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8:59:10

카스가 잇코

파일:일본 민사당 로고.svg
민사당 중앙집행위원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505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니시오 스에히로
제2대
니시무라 에이이치
제3대
카스가 잇코
제4대
사사키 료사쿠
제5대
츠카모토 사부로
제6대
나가스에 에이이치
제7대
오우치 게이고
제8대
요네자와 다카시
}}}}}}}}}}}}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파일:일본 민사당 로고.svg
민사당 집행부서기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E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소네 에키
제2대
니시무라 에이이치
제3대
카스가 잇코
제4대
사사키 료사쿠
제5대
츠카모토 사부로
제6대
오우치 게이고
제7대
요네자와 타카시
제8대
나카노 칸세이
}}}}}}}}}}}} ||


민사당 제3대 중앙집행위원장
카스가 잇코
春日一幸 | Kasuga Ikkō
파일:카스가 잇코.jpg
<colbgcolor=#FE0000><colcolor=white> 출생 1910년 3월 25일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기후현 카이즈군 히가시에촌
(현 기후현 카이즈시)
사망 1989년 5월 2일 (향년 79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도
학력 나고야체신강습소 (졸업)
의원 선수 14
의원 대수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지역구 (구) 아이치 1구
소속 정당
약력 체신성(나고야 중앙전화국) 직원
아이치현 의회 현의원
카스가 악기 제조 대표이사
민사당 제3대 집행부서기장
민사당 제3대 중앙집행위원장
1. 개요2. 생애3. 정치적 성향4. 소속 정당5. 선거 이력6.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정치인.

2. 생애

1910년 3월 25일 일본 기후현 카이즈군 히가시에촌 (현 카이즈시)의 한 농가에서 6녀 1남의 남매 중 유일한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의 "사나이, 원한다면 왕의 자리까지 노려라" 라는 조언을 듣고 나고야체신강습소를 졸업한뒤 나고야 중앙전화국 (현 NTT 동일본 나고야지국)에 취직했다.

이 시기 카스가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읽고 다다이즘에 경도되었으며, 시인이 되기로 결심해 회사를 무단 결근하고 도쿄 스기나미구에 있는 하야시 후미코 (林 芙美子, 1903~1951)[1]의 자택을 찾아가 10일 동안 그녀를 설득한 끝에 시인 이쿠타 슌케츠 (生田春月, 1892~1930)에게 그가 쓴 시를 선보일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로부터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자 즉시 전화국을 사직하고 시인으로 등단할 준비를 하였으나 1930년 이쿠타가 38세의 나이로 요절하며 그를 지원하던 후견인이 사라졌고, 카스가의 시인 등단은 안타깝게도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에 좌절한 카스가는 모든 인생을 포기하고 나고야시 치쿠사구에 위치한 카쿠오산에서 독약을 마시고 자살을 기도하였지만 근처에 거주하던 농민으로부터 발견되어 목숨을 건졌다. 이후 매형의 가게에서 일을 돕다가 1934년 사업가로 전향하며, 무역업을 거쳐 자신의 이름을 딴 악기제조 회사를 성공적으로 경영했다.

제2차 세계대전태평양전쟁의 종전 이후 나고야시 쇼와구의 츠루마 공원에서 펼쳐진 연설회에 시민운동가 출신 정치인인 아카마츠 이사무[2]가 "군과 옛 권력자들에 의해 일본은 패전했다. 우리(일본사회당)가 새로운 일본의 건설을 이루자"라고 연설했고 카스가는 이 연설에 감명을 받아 아카마츠와 함께 일본사회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47년 일본사회당 당적으로 나고야시 시의원 선거에 출마했지만 낙선, 그러나 곧이어 치뤄진 아이치현 현의원 선거에 출마해 첫 공직 당선에 성공한다. 1949년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대한 시위를 규제하는 조례가 입안되자 언론과 집회의 자유를 억압하는 행위라며 크게 반발했고 그해 7월 1일 열린 현의회 본회의에서 3시간에 걸친 반대 연설 끝에 조례안을 폐안시키는데 성공하였고, 1951년 현의회 선거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1950년 사회당 좌우파 분열 당시 우파사회당에 속했고, 1952년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구 아이치 1구에 입후보해 당선되었다. 1955년 사회당 통합 당시에는 우파사회당 출신 가와카미 조타로파에 소속되었다.

1960년 사회당을 탈당해 민주사회당을 결성한 니시오 스에히로를 따라 신당 창당에 합류했고, 이때 중의원 38명과 함께 민사당 결당대회에 참가했다. 1965년 민사당 국회대책위원장 재직 당시 다나카 가쿠에이 자민당 간사장과 깊은 교우를 맺었고, 이는 추후 자공민 노선을 실현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1967년 민사당 서기장에 올랐고, 1969년에는 부위원장 겸 선거대책위원장에 올랐다. 1969-1970년 창가학회공명당의 정교분리 문제와 공산당 위원장인 미야모토 켄지의 과거 간첩 사건을 들고 나와 공명당과 공산당을 강하게 추궁했다.

