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21:35:35

충효3터널


충효터널
충효1터널 충효2터널 충효3터널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파일:20230609_111341.jpg
청량리 방향으로 본 시점
파일:20230609_111117.jpg
경주 방향으로 본 시점
충효3터널
(폐지 및 폐쇄)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
다국어 표기
영어 Chunghyo3 Tunnel
한자 忠孝3터널
터널길이
110m[1]
90(?)m[2]
관리 기관
중앙선 국가철도공단
개업일
중앙선 1992년[3][4]
구)중앙선 1918년[5]
폐쇄일
중앙선 2021년
중앙선
충효3터널

1. 소개

[clearfix]

1. 소개

경상북도 경주시에 소제 되어있으며 서경주신호장서경주신호장사이에 있다. 중앙선 폐터널 이다.[6]
터널이름 유래는 터널 소재지인 "충효동" 에서 따왔다. 정확히는 충효동[7]과 석장동 사이다.

경주방향 터널 입구 쪽에 쌍굴로 되어 있다.[8][9]

한때는 열차가 다니녔던 터널 이다. 하지만 2021년 12월 28일 부로 중앙선 이 이설 되면서 폐터널이 되었다.
터널길이는 110m 로 직성형 터널이다.
[1] 왼쪽 터널[2] 오른쪽 터널[3] 왼쪽 터널[4] 터널개통된지 올해로 104주년 이다.[5] 오른쪽터널[6] 이 터널 지나면 바로 서경주신호장 이 나온다.[7] 흥무공원 있는데를 흔히 석장동이라고 아는 사람들이 있는데, 충효동에 있다. 또한 충효보다는 서악가는 도로와 연결되어 있어서 서악동으로 착각할 수 있다.[8] 왼쪽 터널은 2021년 까지 이용했던 중앙선 터널이고 막혀 있는 오른쪽 터널은 경주역으로 가는 초창기 이설 후 중앙선 터널 이다. 1930~1960년 사이를 전후로 전에는 현. 서천교 남쪽에 철길이 있어서 서악동, 서라벌문화회관(중앙도서관), 대릉원 후문, 팔우정로타리, 경주역으로 거쳐가는 철도가 과거 "경주선" 이라고 불려오던 초창기 노선이다. 지금도 금성로233번길과 포석로1095번길과 동쪽으로 팔우정로타리에 과거 흔적이 도로로 남아있다. 보면 웬 도로가 경주역 서측에서 터미널쪽으로 곡선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그것이다. 그때는 우측 굴이 없었고, 좌측 굴은 과거 나원, 청령, 사방, 안강, 양자동, 부조, 효자, 괴동 또는 효자, 구포항, 학산 또는 구포항에서 흥해로 가는 철도(무산) 가는 철도이다. 그리고 후에는 충효3터널 우측 굴로 지나서 장군교, 성건동, 경주역으로 갔으며 현재 위성사진에서 한빛길, 금성로368.372번길 등에 흔적이 있다. 1990년대에는 충효3터널 우측 폐도하고, 금장삼각선과 금장(舊.서경주역(~2021). 현재 폐역. 현재 서경주역이 아니다.)역이 생겼다. 그러하여 서악동, 충효1~3터널, 舊.서경주역, 금장삼각선, 황성지하도, 舊.경주역 가던 철도이다. 지금까지 약 104년 동안 크게 세 번 이설되었다. 그러나 그 역시도 폐선이 되었다(...)[9] 그러나 2021년 말 중앙선 복선화 공사가 완료되어서 더이상 舊.경주역으로 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