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18:11:10

춘하추동 대행자 봄의 춤(애니메이션)


파일:춘하추동 대행자 로고.png
발매 현황 등장인물 설정 코믹스 애니메이션

춘하추동 대행자 봄의 춤 (미정)
[ruby(春夏秋冬, ruby=しゅんかしゅうとう, color=#bca24b)][ruby(代行者, ruby=だいこうしゃ, color=#bca24b)] 春の舞
Agents of the Four Seasons Dance of Spring
<nopad> 파일:춘하추동 대행자 봄의 춤 티저 비주얼.jpg
{{{#e85d8e,#e85d8e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010101><colcolor=#e85d8e,#e85d8e> 장르 판타지, 로맨스, 드라마
원작 아카츠키 카나
원작 일러스트 스오우
감독 야마모토 켄
애니메이션 어드바이저 후루하시 카즈히로
시리즈 구성 히사오 아유무(久尾 歩)
캐릭터 디자인 토리이 나미코(鳥井なみこ)
비주얼 개발 마이야 사토미(米谷聡美)
쿠보 유타로(久保雄太郎)
이미지 보드
미술 감독 타케다 유스케
색채 설계 나카무라 아야카(中村絢郁)
촬영 감독 노자와 케이스케
편집 야나기 케이스케(柳 圭介)
ACE
음향 감독 키무라 에리코(木村絵理子)
음향 제작 도호쿠신사
음악
기획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오타니 쇼
라인 프로듀서 사토 케이스케(佐藤慧介)
애니메이션 제작 WIT STUDIO
제작 춘하추동 대행사(春夏秋冬代行社)
방영 기간 미정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방송국 이름 / (요일) 시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2]
편당 러닝타임 ○○분
화수 ○○화
시청 등급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설정6. 주제가
6.1. OP6.2. ED
7. 회차 목록8. 평가
8.1. 방영 전8.2. 방영 후
9. 기타

1. 개요

春よ、届け。
봄이여, 닿아라.

일본의 라이트 노벨 춘하추동 대행자의 제1부 봄의 춤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야마모토 켄, 제작사는 WIT STUDIO. 방영 시기는 미정.

2. 공개 정보

  • 2025년 4월 10일, 애니화가 결정되었다.#

2.1. PV

애니화 결정 PV

2.2. 키 비주얼

파일:춘하추동 대행자 봄의 춤 티저 비주얼.jpg
봄 비주얼

3. 줄거리

"사계의 대행자".
그들은 사계의 신들에게 받은 특별한 힘을 사용하여, 각지에 계절을 순환시키고 있다.
그러나 봄의 대행자ㆍ카요 히나기쿠가 행방불명된 이후 10년간,
이 나라의 계절은 봄만이 사라진 채.
봄의 호위관ㆍ히메다카 사쿠라는 10년간, 주인을 필사적으로 찾고 있었지만,
어느 날 갑자기 히나기쿠가 돌아오면서 이야기는 움직이기 시작한다.
히나기쿠와 사쿠라의, 봄을 전하는 여행이 시작된다.

——부조리에 빼앗긴 소중한 시간을 되찾기 위해.

이것은 사계절을 가져오는 현인신과 그 호위관의, 상실과 재기의 이야기.
원문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춘하추동 대행자/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춘하추동 대행자/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춘하추동 대행자/등장인물#|]][[춘하추동 대행자/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e85d8e,#e0e0e0> 등장인물 성우
카요 히나기쿠
히메다카 사쿠라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춘하추동 대행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춘하추동 대행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춘하추동 대행자#설정|설정]][[춘하추동 대행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

6.1. OP

OP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010101><colcolor=#e85d8e,#e85d8e> 노래 -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010101><colcolor=#e85d8e,#e85d8e>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6.2. ED

ED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010101><colcolor=#e85d8e,#e85d8e> 노래 -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010101><colcolor=#e85d8e,#e85d8e>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7. 회차 목록

<rowcolor=#e85d8e,#e85d8e> 회차 제목[3]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日: 미정

8. 평가

8.1. 방영 전

발표된 감독과 제작사가 모두 업계의 거물들이라 바로 주목을 받았다. 감독인 야마모토 켄은 뛰어난 연출력으로 찬사를 받아왔으며, 특히 감독으로서는 전작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새로운 시대의 문으로 호평을 받은 바 있고, 제작사인 WIT STUDIO도 만드는 작품마다 영상미가 뛰어나기로 알려져 있다. 프로듀서인 오오타니 쇼와 사토 케이스케(佐藤慧介)[4]도 인맥이 많다. 이런 호기로운 조건들이 맞아떨어지며 영상미는 보증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8.2. 방영 후

9. 기타

  • 코믹스 작가 코마츠다 낫파 축전
    파일:코마츠다 낫파 애니화 축전.jpg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2] 해당 작품이 특정 스트리밍에서만 독점 공개될 경우 주소 뒷부분에 윗첨자로 '독점'을 삽입합니다.[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4] 포켓몬스터 눈 석이는 보라, 포켓몬스터 방과후의 숨결제작 데스크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