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1 01:31:00

카트라이더: 드리프트/트랙/난이도 표기 문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트랙
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W.svg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W.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4f2ef,#191919><colcolor=#000,#009DDC> 멀티플레이 아이템전 (아이템 종류) · 스피드전 · 기간 한정 모드 · 그랑프리 · 등급전 · 랭크전
싱글플레이 싱글 미션 · 타임어택 · 도전의 탑 · 리플레이
트랙 트랙 (테마) · 첫 등장일 및 수정사항 · BGM · 난이도 표기 문제
차고 카트바디 (목록 · A2) · 치장 파츠 · 풍선 · 리버리 · 캐릭터 · 레이싱 박스
콘텐츠 업적 · 콜라보레이션 · 드롭스
e스포츠 리그 · 스토브리그
업데이트 업데이트 · RISE · OVERDRIVE
평가 및 논란 평가 · 문제점 · 논란 및 사건 사고 (서비스 종료 사건)
기타 출시 전 정보 · 스토리 · 용어 · 주행 기술 · 디렉터 (조재윤 · 서재우) · 니트로스튜디오 · 템줌마 · 그건 원작을 경험해 보신 분들의 기준인 거고요 · 매칭이 안 되면 방송을 켜세요 · 카트라이더 레이싱 월드 · 조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빌리지 · 사막 · 아이스 · 포레스트 · 광산 · 월드 · 팩토리 · WKC · 공동묘지 · 문힐시티 · 노르테유 · 해적 · 카우지
}}}}}}}}} ||
본문 · 난이도별 트랙 목록 · 첫 등장일 및 수정사항 · 난이도 표기 문제 · 템플릿

1. 개요
1.1. 작성 기준 및 주의사항
2. 각 레벨별 난이도 표기 문제
2.1. 난이도 12.2. 난이도 22.3. 난이도 32.4. 난이도 42.5. 난이도 5

1. 개요

본 문서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안에서 난이도 표기에 문제가 있는 트랙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문서의 서술은 요약에 가까우며, 자세한 사항은 상단 틀의 각 난이도별 트랙 문서를 참조.

1.1. 작성 기준 및 주의사항

  • 불렙(#F00)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한다.
    • 표기 난이도가 1 높은 트랙들과 비교하여도 위화감이 없음.
  • 물렙(#00F)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한다.
    • 표기 난이도가 1 낮은 트랙들과 비교하여도 위화감이 없음.
  • 개인차(#92A)는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한다.
    • 트랙 전체적으로 개인차를 유발하는 부분이 많거나, 특정한 한 구간이 매우 극심한 개인차를 유발함.
    • 혹은, 정석적인 주행에 특정한 주행 기술을 요구함.
  • 순간 밀집성(#1A1)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한다.
    • 트랙의 특정 구간에 난해한 테크닉이 밀집되어 체감 난이도에 큰 영향을 미침.
  • 부스터 관리 주의(#F90)는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한다.
    • 부스터 관리가 동레벨 트랙에 비해 까다로운 편임.
    • 복합굴절 등으로 부스터 낭비를 유도하는 구간이 있음.
  • 트랙 암기 주의(#888)는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한다.
    • 트랙 구조를 익히기 전의 체감 난이도가 1 이상 높음.
    • 미러 트랙으로 주행 시 정방향 대비 체감 난이도가 매우 높음.
  • 은 위의 6조건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할 경우 트랙 제목을 두 가지 이상의 색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 같은 레벨대에서 어렵거나 쉽다고 무조건 불렙/물렙으로 적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난이도 4 중에서는 하위권이나, 난이도 3 평균에 비해 어려운 경우 물렙으로 적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영상을 참고해도 좋다.
  • 모든 기준은 스피드 개인전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2. 각 레벨별 난이도 표기 문제

2.1. 난이도 1

  • 노르테유 행성 저 멀리 [노르테유 / 아이템] - 난이도 1에 어울리지 않게 점프존으로 인한 낙사 위험이 있어 적어도 난이도 2는 받아야 할 구성이다.

