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학교 시간표를 알려주는 인터넷 사이트이다.컴시간 홈페이지 | 시간표 확인하기(학생) | 시간표 확인하기(교사) |
2. 이용 방법
사이트 접속 시 학생용과 교사용을 잘 구분하여 들어가야 한다. [1]별도의 가입이나 로그인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시간표에는 과목명[2]과 이름이 표시되며, 교사 이름은 앞의 2글자만[3] 표시된다.
3. 활용방법
아침에 휴대폰으로 시간표를 간단하게 확인 가능하다. 학교 홈페이지나 담임교사가 공지하는 시간표와는 달리 수업 변동까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4]3.1. 학생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용 가능하다.1. iPhone용 App Store 앱
2. Android용 Google Play 앱
3. http://comci.net:4082/st
4. http://컴시간학생.kr
그 주의 시간표와 다음 주 시간표까지 볼 수 있다.[5]
노란색 표시는 과목 또는 담당교사가 변경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3.2. 교사
이용 교사는 중학교~고등학교 교사로,[6] 본인의 업무용 노트북이니 PC에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확인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7] 학생들도 애플리케이션과 웹 브라우저로 사이트 접속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학교 확인 시 학교명 검색이 아닌 학교 코드 입력 방식이기 때문에 코드를 알아내지 못하는 이상 접속할 수 없다.출장, 병가 등의 사유로 인해 결근, 지각, 조퇴를 하게 될 경우, 수업 교환이나 보강을 신청해야 한다. 대부분은 수업 교환을 하고 보강은 교환이 불가능한 수업이 있을 때 사용하는데 중학교에서는 자유학기 수업이나, 스포츠클럽 수업에 사용하고 고등학교는 이동 수업에 사용한다. 또 다른 경우에는 코로나 확진 등의 사유로 오랜 기간 못 나올 경우 빼야 하는 수업이 너무 많아져 교환이 어려워질 수 있기에 그때도 보강을 사용하고 고3의 경우 고2때 까지는 공통 과목이었던 국영수까지 선택 과목이 되기에 이동 수업이 많아지고 이동 수업이 정말 많은 반은 교환이 어려워 반에서 듣는 수업도 보강을 하기도 한다.[8] 또한 학기 말에는 남은 수업이 거의 없어서 교환이 어려워서 그때도 사용한다.
만약 코드를 알아내서 교사용으로 접속한다고 해도, 교사의 개별 시간표밖에 없기에 딱히 볼 건 없다.
4.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
현재 알려진 뷰어나 앱은 컴시간 개발자의 요청에 따라 모두 제공이 중단된 상태이다.기존의 컴시간알리미의 URL 링크 방식에 불편을 느낀 이용자들이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였다.
- 컴시간알리미 뷰어 (구글 플레이) - 개발자 Github - 2018년 4월 27일부로 지원 종료 되었었지만 Github에서 업데이트 하고 있다.
[9] - 스토어에는 게시가 취소되었지만 GitHub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고 한다. - 컴시간 앱뷰어(학생용) (플레이 스토어) - 2018년 4월 25일부로 시간표 조회기능 삭제.
- 컴시간 앱뷰어(교사용) (플레이 스토어) - 2018년 4월 25일부로 지원 종료.
- https://github.com/Team-IF/comcigan-py https://github.com/Team-IF/comcigan-lib 컴시간알리미 모듈 - 모듈 개발팀 Github (동작 안 함) - 2020년 5월 27일 제작된 모듈이다. 현재 기능으로는 시간표 조회기능이 있다.
- GitHub PyPI Python Library
- comcigan.ts (GitHub) - TypeScript Library
4.1. 서드파티 뷰어의 데이터 추출 방법
컴시간에서 데이터를 못 읽도록 노력했지만 base 64 인코딩으로 학교 코드를 감추고 JSON필드를 무의미한 변수명으로 바꾸는 낮은 수준이다.1) 스크립트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포트와 변수를 읽어내고 ( http://112.186.226.178:4082/st 로 http 요청을 할 시 오는 응답에 L4 스위칭으로 분기되는 포트가 명시된다.)
2) 이 포트를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여전히 시간표 데이터를 재구성 가능하다.
3) 어떠한 변수명으로 바꾸더라도 교사명은 "김, 이, 박"등의 성이 포함되고 과목명은 "국어, 수학.." 등이 들어가게 되므로 내용을 읽어내어 변수를 알아낼 수 있다. 과거 시간표와 현재 시간표만이 같은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는 스크립트에서 구별할 수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컴시간 앱뷰어와 시간표 제공 챗봇들은 '파싱'이라는 방식으로 컴시간알리미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다. 가끔씩 브라우저의
페이지 소스 보기
나 f12
버튼을 통해 페이지 소스코드를 본 사람들이 있을 것인데, 그렇게 페이지 소스코드에서 스크립트가 호출하는 URL을 http client로 호출하면 응답으로 오는 JSON 구조의 데이터를 파싱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컴시간알리미의 사이트 구조가 지속적으로 변경되면서 그러기 어려워지게 된 것이다. 한편 컴시간알리미 뷰어는 그냥 컴시간알리미 웹앱을 브라우저 대신 웹 뷰로 띄워주는 형태므로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었듯 2025년 1월 기준 앱이 내려간 상태이다.5. 비판
- 중, 고등학생들이 개발 실력 향상 및 비영리 목적으로 컴시간알리미에서 데이터를 파싱해 시간표 데이터를 제공하는 학교 챗봇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컴시간에서는
var a='남의 자료를 도둑질하면 안되죠. 돈내고 쓰세요.';
라는 코드를 사이트 페이지에 넣음으로써 이 역시 비난하고 있다.[12] -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 평균적으로 컴시간 프로그램 사용료는 한 학교에 1년 당 약 40만 원이다.
- 2025년 3월 기준 VirusTotal 검사 결과 일부 컴시간 계열 사이트가 알 수 없는 이유로 멀웨어로 뜬다.
- 다양한 종류의 학교가 사용하는 만큼 접근성을 고려한 사이트 재설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1] 학생의 경우 학교 코드를 모르기 때문에 교사용으로 접속하면 이용이 불가능하다.[2] 주로 두 글자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사, 일본어 등의 과목은 세 글자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줄여 표시되거나 앞의 두 글자만 표시된다.[3] ex) 국어 홍길[4] 사실 나이스 교육정보 개방 포털의 시간표 API를 이용해도 된다.[5] 그 주가 지나면 그 주의 시간표를 다시 볼 수 없다.[6] 초등학교는 컴시간이 없다. 대부분 담임교사와 수업할 뿐더러, 전담교사도 있지만 몇몇 과목만 있으며(안전, 과학, 체육 등) 다 있지는 않기 때문. 시간표도 딱 정해진 게 아니라 주간학습 안내를 나눠 주며 그 주마다 변경 사항이 있다.[7] 웹 브라우저로 http://112.186.226.178:4082/th를 직접 입력해서 들어갈 수도 있다.[8] 고등학교에 가면 실제로 3학년 학급 중에는 체육과 진로 수업을 제외한 모든 수업이 이동 수업인 반이 있다.[9] 컴시간 본 개발자들의 요청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10] 컴시간알리미 뷰어[11] 컴시간 앱뷰어[12] 2018년 4월 기준으로 현재 삭제된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