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4:43:30

현대 카운티 일렉트릭

카운티 일렉트릭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현대 카운티
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파일:현대자동차 심볼 화이트.svg
파일:카운티_electric_202203.png
COUNTY ELECTRIC

1. 개요2. 상세3. 제원4. 둘러보기

1. 개요

2020년에 출시된 현대 카운티의 전기차 모델이다.

2. 상세

파일:포항동해3.png
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 소속의 카운티 일렉트릭
2019년 8월 29일에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트럭&버스 비즈니스 페어에서 파비스와 함께 카운티 일렉트릭이라는 이름으로 최초 공개가 이루어진 전기버스 모델이다.

2020년 4월 말에 출시됐다.[1] 장축형보다 대략 반 칸 (60cm) 정도 길이가 길어진 초장축형으로만 생산된다. 외관 디자인은 먼저 판매하고 있던 중국형 카운티의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왔다.

출시 초기에는 128kWh 배터리[2]가 탑재되어 1회 충전 시 250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72분 정도의 완충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저가형은 64kWh 배터리가 탑재되어[3] 1회 충전 시 140km를 주행할 수 있다.

2022년형부터 저가형인 64kWh 배터리 사양이 삭제됐으며 마을버스 사양은 1회 충전 시 최대 307.7km로 주행거리를 끌어올렸다.

실내는 대시보드가 기존 카운티와는 완전히 달라져서 2019년형 유니버스의 대시보드와 비슷한 분위기로 변모했다. 버튼 시동 스마트키가 적용되며, 스티어링 휠이 2020년형 포터Ⅱ와 똑같은 것으로 변경된다. 그 외에도 풀 오토 에어컨, 7인치 LCD 클러스터, 버튼식 자동변속기, 기존 케이블 방식의 브레이크가 아닌 에어 브레이크가 적용됐다. 그리고 이 외에도 자잘하게 기존의 주황색 봉에서 개선형 차량에 달리는 회색의 금속제 봉으로 바뀌었으며 바닥재, LCD 시계 조명도 초록색에서 파란색으로, 하차벨도 은색의 풍뎅이 모양의 벨로 바뀌었다.[4] 또한, 디젤 모델과 달리 후륜에도 디스크 브레이크가 기본 적용된다. 즉, 일렉트릭 모델에는 드럼 브레이크가 일절 적용되지 않는다.

주로 마을버스나 어린이 통학용으로 이용되는지라 안전 장비들이 많이 적용됐는데, 차량 자세 제어 장치, 4륜 디스크 브레이크, 어린이 시트·안전벨트·차량 후방 비상도어(어린이버스 용) 등이 적용된다. 이외에도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 등이 적용됐으며, 디젤 차량에 비해 연료비를 1/3 수준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홍보한다. 그래서 광고 영상도 어린이집 버스편, 마을버스편으로 제작됐다.

마을버스 사양에는 뒤의 배터리 공간 문제로 2도어 사양이 불가능하다.

2023년 부터 CDP가 삭제되어 멀티미디어 연결은 블루투스 스트리밍, USB, AUX로만 가능하다.

2020년 6월, 대진여객에서 일렉트릭 모델을 전국 최초로 출고해 8002번, 8003번에 투입했다. 또한 경북 2번째 전기버스이자, 도 내 최초의 플러그인식 전기버스로 포항시 시내버스 외곽노선 신설 법인인 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에 7월 22일까지 41대, 금아여행에 4대[5]가 도입됐다.[6] 5월 27일 포항시에서 전기버스 시승식이 이뤄졌다. 사실 포항의 경우 중형 전기저상버스를 투입하려고 예산을 받았으나, 당시 저상 모델이 아직 없어서 카운티 전기를 구매했다.

2020년 10월에 전주시설공단에서 전주시 마을버스용으로 출고했다.

천안 시내버스 업체인 보성여객, 새천안교통에도 도입해 심야버스 운행분으로 10번에 투입했다.