2.2. 난이도 2

  • 빌리지 시계탑 [빌리지 / 아이템] - 후반부 시계탑 구간에서 극한의 속도 조절을 하지 않으면 벽에 부딪히기 십상이다.

2.3. 난이도 3

  • 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 [광산 / 스피드] - 중반부 레일 지름길의 심각할 정도로 높은 난이도로 난이도 3에는 절대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
  • 사막 울렁울렁 [사막 / 아이템] - 부스터를 모으기가 불가능에 가까운 중반부 울렁울렁 구간, 그리고 폭이 좁은 후반부 지름길[1]까지 있어 상당한 불렙이다.
  • 월드 신베이 투어 [월드 / 스피드] - 트랙 난이도의 95%가 극후반에 집중되어 있다. 극후반의 난해함으로 인해 난이도 3 중에서는 까다로운 편으로 취급받으나, 다른 구간이 쉬워서 불렙은 아니다.
  • 포레스트 아슬아슬 점프 [포레스트 / 스피드] - 전체적으로 길이 좁아 부스터를 모아가기 까다로우며, 때문에 트랙을 달리는 데에 불쾌감을 유발한다.

2.4. 난이도 4

  • 포레스트 지그재그 [포레스트 / 스피드] - 4성 보스맵. 울퉁불퉁한 벽 판정, 애매한 코너 라인, 후반부 지그재그 구간이 서로 시너지를 이루어 5성 트랙들에 전혀 꿀리지 않는 난이도를 지녔다.
  • 월드 뉴욕 대질주 [월드 / 아이템] - 원작에서는 난이도 3이었던 트랙으로, 난이도 4에 어울리는 난해한 구간이 없어 난이도 4 중에서는 물렙이다.
  • 사막 잊혀진 고대의 기록 [사막 / 스피드] - 마찬가지로 원작에선 난이도 3이었던 트랙으로, 난이도 4에 어울리는 난해한 구간이 없어 물렙으로 취급받는다.
  • WKC 캐나다 서킷 [WKC / 스피드] - 초중반부 점프대 지름길의 순간난이도는 매우 높지만, 그 외의 구간들은 난이도 3 수준밖에 되지 않아 물렙인 편이다.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아이스 / 아이템] - 전체적으로 난이도 4 치고는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후반부 M자 구간에서만큼은 부스터를 모으기가 까다롭다.
  • 노르테유 스페이스 101 [노르테유 / 스피드] - 마지막 부유섬 지름길의 난이도가 초월적으로 높다! 중반부 끌기 구간도 극단적으로 좁은 길목으로 난이도가 높다.
  • 카우지 추방자들의 마을 [카우지 / 스피드] - 중반부 부스터존을 타며 외나무다리를 건너는 구간에서 사고가 자주 유발된다.
  • 광산 3개의 지름길 [광산 / 아이템] - 복합굴절이 많고 충분한 속력을 내기가 어려워 부스터를 모으기가 까다롭다.

2.5. 난이도 5

  • 해적 갈라진 파도 [해적/스피드] - 원래 난이도 4로 출시되었으나 뜬금없이 난이도 5로 상향되었고, 마지막 점프대 억까를 제외하면 딱히 난이도 5에 어울리는 구간도 없어 물렙으로 취급받지만 초견은 매우 어렵다.
  • 빌리지 붐힐 터널 [빌리지 / 스피드] - 원작에서는 난이도 4였던 트랙으로 다른 난이도 5 트랙 대비 상대적으로 쉽게 구성되어 있으나 중후반부 인도 지름길과 후반부 연속 직각 코너 구간의 난이도만큼은 5에 걸맞은 난이도를 갖고 있다.
  • 아이스 설산 다운힐 [아이스 / 스피드] - 유턴 위주의 구성으로 개인차가 갈리며 중반부 동굴 구간의 난이도는 매우 높다.
  • 카우지 네온 스트리트 [카우지 / 스피드] - 부스터 관리가 매우 까다로우며, 낮은 가독성으로 인해 트랙 구조를 암기하지 못했을 시 헤메기 쉽다.

[1] 끝자락에는 투명턱이 있어 벽이 붙어가는 전략도 안 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