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20:06:43

축산물품질평가원

파일:농림축산식품부 흰색 MI.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수산
식품유통공사
한국마사회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림수산식품
교육문화정보원
농림식품기술
기획평가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식진흥원 한국식품산업
클러스터진흥원
축산환경관리원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축산물품질평가원
畜産物品質評價院
Korea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nopad> 파일:축산물품질평가원 로고.svg
설립일 1989년 4월
전신 한국종축개량협회 축산물등급검사부,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등급판정소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아름서길 21 (아름동)
원장 박병홍

1. 개요2. SNS3. 미션·비전·핵심가치4. 축산법5. 연혁6. 주요사업7. 역대 기관장8. 관련 문서

1. 개요

축산법 제36조(축산물품질평가원) ①축산물 등급판정ㆍ품질평가 및 유통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축산물품질평가원(이하 “품질평가원”이라 한다)를 설립한다.
②품질평가원은 법인으로 한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등급판정에 드는 경비를 지원할 수 있다.
⑧품질평가원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된 것 외에는 「민법」 중 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축산물 등급판정 업무를 맡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공공기관(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1989년 4월 설치된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등급판정소[1]의 후신으로서, 2001년 7월 '축산물등급판정소'라는 명칭의 별도 법인으로 독립하였고, 2010년 1월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홈페이지

2. SNS

3. 미션·비전·핵심가치

  • 미션(Mission) 축산유통의 발전을 통해 국민 행복에 기여함
  • 비전(Vision) 축산의 미래를 선도하는 축산유통 전문기관
  • 핵심가치(Value) 안전, 상생, 공정, 실용, 혁신

4. 축산법

축산물품질평가원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축산법 제36조 제4항).
  • 축산물 등급판정
  • 축산물 등급에 관한 교육 및 홍보
  • 축산물 등급판정 기술의 개발
  • 축산물품질평가사의 양성
  • 축산물 등급판정·품질평가 및 유통에 관한 조사·연구·교육·홍보사업
  • 「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가축 및 축산물 이력제에 관한 업무
  • 위 규정과 관련한 국제협력사업 및 국가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자에게서 위탁 또는 대행받은 사업 및 그 부대사업

5. 연혁

  • 1989년 4월: 축산물등급판정사업 착수
  • 1994년 12월: 축산법 개정으로 축협중앙회로 소속 변경
  • 2000년 7월: 농축협 통합으로 농협중앙회로 소속 변경
  • 2001년 7월: 축산법 개정으로 독립법인 설립
  • 2003년 1월: 축산물등급판정수수료 징수로 자립화 추진
  • 2004년 4월: 정부산하기관관리기본법 상 공공기관으로 지정
  • 2007년 4월: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 준정부기관으로 지정
  • 2010년 1월: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 명칭변경(축산법 개정)
  • 2015년 8월: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
  • 2017년 9월: 소 이력정보 국가통계 승인(통계청 가축동향조사 대체)
  • 2019년 7월: 말도체 등급판정사업 시행
  • 2020년 1월: 닭·오리·계란 이력제 시행
  • 2022년 7월: 축산물 온라인 경매 시스템 도입
  • 2022년 8월: 제12대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 취임
  • 2023년 1월: 닭고기 할당관세 추천 및 수입관리 업무 수임
  • 2023년 3월: 저탄소 축산물 인증 시범사업 수임
  • 2023년 12월: 꿀 등급제 본사업 시행

6. 주요사업

  • 축산물등급제
    축산물품질평가 기준에 따라 7가지 국내산 축산물의 품질을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하며, 등급 차별화로 축산물 품질향상 유도 및 국내산 축산물 시장 경쟁력 제고에 기여

    • - 의무등급판정 품목: 소고기, 돼지고기
      - 자율등급판정 품목: 닭고기, 오리고기, 계란, 말고기, 꿀
  • 축산물이력제
    국민 모두가 우리 축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이력번호 조회 기능을 통해 사육 및 도축정보 제공, 축산물 생산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이력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위생·안전 문제 발생 시 신속 대응 지원

    • - DNA동일성검사: 연간 도축되는 모든 소의 DNA시료를 보관하여 쇠고기 부정유통 차단
  • 축산물유통정보 조사 및 정책 지원
    (유통정보조사) 유통단계별 체계적인 가격조사와 축산분야 통합정보 제공으로 축산물 유통의 투명성 강화
    (유통정책지원) 유통거래가 편리하고 시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축산유통 환경 조성에 기여

    • - 디지털전환: 인공지능(AI),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축산분야 디지털 전환 선도
      - 스마트축산: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을 통한 환경변화 효과적 대응 및 미래 성장동력 마련

        1) 데이터 기반의 축산정보 관리 고도화 및 스마트 축산 산업 생태계 조성
        2) 축산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정보연계를 통한 축산 분야 현장문제 해결

      - 한우수출지원: 한우 수출 확대 지원을 위한 '한우 수출 협의회' 운영 및 외국어 확인서 발급과 다국어 이력조회 서비스 제공
      - 수급정보제공 : 축산물 수급지원 플랫폼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간 원활한 거래 지원, 축산물 시장의 수급상황 예측 및 정보 제공
  • 축산탄소중립 실천
    '저탄소 축산물 인증 시범사업' 추진으로 축산물 생산 과정에서의 탄소배출량 저감 유도 및 친환경 등 소비자의 가치소비 선택 지원

7. 역대 기관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축산물품질평가원 로고.svg축산물품질평가원
역대 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축산물등급판정소장 (1993~2009)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1·2대
박태진
제3대
조병대
제4대
이수헌
제5대
정동헌
<nopad> 참여정부
제6대
김경남
제7대
이재용
축산물품질평가원장 (2010~)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8대
최형규
제9대
허영
제10대
백종호
제11대
장승진
<nopad> 윤석열 정부
제12대
박병홍
}}}}}}}}} ||

8. 관련 문서


[1] 처음에는 사단법인 한국종축개량협회 소속이었다가, 그 후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농협중앙회로 소속 변경