파주시 마을버스 업체인 기흥여객에서도 경기도 최초로 출고했다. 기흥여객의 경우 1년 뒤에는 잔고장 때문에 스마트 087을 구입했다.

2020년 12월에 경남 최초로 고성버스에서 출고했으며,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최초 전기버스로 대진여객에서 출고해 성북07번에 투입됐다.

2021년 1월에 성주군청에서 성주읍 순환버스 신설을 위해 도입했다. 대구권에 속하는 경북 지자체에서는 최초 플러그인식 전기버스다. 읍내 남쪽의 성산리로 이전한 임시터미널을 기점으로 운행하고 성주군청이 직영한다.

2021년 8월에 자가용 모델(23인승)이 추가됐으며, 마을버스에도 비상문을 달아서 14인승으로 바뀌고 18인승 마을버스가 추가됐다.

2021년 11월 초에 울산광역시 최초 전기버스로 우리버스에서 출고했다.[7]

2021년부터 서울 마을버스에도 전기차 입찰을 시작했으며 입찰 대상 업체로 현대, 에디슨모터스, 우진산전, 스카이웰, 기타 중국산 전기버스들이 있었다. 하지만 현대차는 중형 전기저상버스의 부재와 카운티 EV의 가성비가 좋지 못해 2021년 서울시 마을버스 수주 0대를 기록했다.[8]

2021년 12월에는 신안군 공영버스에서 1대를 도입해서 비금(가산)-도초(시목) 노선에 투입되고 22년에 추가적으로 5대를 출고했다.

2022년 7월에 고려아연울산광역시에 철새 여행버스로 이 차량을 기증했으며 동년 8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2022년 10월, 익산시 시내버스 업체들이 15대를 도입했다.

2024년 4월, 영광교통에서 3대를 출고했으며 동년 5월 군민운수에서 2대를 출고하였다.

2024년 6월, 서울특별시 석계운수에서 출고하여 성북13번에 투입하였다.

3. 제원

COUNTY ELECTRIC
<colbgcolor=#002e6b><colcolor=#ffffff> 생산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용암리
코드네임 CN
차량형태 초장축
승차인원
전장 7,710mm
전폭 2,035mm
전고 2,795mm
축거 4,085mm
윤거(전) 1,705mm
윤거(후) 1,495mm
공차중량
배터리 용량 128kWh
타이어 크기 205/75R17.5-10PR
구동방식
전륜 현가장치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파워트레인
<rowcolor=#ffffff> 전동기 형식 축전지 전압 축전지 용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항속 거리
EM15 355.7V 360Ah 135kW(204ps) 430N·m 303~338km

