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ae1932><tablebgcolor=#ae1932>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장충단비 
 
 
 
 
 
 
 
 
  1.#26 석파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기기국 번사창 
 
 
 
 
 
  1.#76 홍무 25년 장흥사 명 동종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1.#126  
 
 
 
 143-3. 우협시보살상}}} 
 144-3. 가나가바라타자상 144-4. 소빈다상 144-5. 나쿠라상 144-6. 바다라상 144-7. 카리카상 144-8. 바자라푸트라상 144-9. 지바카상 144-10. 판타카상 144-11. 라후라상 144-12. 나가세나상 144-13. 안가다상 144-14. 바나바시상 144-15. 아지타상 144-16. 수다판타카상 144-17. 제석상 144-18. 사자상 144-19. 인왕상1 144-20. 인왕상2}}}146-2. 나한도2 146-3. 나한도3 146-4. 나한도4 146-5. 제석신중도 146-6. 사자신중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철불좌상 
 
  1.#176 기성도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청룡사 지장시왕도 
 
 
 
  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염불사 지장시왕도 
 259-3. 청동젓가락 259-4. 청동국자 259-5. 일본봉래문경 259-6. 상평통보}}} 
 
 
 269-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권1,3,4,6 269-4. 묘법연화경권1,2,3,4,6 269-5. 각종다라니}}} 
 
  1.#276 백자동화원형문각호281-2. 향우측 협시상 281-3. 향좌측 협시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북한지 
 320-3. 발원문 320-4. 약초, 오곡, 오향, 광물 320-5. 일체여래전신사리보협진언}}}  1.#326 선원제전집도서 
 [44] 경기지역으로 반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봉국사 아미타괘불도356-2. 정족산성접전사실 356-3. 하거집}}} 
  1.#376 선종영가집(언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415-3. 석조도명존자상 415-4. 시왕상 415-5. 귀왕상 415-6. 판관상 415-7. 사자상 415-8. 금강역사상 415-9. 동자상}}} 
  1.#426 지장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묘법연화경 권1-2 
  1.#476 봉원사 시왕도 및 사자·장군도 [50]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3.04.0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3.04.06 - 2024.11.28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4.11.28 - | }}}}}}}}}}}}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138호 | |
| 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 親臨光化門內勤政殿庭試時圖 |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 2가 2-1, 서울역사박물관) | 
|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기록화 / 궁궐도 | 
| 수량 / 면적 | 병풍 한틀(8幅) | 
| 지정연도 | 2001년 12월 31일 | 
| 제작시기 | 조선 후기(19세기) | 
|  | 
| <colbgcolor=#bf1400> 〈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1] | 
1. 개요
1747년(영조 23년) 9월 19일에 영조가 경복궁 근정전 터에 직접 가서 정시 문과 생을 뽑고 시를 지은 일화를 그린 그림이다. 2001년 12월 31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8호로 지정받았다.2. 상세
경복궁은 임진왜란 때 불탄 후, 흥선대원군이 중건하기 전까지 약 273년 간 빈 공간으로 있었다. 다시 짓기에는 재정도 많이 들 뿐 더러, 풍수 상 문제가 있다는 등의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왕들이 무작정 경복궁 터를 버려둔 것은 아니었고 조금씩 관리는 했다.경복궁 터를 가장 많이 활용한 왕은 영조였다. 영조는 근정전 터에서 여러 국가적 행사들을 많이 치렀다. 그 중에는 정시라는 과거 시험을 연 것도 있었다. 영조가 그때 근정전 터에 방문하여 합격생을 선발하고 "창업중흥만세법(創業中興萬世法)", "용준호거한양성(龍蹲虎踞漢陽城)"이라는 시를 읊은 뒤 입시한 신하들에게 시에 화답하라고 했다.# 저 그림은 그 모습을 그린 것이다.
총 8폭을 병풍 하나로 합친 그림인데, 맨 오른쪽 폭에만 그림이 그려져 있고 나머지 폭에는 글이 쓰여있다. 글의 내용은 저때 참석하여 영조의 시에 화답한 관리들의 시 및 인적사항이다.
|  | 
| <colbgcolor=#bf1400> 〈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의 그림 부분[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