1971년 니시무라 에이이치 위원장의 급사로 치러진 당 위원장 선거에서 소네 에키 전 부위원장을 꺾고 민사당 제3대 중앙집행위원장 자리에 올랐다. 이후 사사키 료사쿠 서기장 - 츠카모토 사부로 부서기장 등의 인사들을 등용하면서 18년동안 이어지는 당 내 집권체제를 확립하였다.

1972년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사회당과 공산당의 선전으로 전회대비 의석수가 10석이나 줄어드는 패배를 당했다. 1973년 나고야시장 선거에서는 반공주의 입장을 고려하여 자민당이 추천한 현직 시장 스기토 세이를 지지하였지만, 스기토는 사회당, 공산당이 추천한 혁신 계열후보 모토야마 마사오에게 패배했다.

1974년 대립 관계에 있던 사사키 료사쿠 서기장을 부위원장으로 승격시키고, 자신의 측근인 츠카모토 사부로를 서기장으로 승격시켰다.[3]

1977년 11월 당위원장에서 사임했고, 당 상임 고문으로 취임했다. 후임 사사키 위원장과 츠카모토 위원장 시절에도 상임 고문으로서 당내에 영향력을 남겼다.

1989년 2월 리크루트 사건으로 인해 카스가의 최측근이던 츠카모토 사부로가 위원장에서 사실상 쫓겨나고 반 카스가파인 나가스에 에이치가 위원장이 되면서 카스가의 당내 영향력이 크게 줄었다. 그러다 5월 2일 나고야시립 대학병원에서 폐렴으로 투병 중 향년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정치적 성향

정치경력 초창기에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에 심취하고 GHQ에 의한 시위 규제 반대 연설을 하는 등 꽤 혁신적 면모를 보였지만, 우파사회당 참여 이후 점차 우경화 되며 민사당 합류 이후에는 반공주의 사상을 크게 내세우며 일본공산당 등 좌파 진영을 크게 비판했다. 그는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것, 그것이 인간이란 증거다", "인간을 경시하는 악마의 사상인 공산주의와 싸우는 것이 인간의 책무다"라며 공산주의를 굉장히 혐오했으며 당시 군부 권위주의 반공 정권인 박정희 정부와도 개인적인 인맥이 있었으며, 시류에 따라 실리를 중시해 공명당과 함께 중일국교 정상화를 지지했다.

4. 소속 정당

<rowcolor=white> 소속 기간 비고

1945 - 1950 창당
정계입문

1950 - 1955 분당

1955 - 1960 합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0 신당 창당을 위해 탈당


1960 - 1969 창당

1969 - 1989 당명 변경
사망

5. 선거 이력

<rowcolor=#fff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6 나고야시 시의원 선거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 (-%) 낙선
1947 아이치현 현의원 선거 - (-%) 당선(1위) 초선
1951 아이치현 현의원 선거 - (-%) 재선
1950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1구
31,402 (8.4%) 당선(4위) 초선
1953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40,142 (10.6%) 재선
1955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43,386 (10.2%) 3선
1958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4,601 (16.4%) 당선(2위) 4선
1960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0,827 (14.6%) 당선(4위) 5선
1963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18,505 (18.6%) 당선(2위) 6선
1967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4,618 (21.9%) 7선
1969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0,564 (23.0%) 당선(2위) 8선
1972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09,047 (27.7%) 당선(1위) 9선
1976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05,017 (26.5%) 10선
1979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7,219 (20.7%) 11선
1980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3,040 (19.6%) 12선
1983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5,998 (18.0%) 13선
1986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2,346 (16.4%) 당선(3위) 14선[4]

6. 여담

  • 쇼와 시대 일본 국회에서 손꼽히는 달변가로 유명했으며, 그의 연설은 카스가 절(春日節)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일본 코미디언들의 단골 성대모사 소재가 되었다. 그의 연설 [5]
  • 중소기업(악기제조 회사)을 경영한 대표이사로서 중소기업기본법을 제정하고 민사중소기업정치연합을 결성하는 등 중소기업 정책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카스가 본인 부터가 노동자 출신이어서 아이치현의 중소기업 경영자로부터 두터운 지지를 받았으며 아이치현을 전국 굴지의 민사당 텃밭으로 만들었다.[6]

[1] 쇼와 시대 초창기의 대표적인 여성문학 저자이며 방랑기 (放浪記), 밥 (めし), 뜬구름 (浮雲)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2] 아카마츠 히로타카의 부친이다.[3] 카스가는 자민당, 공명당과의 협력을 중시하는 자공민 연합파, 사사키는 사회당, 공명당과의 협력을 중시하는 사공민 연합파였기 때문에 정책면에서 자주 마찰을 빚었다.[4] 1989.5.2 임기 중 사망[5] 참고로 쇼와시대 정치인 성대모사는 자민당은 무조건 다나카 가쿠에이, 야당은 카스가 잇코 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그의 연설 기법은 유명했다.[6] 실제로 아이치현은 사회당, 공산당 등의 야당이 힘을 쓰지 못하고 민사당의 영향력이 다른 지방보다 강했는데, 이는 전국구 거물 정치가였던 카스가의 영향이 컸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