4. 둘러보기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흰색).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2e6b><colcolor=#fff>승​용​차<colbgcolor=#002e6b><colcolor=#fff>준중형아반떼 (N)
중형쏘나타 · 아이오닉 6
준대형그랜저
S​U​V경형캐스퍼
소형베뉴 · 코나
준중형투싼 · 아이오닉 5 (N)
중형싼타페 · 넥쏘
준대형팰리세이드 · 아이오닉 9예정
MPV스타리아
버​스소형쏠라티
준중형카운티 (일렉트릭)
중형일렉시티 타운
준대형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대형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 모바일 오피스) · 일렉시티 이층버스
트​럭소형포터 · ST1
준중형마이티
중형파비스
준대형뉴파워트럭
대형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흰색).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color: #fff"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 차량
<colbgcolor=#002c5f><colcolor=#fff><rowcolor=#fff> 승용 · SUV · RV · 승합버스트럭
19​60​년대
코티나 · 포드 20MR버스-
19​70​년대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19​80​년대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포터 · 마이티
19​90​년대
아토스/쌍트로(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중형트럭 · 슈퍼트럭
20​00​년대
i10 · 클릭 · i20 · i30 · 링샹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트라지 · 닷지 브리사 · 쏘나타 모인카 · 기아 천리마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유니버스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20​10​년대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아반떼 쿠페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20​20​년대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베이온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ST1 · 아이오닉 9예정HD50S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color: #fff"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002e6b><rowcolor=#fff><colcolor=#fff>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경차i10 · 아우라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소형​차엑센트 · i20 · HB20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준중형​차아반떼 · i30 · 라페스타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셀레스타
중형​차쏘나타 · 아이오닉 6포드 코티나 · 스텔라 · i40 · 링샹 · 쏘나타 모인카 · 미스트라
준대형​차그랜저포드 20M · 그라나다 · 마르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대형​차-에쿠스
스포츠​카-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SUV
경형 SUV캐스퍼 · 엑스터-
소형 SUV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베이온-
준중형 SUV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중형 SUV싼타페 · 넥쏘-
준대형 SUV팰리세이드갤로퍼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픽업​트럭
소형 픽업​트럭싼타크루즈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 HD1000 포터
MP​V
소형 MPV-라비타 · ix20
준중형 MPV스타게이저싼타모
중형 MPV쿠스토트라제 XG
준대형 MPV-앙트라지
대형 MPV스타리아스타렉스
캠핑카-포레스트
상용​차
소형버스쏠라티그레이스 · HD1000
준중형버스카운티 · HD50SD버스 · 코러스
중형버스일렉시티 타운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준대형버스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 유니시티
대형버스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일렉시티 이층버스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소형트럭포터 · H350리베로
준중형트럭마이티-
중형트럭루이웨/홍투 · 파비스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준대형트럭뉴파워트럭-
대형트럭엑시언트마루 · 트라고}}}}}}}}}
}}}
파일:현대 N 로고.svg · 파일:아이오닉 로고.svg · 콘셉트 카


대한민국 판매 전기버스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산
<colbgcolor=#7883a3,#1f2b4b> 현대자동차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굴절버스 · 일렉시티 · 일렉시티 타운 · 카운티 일렉트릭
KGM커머셜 스마트 110 · 스마트 110E
우진산전 아폴로 1100 · 아폴로 900
반조립
범한자동차 E-STAR 12i · E-STAR 11 · E-STAR 8
우진산전 아폴로 1200
중국산
BLK 일레누스 TS1100 · 일레누스 TS900
BYD eBus-12 · eBus11(예정) · eBus9 · eBus-7
CHTC 에픽시티 · 에픽타운
CRRC 그린웨이1100A · 그린웨이720
스카이웰 리오네 · 아이즘 · 네오포스 · 엘페
우진산전 아폴로 1200
중원자동차 EV J1
포톤 그린타운 400
킹롱 시티라이트 II · 시티라이트 9
하이거 하이퍼스 프라임 · 하이퍼스HP
하이퍼스1611 시리즈 · 하이퍼스1609 시리즈
황해자동차 E-SKY 11 · E-SKY 9 }}}}}}}}}


[1] 어린이보호차량 모델과 마을버스 모델이 먼저 출시됐다.[2] 초창기형 저가형 일렉시티와 동일한 용량.[3] 코나 전기차와 동일한 용량이다.[4] 2018년형 에어로타운과 2019년형 유니버스(골드 선반 한정)마저 일렉시티의 그 신형 하차벨로 바뀌었지만, 카운티는 적용되지 않았다.[5] 창포1번 1대, 용흥1번 3대[6] 코리아와이드 포항에서는 일렉시티 18대를 도입한다. 2020년 7월에 일렉시티 3대를 우선 인도받았다. 양덕동공영차고지와 덕수동(도심환승센터)에 전기버스 충전기가 우선 설치됐고 문덕차고지에도 확대됐다.[7] 농소공영차고지에 위치한 전기충전소에서 충잔한다.[8] 우진산전도 상황은 마찬가지인데 현대차와 달리 그 당시 중형 저상인 아폴로 900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버스 수주전에서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0대를 기록했다. 게다가 국산기술로 제작한 마을버스는 대형버스인 에디슨 스마트 110이 전부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