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23:34:59

칠레-팔레스타인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유럽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프리카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칠레 팔레스타인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2.1.1. 2000년대2.1.2. 2010년대2.1.3. 2020년대
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칠레팔레스타인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칠레는 2011년에 팔레스타인을 정식국가로 인정했고 양국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그리고 칠레내에는 팔레스타인계 칠레인들이 30만 ~ 40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며 팔레스타인계 칠레인들은 현지에 동화되어 나름 실세로 자리잡았다.[1]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2.1.1. 2000년대

2001년 10월 27일, 에랄도 무뇨스 칠레 외무장관은 칠레 정부는 팔레스타인 국가 창설을 위한 팔레스타인인들의 자주적 협상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2002년 4월 6일, 샤론 이스라엘 총리가 가자 지구에 대한 군사작전을 실시한다고 밝히자 칠레, 나이지리아 등 전세계에서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고 이스라엘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2008년 12월 29일, 산티아고에서 반이스라엘 시위가 일어났다.#

2009년 11월 16일, 팔레스타인의 압바스 수반이 20일부터 브라질, 칠레, 아르헨티나를 방문하기로 했다.#

2.1.2. 2010년대

2010년 12월 20일, 칠레 여야의원 21명이 팔레스타인을 공식국가로 인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011년 1월 7일, 칠레 정부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했다.#1#2 1월 9일, 세바스티안 피녜라 칠레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방문하기로 했다.#

2012년 11월 23일, 칠레의 산티아고에서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가 일어났다.#

2014년 7월 15일, 산티아고에서 가자지구 공습주단을 요구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7월 30일, 칠레 정부는 반기문 유엔총장의 가자지구에서의 적대행위 중단발언을 지지했다.# 그리고 칠레 정부는 주 이스라엘 대사의 귀환을 명령했다.#

2017년 12월 11일, 칠레 산티아고시에서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가 일어났다.#

2.1.3. 2020년대

2022년 9월 17일, 보리치 칠레 대통령이 이스라엘군이 서안 지구에서 10대 소년을 사망하게 한 사건에 항의해 이스라엘 대사의 신임장을 받지 않자 논란이 일어났다.#

3. 여담

이스라엘인 4명과 팔레스타인인 4명으로 구성된 남극탐험 및 도보 횡단 그룹이 칠레를 통해 남극에 온 적이 있었다.#1#2

칠레 태생의 마티아스 하두에가 팔레스타인 축구팀을 선택한 적이 있었다.# 팔레스타인계 칠레인들이 많아 팔레스타인 국가대표를 택하는 경우가 많아졌다.[2]

4. 관련 문서



[1] 이들은 대다수가 현지화 되어 가톨릭을 믿으나 친팔레스타인 성향이 강하다.[2] 자국 명문 클럽인 CD 팔레스티노부터 팔레스타인 정체성을 띠는 팀으로 이 팀에서 은근 팔레스타인 인재들을 발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