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9:36:06

카스트르 올랭피크

카스트레 올랭피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TOP 14 로고.png2025-26 TOP 14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라싱 92 로고.png
파일:리옹 OU 로고.png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
파일:석시옹 팔루아즈 2021.png
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
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
파일:아비롱 바요네 로고.png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
파일:카스트레 올랭피크 로고.png
파일:ASM 클레르몽 로고.png
파일:RC 툴로네 로고.png
파일:US 몽탈바내즈 로고.png
파일:USA 페르피냥 로고.png
프로 D2 참가 구단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림 럭비파일:프랑스 국기.svg TOP 14파일:URC.png URC }}}}}}}}}}}}
파일:카스트레 올랭피크 로고.png
카스트르 올랭피크
Castres Olympique
정식 명칭 카스트르 올랭피크 (Castres Olympique)
창단 1906년
소속 리그 TOP 14
연고지 옥시타니, 타른, 카스트르
홈 구장 스타드 피에르파브르 (Stade Pierre-Fabre, 12,500명 수용 가능)
구단주 피에르 파브르 연구소 (Laboratoires Pierre Fabre)
단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이브 르볼 (Pierre-Yves Revol)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비에 사두르니 (Xavier Sadourny)
주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유 바빌로 (Mathieu Babillot)
웹사이트 파일:카스트레 올랭피크 로고.pn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TOP 14
(5회)
1948-49, 1949-50, 1992-93, 2012-13, 2017-18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
(0회)
-
EPCR 챌린지 컵
(0회)
-
† 유러피언 실드
(1회)
2002-03[1]
† 쿠프 드 프랑스
(1회)
1948
샹피오나 드 프랑스 그루프 B
(1회)
1988-89[2]
클럽 기록
최다 득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토일레 (Romain Teulet) - 3,102점

1. 개요2. 선수단3. 역대 시즌
3.1. 1995 ~ 2000년3.2. 2000년 ~ 현재

1. 개요

TOP 14 소속 럭비팀. 카스트르를 연고로 한다.

2. 선수단

파일:카스트레 올랭피크 로고.png
카스트르 올랭피크 2025-26 시즌 선수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362ab> 포지션 유니언 한글 이름[1] 원어 이름 비고
후커
(4)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스테판 부루이아나 Stefan Buruiana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 콜로나 Pierre Colonna
파일:프랑스 국기.svg 테디 뒤랑 Teddy Durand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리스 차란토넬로 Loris Zarantonello
프롭
(7)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렐리앙 아자르 Aurélien Azar
파일:조지아 국기.svg 레반 칠라차바 ლევან ჩილაჩავა
Levan Chilachav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윌 콜리어 Will Collier
파일:프랑스 국기.svg 니콜라 코라토 Nicolas Corato
파일:프랑스 국기.svg 루이스 게루아갈리송 Loïs Guerois-Galisson
파일:프랑스 국기.svg 앙투안 티시 Antoine Tichit
파일:프랑스 국기.svg 캉탱 왈케르 Quentin Walcker

(7)
파일:프랑스 국기.svg 기욤 뒤카 Guillaume Ducat
파일:프랑스 국기.svg 폴 제드라시악 Paul Jedrasiak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마퀴르디 Romain Macurdy
파일:프랑스 국기.svg 고티에르 마라바 Gauthier Maravat
파일:피지 국기.svg 레오니 나카라와 Leone Nakarawa
파일:호주 국기.svg 톰 스타니포스 Tom Staniforth
파일:프랑스 국기.svg 플로랑 방베르베르게 Florent Vanverberghe
플랭커
(5)
파일:캐나다 국기.svg 타일러 아드론 Tyler Ardron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유 바빌로 Mathieu Babillot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티스트 코프 Baptiste Cope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티스트 델라포르트 Baptiste Delaporte
파일:프랑스 국기.svg 시몽 메카 Simon Meka
넘버 8
(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에이브러햄 파팔리이 Abraham Papali'i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페이비언 투키노 Feibyan Tukino
파일:피지 국기.svg 베레사 퉁고부 라모토탐부아 Veresa Tuqovu Ramototabua
스크럼
하프

(3)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산티아고 아라타 Santiago Arata
파일:프랑스 국기.svg 고티에 두브레르 Gauthier Doubrère
파일:프랑스 국기.svg 제레미 페르낭데즈 Jérémy Fernandez
플라이
하프

(3)
파일:프랑스 국기.svg 루이 르브륀 Louis Le Brun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 포플랭 Pierre Popelin
파일:프랑스 국기.svg 앙조 에르베 Enzo Hervé
센터
(4)
파일:피지 국기.svg 빌리모니 보티투 Vilimoni Botitu
파일:피지 국기.svg 아드레아 도당이 Adrea Cocagi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잭 굿휴 Jack Goodhue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드리앙 세귀레 Adrien Seguret

(5)
파일:카메룬 국기.svg 크리스티앙 암바디앙 Christian Ambadiang
파일:프랑스 국기.svg 레미 바제 Rémy Baget
파일:프랑스 국기.svg 나타나엘 위유 Nathanaël Hulleu
파일:피지 국기.svg 부아테 카라왈레부 Vuate Karawalevu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담 바르가스 Adam Vargas
풀백
(2)
파일:프랑스 국기.svg 테오 샤부니 Théo Chabouni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프레 팔리 Geoffrey Palis
코치진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비에 사두르니 (Xavier Sadourny)
경기장
홈구장: 스타드 피에르파브르 (12,500석)
[1] 볼드체는 국가대표 출전 경험이 있는 인원
}}}}}}}}}}}}

3. 역대 시즌

3.1. 1995 ~ 2000년

럭비 유니언이 프로화되고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이 시행되기 시작한 1995년부터 컵 대회가 폐지된 2000년까지의 성적이다.
||<tablebordercolor=#1362ab><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1362ab><rowcolor=#fff> 시즌 || 리그 || 순위 || 포스트시즌 || || 결과 || 유러피언컵 || 결과 ||

3.2. 2000년 ~ 현재

||<tablebordercolor=#1362ab><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1362ab><rowcolor=#fff> 시즌 || 리그 || 순위 || 포스트시즌 || 유러피언컵 || 결과 ||
[1] 챌린지 컵 1라운드 탈락자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2002년 시행된 후, 챌린지 컵이 조별리그 체제를 갖춘 2004년 세 시즌만에 폐지.[2] 이때는 1부 리그가 A와 B 디비전으로 나뉘어 있었다. 그루프 B는 2부 리그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