지 카드는 최대 7까지 세트덱 스코어를 올릴 수 있는 것이다.

특훈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시즌 1000exp 2000xp
한계돌파 2레벨
2000xp
한계돌파 5레벨
-
임팩트 1000exp 2000xp
한계돌파 2레벨
2000xp
한계돌파 5레벨
-
시그니처 2000exp 4000xp
한계돌파 2레벨
4000xp
한계돌파 5레벨
-
골든글러브 2000exp 4000xp
한계돌파 2레벨
6000xp
한계돌파 5레벨
-
국가대표 1000exp 2000xp
한계돌파 2레벨
3000xp
한계돌파 4레벨
4000xp
한계돌파 5레벨

재료로 임팩트 카드를 사용하면 250exp, 시그니처 카드는 1000exp를 올려주며, 선호 구단의 카드는 2배로 적용된다. 임팩트 카드는 수급처가 많으므로 그냥 모이는대로 특훈 재료로 먹여도 상관없고, 시그니처 카드는 팀 선택권과 조합 보호권을 이용해 조합을 시도하여 선호 구단의 시그니처 카드로 바꾼 뒤 라인업에 등록하거나 특훈 재료로 먹인다.

사소한 팁으로 국가대표 소집권을 사용할 때, 시즌 카드 특훈 3레벨은 5000exp가 필요한데 국대는 6000exp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즌 카드에 미리 특훈을 다 해두고 소집하면 1000exp를 아낄 수 있다.

1.6. 스킬

공식 커뮤니티 가이드공식 커뮤니티 스킬 리스트
선수 카드는 각각의 스킬을 보유하고 있으며 라이브, 시즌카드는 기본 2개, 임팩트, 시그니처 카드는 기본 3개를 가지고 있다.
선수 카드에 적용되고 있는 스킬의 종류는 '스킬변경권' 아이템을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라이브 카드와 스페셜 카드는 각각 별도의 스킬 변경권을 사용해야 한다.
  • 라이브 카드(★★ 이하) : 스킬변경권 사용 불가
  • 라이브 카드(★★★ 이상) : 스킬변경권 (라이브) / 고급 스킬변경권 (라이브) 사용 가능
  • 스페셜 등급 카드: 스킬변경권 / 고급 스킬변경권 사용 가능
임팩트 카드는 '1번 스킬 슬롯'에 위치한 스킬이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국가대표 카드는 국가대표 전용 메이저 스킬이 존재한다.

임팩트는 1번 스킬이 고정되므로 일반 스킬변경권으로 돌리다 보면 3개의 메이저 스킬을 맞출수 있게된다. 임팩트 카드에는 일명 고스변[12]을 쓰지말자.

1.7. 각성

한계 돌파를 끝까지 다 하고 강화도 +10까지 다 한 카드는 각성을 할 수 있다. 동일한 등급의 동일한 선수 카드를 재료로 사용하면 각성 레벨이 1레벨 증가하며, 연도나 임팩트 테마까지 완벽히 같다면 3레벨 증가한다. 각성하면 강화나 훈련과 마찬가지로 능력치가 상승하고, 3번 각성할 때마다 특수한 효과가 추가된다.
  • 3레벨 : 1개 잠재력의 최대치가 S+에서 5칸 더 증가해 SR+이 된다.
  • 6레벨 : 각성 잠재력이 해방된다.
  • 9레벨 : 각성 잠재력의 최대치가 증가한다.

[1] 즉 별 개수가 같다면 골든글러브, 국가대표, 시즌 카드의 강화 성공률은 모두 동일하다.[2] 유일한 예외로 라이브 카드의 한계 돌파 재료로 시즌 카드를 쓸 수 있다. 반대로 시즌 카드의 한계 돌파 재료로 라이브 카드는 못 쓴다.[3] 골든글러브는 재영입, 시그니처는 특훈, 국가대표는 후원사 탐색에 쓰기도 모자란다.[4] 타자의 경우 파워, 정확, 인내, 선구, 주루, 수비 중 3개, 투수의 경우 구속, 변화, 구위, 제구, 지구력, 수비 중 3개[5] 라이브, 임팩트, 시그니처 등[6] 같은 별 등급이면 강화 레벨이 유지되지만 별 등급이 높은 카드에서 낮은 카드로 계승시키면 강화레벨이 증가하고 낮은 카드에서 높은 카드로 계승시키면 강화 레벨이 감소한다.[7] 결과 카드의 한계돌파 및 특훈 레벨이 더 높을 경우, 결과 카드의 성장 수치가 유지된다.낮은 등급의 카드로 계승하여 강화 수치가 증가할 경우, 해당 강화 수치 달성을 위한 한계돌파 레벨이 자동으로 적용된다.[8] 보유한 스킬들을 개별 선택할 수 없으며, 전달 카드 또는 결과 카드의 전체 스킬 중에서 1종의 선택만이 가능하다.[9] 전달 카드만 잠재력 개방되어 있을 경우, 전달 카드의 잠재력 추가 슬롯이, 결과 카드만 잠재력 개방되어 있을 경우, 결과 카드의 잠재력 추가 슬롯과 잠재력 성장 수치가 유지되며 전달 카드와 결과 카드 모두 잠재력 개방되어 있을 경우, 전달 카드의 추가 슬롯이 적용된다.[타자] 풀스윙, 클러치, 도루, 번트, 송구[투수] 속구 구종, 변화구 구종, 장타 억제력, 침착성, 견제[12] 고급 스킬변경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